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주제평론
· ISBN : 9788936463229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06-05-04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한국문학의 증상들 혹은 리얼리즘이라는 독법
1990년대 문학의 종언, 그리고 그후
2000년대, 한국문학을 위한 비판적 단상
2000년대 문학, 한국소설의 상상지도
소설의 상처, 대중문화라는 증상
서사의 위기와 소설의 계몽 - 한국소설의 미성숙, 혹은 천명관의 <고래>를 읽기 위한 전제들
제2부
개복치 우주(소설)론과 일인용 너구리 소설 사용법 - 박민규론
동정 없는 모더니티와 감정지출의 경제학 - 윤성희론
비루한 동물극장 - 백가흠과 손홍규의 소설
아비 없는 소설극장 - 2000년대 젊은 작가들의 상상세계 1
상상과 현실의 틈새 - 2000년대 젊은 작가들의 상상세계 2
제3부
김승옥 소설의 심상지리와 병리적 개인의식의 현상학
자본주의의 우울
부정의 파토스와 욕망의 드라마 - 최인석론, <이상한 나라에서 온 스파이>를 중심으로
그늘 속으로, 허무와 탈아(脫我)의 윤리 - 구효서론
불행한 의식의 현상학 - <행복>의 정지아론
제4부
자기의 테크놀로지와 글쓰기의 자의식 - 배수아 <에세이스트의 책상> 읽기
이토록 코믹한 데까르뜨 극장 - <달에 홀린 광대>를 통한 정영문 읽기
근대를 사는 괴물의 자의식, 그리고 소설의 불안 - 백민석 <죽은 올빼미 농장> 읽기
망각과 기억의 정치 혹은 원한의 멜랑콜리 - 임철우 <백년여관> 읽기
상실의 인간학, 기억의 테크놀로지
환멸의 세상을 견디는 방법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 지금 2000년대의 문학은 개인을 넘어선 '전체'를 사고하고 의식하는 상상의 길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우리가 확인한 바 있듯이 적어도 그들 문학이 그런 한계 속에서나마 부재 원인으로서 '사회'와 그 진실을 포착하고 상상하는 나름의 방법론적 자의식을 펼쳐가고 있다는 사실만큼은 부정할 수 없다. 예컨대 '상처'를 파헤쳐 응시하면서 내면을 뒤흔드는 그 우울한 현재적 파장을 기록하는 상상이나, 편집증적 유머 혹은 거짓말을 통해 허구적 가장 아래 은폐되어 있는 현실의 경악스런 진실을 누설하는 상상이나 모두 그 방법과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그 점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 촛점을 달리해볼 때 이들 2000년대 한국문학에 또다른 결여가 있다면 그것은 오히려 자아와 세계의 통합적 진실을 통찰하고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문학적 상상 자체에 내재한 가능성의 지평을 더욱 끝까지 밀어붙이지 못하는 데 있을 것이다. 우리가 이들 2000년대 문학에 기대하는 것은, 그럼으로써 문학에는 그 자체로 외삽적인 것일 수밖에 없는 '사회(학)적 상상력'이라는 개념까지도 필경 무색하게 만드는 경지일 것이다.
- 본문 94~95쪽, '다시 이들, 2000년대 문학의 상상력'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