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동체의 삶

공동체의 삶

(시대의 여러 문제)

김문조, 박명림, 이삼성, 고세훈, 박명진, 이재열, 이태수 (지은이)
민음사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900원 -10% 0원
1,050원
17,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700원 -10% 730원 12,500원 >

책 이미지

공동체의 삶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동체의 삶 (시대의 여러 문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7457289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6-04-29

책 소개

문화의 안과 밖 시리즈 8권에서는 정보화, 여론, 교육, 복지, 통일과 평화의 문제를 검토하며 오늘의 시대에 대한 성찰을 마무리하고 미래로 시선을 던진다.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동시에 깨어 있는 현실 감각을 기반으로 건전한 공론장을 구축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문광훈)
거대정보 세계에서의 학문 | 경계 짓기, 네트워크의 질서, 그리고 위험 (이재열)
여론과 지성 | 인터넷과 SNS 시대 한국 사회의 여론과 지식인 (박명진)
교육의 이념과 제도 |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일 (이태수)
행복의 추구 | 한국 사회에서의 행복의 자리 (김문조)
평등과 복지 | 담론과 전망 (고세훈)
평화와 통일 | 우리 시대 한국의 세계(사)적 향방 (박명림)
동아시아의 질서와 평화 | 천하체제, 제국체제, 대분단체제 (이삼성)

저자 소개

저자소개

김문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2년부터 2015년까지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에 재직한 저자는 노동/사회불평등/과학기술/문화/현대사상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한국산업노동학회, 한국이론사회학회, 한국과학기술학회, 한국사회학회, 동아시아사회학회 회장 및 강원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였고, 나라정책연구원, LG종합기술원 커뮤니카토피아연구소,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국민대통합위원회 갈등관리포럼에서 책임자로 일했다. 저서로는 『과학기술과 한국사회의 미래』(1999), 『한국사회의 양극화』(2008), 『융합문명론』(2013), IT and the Shaping of New Social Order(2019), 『한국사회통합론』(2019) 등이 있다. 제18회 과학기술도서상(저술부문), 고려대교우회 제정 제1회 학술상(인문사회부문), 제63회 서울특별시문화상(인문과학분야), 제65회 대한민국학술원상(사회과학부문)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박명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로서 정치학, 사회인문학, 평화학, 한국학, 동아시아국제관계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연세대학교 인간평화와 치유 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 박사를 졸업하였다. 고려대학교 아세아 문제 연구소 연구 교수(1994-1999), 하버드대학교 하버드-옌칭 연구소 협동 연구학자(1999-2001), 프랑스고등사회과학원과 베를린자유대학교 초빙교수(2013-2014)로 재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전쟁의 발발과 원 1,2』(1996), 『한국1950: 전쟁과 평화』(200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예일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한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일본의 리쓰메이칸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저작 부문, 2019), 한림대학교 학술상(2010), 백상출판문화상(저작 부문, 1999), 단재상(1998)을 수상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American Political Elites and Changing Meanings of the Vietnam War: The Moral Dimension in Congressmen’s Foreign Policy Perspectives」(1988)이며, 주요 저서로는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핵무장국가 북한과 세계의 선택』(한길사, 2018), 『제국』(소화, 2014),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2』(한길사, 2009), 『세계와 미국: 20세기의 반성과 21세기의 전망』(한길사, 2001), 『20세기의 문명과 야만: 전쟁과 평화, 그리고 인간의 비극에 관한 정치적 성찰』(한길사, 1998), 『한반도 핵문제와 미국외교』(한길사, 1994)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나 아렌트의 정치철학에서 국가와 그 너머」(김홍우 엮음, 『정치사상과 사회발전: 이홍구선생 미수기념문집』, 중앙 books, 2021), 「전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구성과 중국: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형성과정에서 중국의 구성적 역할」(『한국정치학회보』, 2016), 「한나 아렌트의 인간학적 전체주의 개념과 냉전」(『한국정치학회보』, 2015), 「제국, 국가, 민족: 위계적 세계화와 민주적 세계화」(네이버 열린연단, 2016), 「동아시아의 질서와 평화: 천하체제, 제국체제, 대분단체제」(네이버 열린연단, 2015), 「제국 개념의 동아시아적 기원 재고: 황국과 천조, 그리고 가외천황과 제국」(『국제정치논총』, 2014), 「한국전쟁과 내전:세 가지 내전 개념의 구분」(『한국정치학회보』, 2013), 「제국과 식민지에서의 ‘제국’」(『국제정치논총』, 2012), 「‘제국’ 개념의 고대적 기원:한자어 ‘제국’의 서양적 기원과 동양적 기원, 그리고 『일본서기』」(『한국정치학회보』, 2011), 「‘제국’ 개념과 19세기 근대 일본:근대 일본에서 ‘제국’ 개념의 정립 과정과 그 기능」(『국제정치논총』, 2011), 「‘제국’ 개념과 근대 한국:개념의 역수입, 활용, 해체, 그리고 포섭과 저항」(『정치사상연구』, 2011), 「동서양의 정치전통에서 성속의 연속과 불연속에 관한 연구」(『현대정치연구』,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고세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연세대 학부에서 경제학, 서울대 대학원, 미국 시러큐스대와 오하이오 주립대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고, 영국노동당을 주제로 학위논문을 썼다. <영국노동당사>, <복지국가의 이론과 사례>, <국가와 복지>, <복지한국 미래는 있는가>, <조지 오웰: 지식인에 관한 한 보고서>, <영국정치와 국가복지>를 저술했고, <존 메이너드 케인스>(로버트 스키델스키), <페이비언 사회주의>(조지 버너드 쇼 외), <기독교와 자본주의의 발흥>(R. H. 토니)이 우리말로 옮긴 책이다. 인간의 비극성에 관한, 아마 마지막이 될, 책(<비극적 인간>)을 준비 중이다. 2019년 현재 고려대 공공행정학부 명예교수로 있다.
펼치기
박명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프랑스 파리 3대학에서 영상 커뮤니케이션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오랫동안‘기호학과 담론 분석 방법론’을 가르쳐왔다. 지은 책으로『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성과와 그 쟁점』이, 엮은 책으로『세계화와 미디어 연구De-Westernizing Media Studies』(제임스 커런James Curran과 공편) 등이, 주요 논문으로「즐거움, 저항, 이데올로기」「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연구」「가상현실의 커뮤니케이션 양식: 상호작용성과 몰입의 상호작용」등이 있다. 프랑스 철학자 레지스 드브레R?gis Debray와의 대화록인「진보와 아방가르드의 붕괴」를, 영국 비주얼커뮤니케이션 학자 앤드루 달리Andrew Darley와의 대화록인「비주얼 문화: 해독과 해석의 체험으로부터 감각과 놀이적 체험으로」를 펴낸 바 있다.
펼치기
박명진의 다른 책 >
이재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했고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방문연구원을 지냈고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세월호가 우리에게 묻다』『아픈 사회를 넘어』 등이 있다.
펼치기
이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와 학장을 거쳐 2014년 현재는 서울대학교 철학과 명예 교수와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원장을 겸임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인의 가치, 해체에서 재구성으로》(공저)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죽어야 하는 인간》, 《세이렌과 무사》, 《덕과 좋음의 추구》, 《인간 : 미완의 기획》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7457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