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

이삼성 (지은이)
한길사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100원 -5% 0원
1,140원
34,960원 >
34,200원 -10% 0원
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아시아
· ISBN : 9788935678518
· 쪽수 : 912쪽
· 출판일 : 2023-11-30

책 소개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은 저자 이삼성(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 명예교수)이 전후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의 구조에 관한 우리 자신의 독자적인 아시아적 전망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 질서에 대한 대안적 개념화를 추구해온 지난 20년간의 지성사적 오디세이다.

목차

전쟁과 평화의 구조에 대한 아시아적 전망의 오디세이│책을 펴내며

제 1 장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과 미중 갈등 그리고 한반도(2023)
1. 동아시아 근현대사에서 미중관계의 전제로서의 미일연합
2. 전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성립 : 냉전과 탈냉전을 관통하는 연속성
3. 2000년대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진화
4. 대분단체제 제3국면의 동아시아와 한반도
5. 경직화하는 양극적 동맹체제에서 미일동맹과 한국의 선택
6. 가야 했지만 가지 않은 길
7. 맺는말 : 한반도 평화의 위기는 문명적·생태적 위기

제 2 장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의 역사인식과 동아시아(2023)
1.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투하와 한반도
2.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투하와 인간적 희생
3. 미국의 대일본 원폭사용 결정의 과정과 동기
4. 원폭과 전쟁종결의 역사적 인과(因果)
5. 원폭투하 사태에 대한 천황의 책임과 일본사회 내부 반전(反戰)의 문제
6. 전략폭격의 반인도성과 그 절정으로서의 원폭
7. 원폭사용의 정당성에 관한 시선들
8. 원폭사용을 배제했을 때 역사의 향방에 관한 인식
9.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폐쇄회로와 히로시마·나가사키

제 3 장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와 신냉전, 그리고 그 너머(2022)
1. 대분단체제로 바라본 전후 동아시아
2. 탈냉전 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지속 : 3차원적 긴장의 재충전
3. 탈냉전기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제1국면과 제2국면
4. 2010년대 말 이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 제3국면과 러시아-서방의 신냉전
5. 제3국면이 동아시아 평화에 제기하는 세 가지 도전
6. 미중 패권경쟁 속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논리들과 대안의 사고
7. 동아시아 사회들의 연결된 운명과 세 가지 선택

제 4 장 한반도 정전체제의 동아시아적 맥락과 평화체제 전환의 요건(2020)
1. 전후 동아시아질서의 구성과 한국전쟁의 동아시아적 맥락
2. 정전협정과 제네바회의에서 한국과 인도차이나
3. 한국 정전협정과 베트남 평화협정 무력화와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4. 한반도 정전체제, 동아시아 대분단체제, 그리고 미국 중심 세계체제
5. 냉전기 대분단체제의 타협국면 전환과 한반도 정전체제 변화의 기회와 좌절
6. 탈냉전 30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와 한반도 정전체제의 지속
7. 오바마 행정부와 북한 핵무장의 질주(疾走)
8. 2018년 한반도의 봄과 겨울 : 4·27 판문점선언과 6·12 싱가포르선언
9. 하노이회담 실패는 어떻게 준비되었나
10. 맺는말

제 5 장 일본 역사문제의 구조와 동아시아 국제질서(2019)
1. 역사문제란 무엇인가
2. 역사문제의 심각성과 지속의 원인 : 폭력의 크기가 아닌 맥락성
3. 분석 틀 : 국제질서의 맥락성, 그리고 역사청산의 객관적 요소와 주체적 요소
4. 전전의 동아시아질서와 일본 역사문제의 중첩성 : 제국체제의 동아시아
5. 전후 3년 일본 역사청산의 국제적 조건 : 외적 강제의 수준과 방식
6. 냉전기 일본 역사청산의 주체적 요소와 동아시아 국제질서
7. 탈냉전 이후 일본 역사문제의 증폭과 동아시아 대분단체제
8. 일본 역사문제와 동아시아질서의 딜레마

제 6 장 3·1 운동 후 100년 동아시아의 초상(2019)
1. 제국의 시대에 나라 없음의 문제
2. 전후 세계에서 제국과 나라의 의미 유전(流轉)
3. 전후 동아시아질서와 한반도 국가의 초상(肖像)
4. 동아시아의 역사대화 방식의 전환을 위해
5. 맺는말

제 7 장 제주도, 또 하나의 발칸 혹은 동아시아의 제네바(2018)
1. 글머리에
2. 21세기 동아시아의 핵군비경쟁
3. 트럼프 행정부의 핵전략과 강정 기지의 미국 해상 핵무기기지 본격화 위험
4. 제주 해군기지 건설 이후의 제주도 : 두 개의 다른 미래
5. ‘세계평화의 섬’과 양립가능한 강정항 : 민군복합 관광미항 유지가 최소 조건
6. 제주 해군기지의 미군기지화를 막을 세 가지 명분
7. 제주 강정항의 해군기지 전용화 및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
8. 제주 해군기지의 미 해군기지화 방지를 위해 시급한 노력
9.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이후의 제주도: ‘동아시아 평화벨트’를 상상하기
10. 맺는말

