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 년 동안의 진보

백 년 동안의 진보

강웅식, 권보드래, 김정한, 공임순, 손유경, 황병주, 차승기, 문경연, 이혜령, 이영미, 김준현, 김건우, 이화진, 김동식, 이철호, 강진웅, 조윤정, 송민호 (지은이), 박헌호 (엮은이)
소명출판
4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3,200원 -10% 0원
2,400원
40,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백 년 동안의 진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 년 동안의 진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59050077
· 쪽수 : 736쪽
· 출판일 : 2015-10-05

책 소개

광복 70주년을 맞아 한반도의 20세기를 지배했던 진보 서사의 담론적 의의와 그 실천양태를 점검하고, 지난 백 년간의 한국 근대사를 읽어낸다. 필자들은 진보에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적 지점들을 보여줌으로써 20세기 한반도에서의 진보 개념의 문제성을 드러내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박헌호
이끄는 글_ 백 년 동안의 진보, 또 하나의 매듭 박헌호

1부 근대의 ‘발견’ 또는 모더니티와 진보
1장 문명적 이상의 굴절과 진보하는 시간 송민호
1. 서론-진보하는 시간에 대한 확신은 어떻게 가능한가
2. 진보에서 개화로, 다시 진보로-문명적 이상의 절합과 굴절
3. 근대적인 시간성의 발견과 진보하는 시간의 도래
4. 문명적 이상의 충돌과 진보의 시간축
5. 결론

2장 진화·후진성·1차 세계대전-「학지광」을 중심으로 김동식
1. 후진성에 대한 고찰-「헤겔 법철학 비판을 위하여-서설」과 관련하여
2. 전면적 결핍의 상황과 진화라는 초월적 기호
3. 후진성 또는 비동시적인 것의 동시성에 대한 감각들
4. 후진성과 진화론 사이에 마련된 자아의 장소들 -생명의 새로운 역사성
5. 후진성에 의해 요청된 기원 또는 문예부흥-서구의 역사를 어디서부터 전유할 것인가의 문제
6. 실재에 대한 열정과 1차 세계대전-세계사적 사건에의 공속과 진화론의 상대화
7. 1차 세계대전과 인류의 재/구성-세계사적 동시성의 잠정적·형식적 확보

3장 1910년대의 혁명-3·1운동 전야의 개념과 용법을 중심으로 권보드래
1. “민중이 회집하여 혁명을”
2. 1900년대, 정치혁명과 정신혁명
3. ‘혁명’의 당대화-신해혁명과 다이쇼데모크라시
4. 「학지광」에 나타난 ‘혁명’
5. 3·1운동과 ‘혁명’

4장 1960년대 경제 엘리트의 진보와 주체 인식-생산성본부 미국시찰단을 중심으로 황병주
1. 머리말-진보와 발전 그리고 주체
2. 생산성본부 해외 시찰단 사업의 개요
3. 시찰의 시공간적 위상학
4. 시찰단의 미국 표상과 진보
5. 경제적 주체 형식들-개인과 국가 그리고 기업
6. 맺음말-만민 자본주의와 聖戰의 戰士

2부 이데올로기들의 거소-민족, 종교, 젠더
5장 영성과 모더니티-생명, 씨ㅇ·ㄹ, 율려로 본 한국적 진보의 궤적 이철호
1. 두 개의 진보-‘생존경쟁’과 ‘생명진화’
2. 탈서구화의 욕망, 보편주의의 재주술화 -이돈화의 ‘생명’
3. 민족의 성화, 세계주의라는 상상 -함석헌의 ‘씨ㅇ·ㄹ’
4. 동북아공생으로서의 근본주의-김지하의 ‘율려’
5. 생명과 진보

6장 1950년대 ‘진보’개념의 변화와 반공주의 내면화의 문제 김준현
1. 서론
2. ‘진보’의 주체 문제, 그리고 그 지향의 상대성
3. ‘진보’의 전유와 재전유, 그리고 외연의 확장
4. 진보당 사건과 ‘진보’의 외연 축소
5. 결론

7장 한국 현대지성사에서 ‘한신’이 가지는 의미 김건우
1. 들어가며
2. 또 하나의 ‘나라 만들기’ 기획
3. 제3세계 탈식민주의가 결과한 것들
4. 민중신학과 민중사회학
5. 남은 문제들-한신 노선의 기원

8장 1960년과 김구-추모·진상규명·통일론의 다이어그램 공임순
1. ‘김구’라는 문제계, 그를 둘러싼 기억 투쟁과 경합
2. 김구의 11주기 추도식과 쫓는 자/쫓기는 자의 진상규명‘투쟁’
3. 5·16에 의한 김구의 체제(국가)화와 억압되는 남북교류(협상)론
4. 장준하와 최인훈, 한일회담의 국면과 대항적 기억서사
5. 김구는 왜 진보와 보수 모두를 점할 수 있었는가-결론을 대신하며

