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핵무장국가 북한과 세계의 선택)

이삼성 (지은이)
  |  
한길사
2018-04-13
  |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4,300원 -10% 0원 270원 24,0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책 정보

· 제목 :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핵무장국가 북한과 세계의 선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35670529
· 쪽수 : 924쪽

책 소개

저자가 80년대부터 연구한 성과를 집대성한 것으로, 북한 핵개발의 역사와 90년대부터 본격화된 북한 핵위기의 역사를 치밀하게 추적한다. 미국, 한국 등 당사국 정부나 의회, 기타 유력 싱크탱크가 만든 보고서에 언론보도 등을 종합해 ‘팩트첵크’를 매우 충실하게 해냈다.

목차

다시 전쟁과 평화의 갈림길에 선 이 땅에서│『한반도의 전쟁과 평화』를 내면서

제1장 미국을 위협하는 핵무장국가 북한의 완성
1. 대량생산 국면에 진입한 북한 핵무기
2. 북한의 다종화된 탄도미사일 대량생산
3. 미국 본토를 위협하는 북한의 ICBM
4. 탄도미사일에 집중한 북한의 전략적 선택과 집중
5. 미국이 예상 못 한 북한 핵무력의 약진
6. 한반도에서 북미 간 전략적 균형(공포의 균형)은 이미 성립
7. ICBM과 결합한 핵무장과 북한 민족주의 정치이념

제2장 선제타격과 참수작전이라는 잠꼬대
1. 스마트 무기들에 의존하는 안전한 전쟁의 위험한 판타지
2. 좀더 확실한 공멸전략으로 전락한 남한의 대북 선제타격론
3. 좀비국가에만 통하는 ‘첨단전쟁’, 좀비와는 거리가 먼 북한
4. ‘김정은 참수작전’은 왜 정치적 기만이며 잠꼬대인가

제3장 미국 MD와 동아시아 핵군비경쟁 그리고 사드
1. 미사일방어의 환상과 선제타격론은 공생관계
2. 미국의 MD 구축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
3. 중국의 핵무기정책과 전략핵(ICBM & SLBM) 현대화
4. 중국 중거리급 핵전력 확대와 미국 동아태 패권의 위기
5. 미국의 위기의식의 소재와 대응: MD 확대 구축
6. 조잡한 미사일 한 발을 다섯 발 쏘고도 못 맞힌 패트리엇
7. 북한 미사일이 패트리엇과 사드를 무력화할 수 있는 이유

제4장 한반도 핵문제의 위기와 기회의 역사
1. 1958년 이후 33년간 미국 전술핵무기기지였던 한국
2. 박정희와 제주도의 미국 핵무기·군사기지화 시도
3.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핵무장 시도와 좌절
4. 1990년대 초 북한 핵시설 개요
5. 1990년대 초 북한 핵 프로그램의 성격: 평화적 이용과 군사적 전용 사이에서
6. 1994년 북한 핵능력에 대한 미국의 판단
7. 1994년 전쟁 위기의 출발점: IAEA와 미국 강경파의 동맹
8. 1994년 5월 북한의 핵연료봉 교체 작업과 IAEA 사찰 문제의 진상
9. 1994년 6월 중순의 한반도 전쟁 위기의 전개
10. 전쟁 위기 해소 과정: 북한의 제안을 주목한 해리슨과 카터
11. 중국의 조용한 양면 외교
12. 1994년 한국과 북한의 외교 그리고 김일성 사후 한국
13. 1994년 8월 북미 공동성명과 10월 제네바합의: ‘일괄타결’
14. 공화당 보수혁명과 함께 시작된 제네바합의의 시련
15. 럼즈펠드 보고서와 대포동 발사로 확인된 북한 미사일 능력
16. 기로에 선 클린턴 행정부의 선택: 1999~2000년의 북미대화
17. 페리 프로세스, 남북정상회담 그리고 북미대화
18. 대북송금의 의미: 북미 미사일협상 타결의 대가