제 8 장 제국과 천하 담론의 개념사적 맥락(2018)
1. 질서표상으로서의 ‘제국’과 ‘천하’
2. 전통시대 중국의 천하 개념과 그 도덕적 및 공간적 내포
3. 근대 일본과 천하 개념을 대체한 질서표상 개념으로서의 ‘제국’
4. 냉전과 탈냉전 : 제국 개념의 추락과 도덕적 복권의 지성사
5. 좌우파 모두에서 진행된 21세기 ‘제국’ 개념의 풍미와 ‘천하’ 담론의 복원
6. 맺는말 : 제국과 천하 담론 그리고 ‘문명국가’론의 지성사적 접점•

제 9 장 전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구성과 중국(2016)
1. 문제의 제기
2.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의 대강
3. 전후 동아시아질서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중국의 구성적(構成的) 역할
4. 맺는말

제 10 장 제국 개념의 동아시아적 기원 재고(2014)
1. 문제의 제기
2. 전통시대 중국의 ‘제국’ : 왕통과 『태평어람』의 ‘제국’
3. 전통시대 중국과 고대 일본에서 ‘황국’ 개념의 부재와 ‘천조’ 개념의 보편성
4. 중국에서 ‘황’과 ‘제’는 왜 ‘국’과 결합하지 않았는가 : 천하와 국가의 차이
5. 고대 한국에서 ‘제국’ 개념의 발신
6. 고대 한국에서 ‘제국’ 개념 성립의 전제와 ‘가외천황’ 개념
7. 7세기 초 일본의 대(對)중국 외교문서와 칭제 문제의 인식
8. 어떻게 볼 것인가 : 한자문명 개념의 매개자로서의 백제의 역할
9. 맺는말

제 11 장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란 무엇인가(2014)
1. 동아시아질서의 통시적 연속성
2. 청일전쟁부터 1945년까지는 동아시아 제국체제
3. 전후 동아시아질서의 상호작용성
4. 중국 내전이 동아시아질서를 결정
5. 대·소 분단체제 해소와 한국의 선택

제 12 장 한국전쟁과 내전(2013)
1. 문제의 제기
2. 러시아 외교문서 공개와 비수정주의적 내전론의 성립
3. 한국전쟁에 관한 세 가지 ‘내전’ 개념의 구분과 그 기준
4. 맺는말 : 내전 개념의 명료화가 한국전쟁 연구에서 갖는 의미

제 13 장 21세기 동아시아의 지정학(2007)
1. 21세기 중미관계의 이론적 전망 : 미국의 단극패권과 중국의 도전
2. 미국의 기득권으로서의 동아시아 해양패권
3. 미국의 동아태 해양패권과 중국 국력팽창의 내재적 긴장
4. 미일동맹과 그에 대응하는 중러연합의 형성
5. 맺는말 : 중국의 전략적 절제의 이중적 의미

제 14 장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와 타이완-오키나와-제주도(2007)
1. 동아시아 1세기 : 제국주의와 대분단체제의 그늘
2. 동아시아 근현대사와 오키나와, 타이완, 그리고 한반도
3. 제주도 : 대분단체제와 한반도의 관계의 새 국면
4. 대안적 질서의 형상화로서 동아시아 평화벨트

제 15 장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성격에 관한 일고(2006)
1. 문제의 제기
2.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개념: 케네스 왈츠와 그 비판적 보완
3.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형성
4.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구조
5. 탈냉전시대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지속과 그 원인
6. 동아시아질서와 한국의 위치: 지정학적·역사심리적 중간자
7. 맺는말

제 16 장 동아시아와 냉전의 기원(2005)
1. 동아시아 냉전구조의 특수성과 냉전의 기원 연구
2. 동아시아 냉전의 현실적 전개와 두 전쟁의 의미
3. 전후 미국의 아시아 전략과 동아시아 냉전의 기원
4. ‘중국에서의 잃어버린 기회’ : ‘신냉전사’ 연구의 도전과 그 한계
5. 맺는말: 지속되는 역사해석의 긴장