9장 신여성과 일본군위안부라는 문지방들
-가적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를 돌아보며 이혜령
1. 신자유주의 한국의 1990년대 노스탤지어와 성 정치
2. 근대성의 총아로서의 신여성 연구와 딜레마
3. 일본군 ‘위안부’와 그 증언을 둘러싼 해석의 임계
4.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에 대한 제언

10장 북한의 주체 사회주의와 계몽의 기획-진보와 두 얼굴의 민족주의 강진웅
1. 들어가며
2. 역사적 진보와 야누스적 민족주의
3. 항일무장투쟁과 진보를 향한 역사
4. 유격대국가의 제도화와 주체사상의 규율화
5. 복고적 사회와 민족주의의 뒤안길
6. 나오며

3부 문학‘으로’ 진보
11장 시는 어떻게 진보에 기여하는가?-후진성·진보·새로움·시 강웅식
1.상황1-파국
2.상황2-한반도의 시간과 세계의 시간 그리고 ‘후진성’
3.진보와 새로움
4.김수영의 ‘순간을 다투는 윤리’와 시인 그리고 시
5.진실로 새로운 것의 출현-「눈」과 「풀」
6.시의 진보와 세계의 진보

12장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대중화-또는 문학운동과 외부성의 문제 차승기
1. 사막과 화원 사이에서
2. “대중의 움직임을 파악하라”-문학의 대중성과 형식
3. 두 가지 위기와 대중의 조직화-볼셰비키적 대중화
4. 문학과 직접성
5. 보편적 외부성-맺음말을 대신하여

13장 ‘생활’하는 ‘주의자’들-<‘김병화’傳>으로 읽는 「삼대」 박헌호
1. 시작하며
2. 생활-보여지는 것과 말해지는 것
3. 지향-행복에의 요청과 ‘역사’
4. 맺음말

14장 무대 위의 러시아, 번역된 고리키-고리키의 <나 드네>에서 함대훈의 <밤酒幕>까지 문경연
1. 한국 근대문학과 러시아문학의 조우
2. <나 드네>(1902), <夜の宿>(1910), <밤酒幕>(1933/1949)
3. <밤酒幕>과 무대의 진보 혹은 조선적 반향들
4. 나오며

15장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통해본 1970년대식 진보의 한 양상 손유경
1. 기원의 기원
2.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3. 번역과 대역, 혹은 유비의 메커니즘
4. 보편의 수행적 번역이라는 미완의 과제
5. 맺음말

4부 실천의 감성과 기억서사
16장 자생적인 실천적 이론, 그 성공의 시대
-1980년대 류해정의 촌극론·대동놀이론과 실천 이영미
1. 왜 류해정인가?
2. 이론의 핵심, 촌극과 대동놀이
3. 이론의 실천적 검증, 그 성과와 영향
4. 맺음을 대신하여-류해정 이론·실천의 의의와 그 후

17장 1980년대 운동사회의 감성-애도의 정치와 멜랑콜리 주체 김정한
1. 1980년대는 어떤 시대인가?
2. 감성의 좌표들
3. 정치 주체의 감성-열사의 유서
4. 애도의 정치와 멜랑콜리 주체

18장 1980년대 운동권에 대한 기억과 진보의 감성
-김영현, 박일문, 공지영의 9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조윤정
1. 10년 주기의 역사와 문학에 대하여
2. 혁명의 에너지로서의 슬픔과 공분
3. 배신(감)의 불가능성, 수치심과 죄책감
4. 상실감과 그리움, 애도의 (불)가능성
5. 결론

19장 ‘90년대’를 돌아보기-세대의 기억 상품과 자기 서사 이화진
1. 백 투 더 ‘90년대’
2. 시간의 난비, 재핑, 그리고 향수
3. 재활용되는 ‘90년대’의 문화와 세대의 자기 서사화
4. 유동하는 과거, 기억하려는 의지
5. ‘90년대’의 ‘청춘’을 기념하기