제5장 제네바합의는 어떻게 파괴되었나
1. 2001년 3월의 김대중-부시 면담: 파국의 예고
2. 부시 행정부의 강경파와 협상파 그리고 라이스
3. 2002년 10월 켈리 방북의 원래 목적과 그 변질
4. 2002년 10월 평양에서 오간 대화: 미국의 설명
5. 제네바합의 파기와 북한의 대응: 핵 보유는 주장하고 우라늄 핵 프로그램은 부인
6. 2003~2004년 미국의 정보평가에 대한 중국과 미국 언론의 문제 제기
7. 2004년 3월 미 의회조사국 보고서
8. 2004년 초 칸의 자백을 둘러싼 논란
9. 2006년 무샤라프 회고록이 2002년 미국이 가진 정보의 실체를 말해준 것
10. 2010년 헤커가 목격한 북한 우라늄농축 시설이 말해주는 것
11. 제네바합의 파기는 정당하고 현명한 선택이었나
12. 2002년 미국이 불충분한 증거를 갖고 제네바합의 파기를 서두른 이유
13. 2002년 3월~2003년 봄 대북송금 폭로와 특검수사의 의미

제6장 북한 핵무장의 시작과 완성을 재촉한 또 하나의 10년
1. 북한 핵무장의 시작에서 완성에 이르는 또 다른 10년
2. 북한 최초 핵실험 전야의 기회와 상실: 2005년 9·19공동선언과 BDA 사태
3. 이명박 정부: 2009~10년의 북미대화와 천안함 사태 처리
4. 천안함 침몰, ‘어뢰에 의한 폭침’ 결론에 대한 해소되지 않는 의문
5. 2018년 2월 김정은은 왜 김영철을 대표로 서울에 보냈나
6. 민주주의와 평화
7. 박근혜 정부: 대북 선제타격론 본격화와 그 결과
8. 한국 대북정책의 분열, 미국 대외정책의 분열, 그 둘의 파괴적 교차

제7장 한국 핵무장과 전술핵 재배치는 왜 답이 아닌가
1. 2017년 9월 이후 크게 확산된 한국 핵무장·전술핵 재배치론
2. 독자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논리와 그 허구성
3. 한국 독자 핵무장: 쉬운 답이지만 현실성 없고 위험한 선택
4. 미국의 전술핵무기정책: 오바마 행정부와 트럼프 행정부
5. 유럽의 경험에 비유한 미국 전술핵 한국 재배치 논의의 실과 허
6. 한국은 한반도 비핵화 노력의 중심을 지켜야 한다

제8장 비핵국가의 핵무장과 승인을 둘러싼 권력정치의 지정학
1. 비핵국가의 핵무장 패턴
2. 이스라엘의 핵무장과 미국-이스라엘 비밀협정
3.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 백인 정권
4. 인도의 핵무장과 미국의 묵인과 협력
5. 파키스탄의 핵무장과 중국 그리고 미국
6. 비핵국가 핵무장 승인의 정치적 성격

제9장 중국의 대북 경제관계와 군사동맹의 향방
1. 2017년 북중 경제관계의 추이
2. 2017년 8월과 9월 유엔의 대북 경제제재결의안
3. 2017년 10월 미국,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
4. 미국의 세 방면에 걸친 북한 경제 옥죄기와 중국
5. 2017년 12월 유엔의 대북 제재결의안
6. 나선 경제특구와 중국의 한반도 전략
7. 두만강 하류 북·중·러 국경문제와 중국의 동해 출해권
8. 경제제재와 봉쇄효과는 왜 제한적인가
9. 대북 경제제재의 인간적 대가의 인식
10. 북중군사동맹 관계의 향방
11. 북한 급변사태 가능성과 중국의 대북 동맹정책
12. 북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기본 태도
13. 중국 대북전략의 딜레마: 강력한 제재 동참은 북한의 자주외교 촉진