제 17 장 한미동맹의 유연화(柔然化)를 위한 제언(2003)
1. 한미동맹체제와 그 사유구조
2.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와 한미동맹
3. 동아시아 세력균형 문제와 미국, 그리고 한미동맹
4. 한미동맹 변화의 방향
5. 맺는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예일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한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일본의 리쓰메이칸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저작 부문, 2019), 한림대학교 학술상(2010), 백상출판문화상(저작 부문, 1999), 단재상(1998)을 수상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American Political Elites and Changing Meanings of the Vietnam War: The Moral Dimension in Congressmen’s Foreign Policy Perspectives」(1988)이며, 주요 저서로는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핵무장국가 북한과 세계의 선택』(한길사, 2018), 『제국』(소화, 2014),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2』(한길사, 2009), 『세계와 미국: 20세기의 반성과 21세기의 전망』(한길사, 2001), 『20세기의 문명과 야만: 전쟁과 평화, 그리고 인간의 비극에 관한 정치적 성찰』(한길사, 1998), 『한반도 핵문제와 미국외교』(한길사, 1994)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나 아렌트의 정치철학에서 국가와 그 너머」(김홍우 엮음, 『정치사상과 사회발전: 이홍구선생 미수기념문집』, 중앙 books, 2021), 「전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구성과 중국: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형성과정에서 중국의 구성적 역할」(『한국정치학회보』, 2016), 「한나 아렌트의 인간학적 전체주의 개념과 냉전」(『한국정치학회보』, 2015), 「제국, 국가, 민족: 위계적 세계화와 민주적 세계화」(네이버 열린연단, 2016), 「동아시아의 질서와 평화: 천하체제, 제국체제, 대분단체제」(네이버 열린연단, 2015), 「제국 개념의 동아시아적 기원 재고: 황국과 천조, 그리고 가외천황과 제국」(『국제정치논총』, 2014), 「한국전쟁과 내전:세 가지 내전 개념의 구분」(『한국정치학회보』, 2013), 「제국과 식민지에서의 ‘제국’」(『국제정치논총』, 2012), 「‘제국’ 개념의 고대적 기원:한자어 ‘제국’의 서양적 기원과 동양적 기원, 그리고 『일본서기』」(『한국정치학회보』, 2011), 「‘제국’ 개념과 19세기 근대 일본:근대 일본에서 ‘제국’ 개념의 정립 과정과 그 기능」(『국제정치논총』, 2011), 「‘제국’ 개념과 근대 한국:개념의 역수입, 활용, 해체, 그리고 포섭과 저항」(『정치사상연구』, 2011), 「동서양의 정치전통에서 성속의 연속과 불연속에 관한 연구」(『현대정치연구』,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탈냉전에도 불구하고 유럽과 달리 한반도와 동아시아 전반에서는 긴장의 구조가 오히려 더 분명해져가던 1990년대 말부터 필자는 한반도 평화의 동아시아적 맥락에 대한 이론적·개념적 접근의 필요성을 절감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 제기는 그러한 동아시아의 전후 구조 인식에서의 개념적 공백을 메꾸려는 하나의 시도였으며, 전쟁과 평화를 결정하는 전후 우리의 삶의 구조에 대한 우리 자신의 아시아적 전망의 내용을 채우려는 노력이었다.


지정학적 긴장은 이념의 차이와 무관하게, 독립적인 정치공동체들 사이에 으레 형성되기 마련인 영토적・경제적・군사적 영향력 경쟁을 가리킨다. 이념의 함수가 아니고 국력의 함수다. 다만 그것이 정치사회적 체제와 이념의 이질성이라는 차원과 결합할 때 그 긴장의 강도는 배가된다. 냉전기 후반의 중소대립은 한편으로 같은 이념을 가진 두 거대 국가 사이에 지정학적 긴장이 발전한 것을 뜻했다. 동시에 그것은 다른 이념을 가진 중국과 미국 사이에 존재한 지정학적 긴장이 부분적으로 완화된 것을 말했다. 그 틈을 타서 미국은 베트남전쟁으로부터의 명예로운 후퇴를 위해 중국과 대흥정을 벌였다.


홍콩 사태는 타이완해협의 소분단체제에서뿐 아니라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기축관계에서 작동하는 정치사회적 체제와 이념의 이질성 차원의 긴장을 더욱 활성화시켰다. 그것은 지정학적 긴장과 역사심리적 긴장의 차원과도 상호작용하면서 이 질서가 내장한 긴장의 복합성을 확인해준다. 타이완해협과 홍콩 사태에서 부각된 민주주의-권위주의 차원의 긴장은 한반도 소분단체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2022년 집권한 한국의 보수 정권은 북한과의 모든 대화를 ‘가짜 평화 쇼’로 규정하는 자신의 대북정책, 미국의 중국 고립화 전략에 대한 동참, 그리고 역사반성을 여전히 거부하는 일본과의 군사협력 강화를 ‘가치외교’ 개념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기본성격인 ‘양극적 동맹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고 경직화하는 데에 정치사회적 체제와 이념의 문제가 새삼 뚜렷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