제10장 북한 급변사태 시 미국과 중국 그리고 한반도의 운명
1. 한국 통일담론에서 군사적 상상력의 압도와 북한 붕괴론
2. 북한 붕괴는 한국 주도 흡수통일로 연결될까
3. 북한 리더십의 미래 유형
4. 북한 정부 붕괴 시 중국의 개입 유인
5. 중국이 한미동맹보다 더 신속하게 개입할 수 있는 이유
6. 북한 개입 후 중국의 선택에 대한 전망
7. 중국 개입 시 예상되는 미중의 북한 ‘분할’협상: 한반도 재분단
8. 북한 정부 붕괴 시 혼란과 핵무기: 1990년 러시아의 교훈

제11장 미국의 핵전략과 비핵국가에 대한 핵테러 외교사
1. 핵무기 시대의 본질: 한 인간의 순간적 결정이 세상의 끝
2. 다른 핵보유국에 대한 미국 핵전략의 진화
3. 비핵국가에 대한 미국의 핵전략: 핵무기테러주의의 역사
4. 신생 핵무장국에 대한 미국의 핵전략
5. 핵무기 시대에 ‘핵무기 없는 세계’의 꿈과 현실
6. 2000년대 미국 핵정책의 진동

제12장 핵억지는 지속가능한가: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1. 핵무기 세계와 케네스 왈츠의 유토피아
2. 스콧 세이건에게 핵무기 확산은 디스토피아
3. 스리마일아일랜드에서 체르노빌과 후쿠시마를 예견한 ‘정상사고’론
4. 세이건과 ‘안전의 한계’의 정치적 차원
5. 핵무기 세계에서 안전과 억지의 한계
6. 인도와 파키스탄의 동시 핵무장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나
7.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의 기원과 전개 그리고 결말
8. 미사일 위기 속 카스트로와 쿠바인들의 인식과 행동
9. 쿠마 위기의 교훈 1: 불완전 정보와 오인투성이
10. 쿠바 위기의 교훈 2: 군사적 긴장 속 전쟁의 우발성
11. 쿠바 위기의 교훈 3: 악마와의 협상과 약속이 때로 인류를 구한다
12. 핵 없는 세계를 향한 세 가지 방면의 노력과 그 현주소
13. ‘핵무기 없는 세계’로 가는 두 가지 방법론의 긴장
14. 미국 일각에서 제기되는 최소억지론
15. 신의 가호에 의지하는 ‘핵억지’와 ‘핵안전’

제13장 한국의 선택
1. 북한 핵이라는 ‘전갈의 독침’: 우화와 동화 사이
2.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를 궁극 목표로 받아들일까
3. 우리가 가야 할 길, 한반도 평화협정
4. 한반도 평화협정체제를 견인할 수 있는 균형외교와 그 의미
5. 브란트의 ‘접근을 통한 변화’, 그 본질은 원교근친
6. 북한의 대중국 자주외교와 북미 대타협의 공간
7. 평화협정은 출구일 수는 있어도 ‘입구’는 아니라는 오해
8. 한국 균형외교의 관리 대상인 미국 동아시아 군사전략의 관성
9. 한국이 미국을 설득해 이끌어야 하고 또 그렇게 할 수 있는 이유
10. 국제정치에서 동맹과 균형외교
11. 한국 언론과 방향을 잘못 잡은 조공외교·사대담론
12. 브란트 동방정책 동력의 원천: ‘통일된 민족’의 꿈
13. 분단국가체제 속 ‘민족’의 퇴장과 그 복원
14. 전체주의 해체 과정에 진입한 북한과 한국의 선택

제14장 한반도 평화협정: 사유의 궤적
1. 국가보안법 재판과 ‘한반도 평화협정’을 위한 변론
2. 전후 미국이 관련된 평화조약들의 형태
3. 2005년 9·19공동성명과 2007년 2·13합의
4. 제2기 부시 행정부가 대북협상을 택한 역사적 배경
5. 한반도 평화조약을 북한의 비핵화와 어떻게 연결지을까
6. 평화조약에는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할까
7. 평화조약에서 군사동맹과 주한미군 문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8. 외세의 무력 개입 가능성을 통제하는 문제
9. 독일 통일 경험에 비추어본 ‘Korean National Unity and Right’의 문제
10.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사례로서 이란 핵협상
11.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이란 핵협상의 시사점

제15장 대분단체제 너머의 동아시아를 위해
1.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란 무엇인가
2. 대분단체제라는 질곡의 출구,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3. 비핵무기지대 구상과 그 기원
4. 인간이 거주하는 지역의 비핵무기지대들
5. 한일 시민사회와 동북아 비핵무기지대론
6. 한반도 평화협정과 동북아 비핵지대 조약의 상호의존성
7. 동북아 비핵무기지대 조약과 일본의 문제
8. 동북아 비핵지대를 군사동맹 문제와 분리할 필요성
9. 동북아 비핵무기지대 조약 모델 재정리
10. ‘동아시아 평화벨트’ 상상하기
11. 대분단체제 안에서 한국의 위치와 진화
12. 동아시아 질서의 미래와 동맹
13. 한반도 안보의 백년대계
14. 한국 균형외교와 북한 자주외교의 상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예일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한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일본의 리쓰메이칸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저작 부문, 2019), 한림대학교 학술상(2010), 백상출판문화상(저작 부문, 1999), 단재상(1998)을 수상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American Political Elites and Changing Meanings of the Vietnam War: The Moral Dimension in Congressmen’s Foreign Policy Perspectives」(1988)이며, 주요 저서로는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핵무장국가 북한과 세계의 선택』(한길사, 2018), 『제국』(소화, 2014),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2』(한길사, 2009), 『세계와 미국: 20세기의 반성과 21세기의 전망』(한길사, 2001), 『20세기의 문명과 야만: 전쟁과 평화, 그리고 인간의 비극에 관한 정치적 성찰』(한길사, 1998), 『한반도 핵문제와 미국외교』(한길사, 1994)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나 아렌트의 정치철학에서 국가와 그 너머」(김홍우 엮음, 『정치사상과 사회발전: 이홍구선생 미수기념문집』, 중앙 books, 2021), 「전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구성과 중국: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형성과정에서 중국의 구성적 역할」(『한국정치학회보』, 2016), 「한나 아렌트의 인간학적 전체주의 개념과 냉전」(『한국정치학회보』, 2015), 「제국, 국가, 민족: 위계적 세계화와 민주적 세계화」(네이버 열린연단, 2016), 「동아시아의 질서와 평화: 천하체제, 제국체제, 대분단체제」(네이버 열린연단, 2015), 「제국 개념의 동아시아적 기원 재고: 황국과 천조, 그리고 가외천황과 제국」(『국제정치논총』, 2014), 「한국전쟁과 내전:세 가지 내전 개념의 구분」(『한국정치학회보』, 2013), 「제국과 식민지에서의 ‘제국’」(『국제정치논총』, 2012), 「‘제국’ 개념의 고대적 기원:한자어 ‘제국’의 서양적 기원과 동양적 기원, 그리고 『일본서기』」(『한국정치학회보』, 2011), 「‘제국’ 개념과 19세기 근대 일본:근대 일본에서 ‘제국’ 개념의 정립 과정과 그 기능」(『국제정치논총』, 2011), 「‘제국’ 개념과 근대 한국:개념의 역수입, 활용, 해체, 그리고 포섭과 저항」(『정치사상연구』, 2011), 「동서양의 정치전통에서 성속의 연속과 불연속에 관한 연구」(『현대정치연구』,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고등학교 1학년 무렵 한 문화재단이 염가로 판매하는 문고 시리즈에 수필가 김소운(金素雲, 1907~81)의 『목근통신』이 있었다.


이러한 모든 노력은 숙명적으로 지정학적 중간자이며 또한 바로 그렇기 때문에 지적·외교적 균형자일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한반도 국가의 창의적 역할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