초출일람
필자 소개

저자소개

강웅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강릉 출생. 경희대학교 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석사졸업, 고려대학교 국문과 대학원 박사학위 취득. 1993년 「세계일보」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김혜순의 시와 음화적 이중구조와 현실인식」으로 당선. 주요 논문으로 「김수영의 시의식 연구」, 「한국 현대 서정시조의 한 양상」등이 있다.
펼치기
권보드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190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이르는 한국의 문학.문화를 공부하면서 '지금 여기의 기원'을 탐사해 왔다. 지금은 번역과 세계성의 변용, 북한문학과 세계문학 등의 주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2000), 『1960년을 묻다』(공저, 2012), 『3월 1일의 밤』(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권보드래의 다른 책 >
김정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강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대중운동의 이데올로기 연구: 5·18광주항쟁과 6·4천안문 운동의 비교』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실천문학 편집위원, 문화 과학 편집위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국방부 5·18특별조사위원회 민간조사관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현대 정치철학연구회를 공동 운영하고 있다. 현대 정치철학을 통해 역사적 사회운동들을 새롭게 인식하고, 그와 함께 보편적 사회운동을 위한 정치철학을 탐구하는 ‘사 회운동과 정치철학의 마주침’을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 『대중과 폭력: 1991년 5월의 기억』, 『1980 대중 봉기의 민주주의』(제7회 일곡유인호학술상 수상), 『비혁명의 시대: 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알튀세르 효과』(공 저), 『너와 나의 5·18』(공저),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80년대』 (공저), The History of Social Movements in Global Perspective(공저), Korean Memories and Psycho-Historical Fragmentation(공저), Toward Democracy: Sou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1945~1980(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폭력의 세기』, 『혁명가: 역사의 전복자들』(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5·18 항쟁 시기에 일어난 일가족 살인 사건: 전쟁, 학살, 기억」, 「5·18학살 이후의 미사未死: 아직 죽지 못한 삶들」, 「광주 학살의 내재성: 쿠데타, 베트남전쟁, 내전」 등이 있다.
펼치기
공임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서로 『우리 역사소설은 이론과 논쟁이 필요하다』, 『식민지의 적자들』, 『스캔들과 반공국가주의』, 『식민지 시기 야담의 오락성과 프로파간다』, 『3·1과 반탁』이 있고, 공저로 『냉전과 혁명 그리고 사상계』, 『문학과 과학 Ⅲ』, 『백 년 동안의 진보』 등이 있다.
펼치기
차승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부 부교수. 일제 말기의 근대비판 언설을 탐구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제 말 전시체제기의 문학, 사상, 언설을 초경계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한편, 식민주의 재생산의 구조 속에서 식민지/제국 체제의 한계 지점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에 주력해 왔다. 지은 책으로는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비상시의 문/법》이 있고, 공저로 《‘전후’의 탄생》, 《주권의 야만》 등이 있다. 최근에는 근대 동아시아의 교착된 경험과 글쓰기의 관계를 새롭게 개념화하는 일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문경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에 재직하며 인문교양과 문화예술 강의를 맡고 있다. 저서로 《취미가 무엇입니까?》 《한국 근대 극장예술과 취미 담론》, 역서로 《연기된 근대》 《포스트 콜로니얼 드라마》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다. 1984년부터 대중가요를 비롯한 대중예술, 민중가요, 연극, 등에 대한 평론과 연구를 해왔고,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성공회대 등에서 오랫동안 강의했다. 저서로는 『한국대중가요사』,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대중예술본색』,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신데렐라는 없었다』, 『마당극 양식의 원리와 특성』, 『대학로 시대의 극작가들』, 『동백아가씨는 어디로 갔을까』, 『세시봉 서태지와 트로트를 부르다』, 『광장의 노래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 『요즘 왜 이런 드라마가 뜨는 것인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현대소설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인 「전후 문학 장의 형성과 문예지」를 비롯하여 최근 논문인 「문학 매체로서의 ‘웹’의 대두와 소설가/작가」에 이르기까지 문학이 신문, 잡지, 웹 등의 매체와 관계 맺는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2012년 ‘ZA 문학상’을 수상하며 작가가 되었고, 2017년부터 웹소설을 쓰기 시작하여 ‘네이버 시리즈’, ‘문피아’ 등 주요 플랫폼을 통해 창작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웹소설 작가의 일』이 있다.
펼치기
이화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한국영화 및 극장문화를 연구한다. 「‘데프’의 영화를 찾아서 : <만종>(신상옥, 1970)과 그 주변」(2021), 「프랑스 지식인들과 전후 북한의 조우, 영화 <모란봉>(1960)」(2023), 「예술적 동정과 제국적 관용, 그 사이의 비평」(2019) 등의 논문과 『소리의 정치』(현실문화, 2016), 『조선영화란 하오』(공저, 창비, 2016), 『할리우드 프리즘』(공저, 소명출판, 2017), 『원본 없는 판타지』(공저, 후마니타스, 2020)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김동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펼치기
이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조교수
펼치기
강진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했고 미네소타주립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예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박사후연구원 및 사회학과 강사에 이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교수를 거쳐 현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북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사회의 민족주의와 북한의 사회변동을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주체의 나라 북한』(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조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인문사회과학부 강사이며,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치, 교육, 종교 등의 제도와 문학의 상관성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본을 둘러싼 감성의 문제가 문학에 미친 영향에 관해 연구한다. 저서 ≪작가가 된 학생 교단에 선 문인≫(2020), ≪백 년 전 수학여행≫(2018)을 펴냈으며, ≪문종의 기원≫(2019), ≪근대 국어 교과서를 읽는다≫(2016), ≪백 년 동안의 진보≫(2015), ≪한국 현대소설이 걸어온 길-작품으로 본 한국소설사(1945∼2010)≫(2013)를 비롯한 다수의 공저가 있다.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2012)을 편역했다.
펼치기
송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2002년에 같은 대학원에서 「이상 문학에 나타난 화폐와 글쓰기의 상관성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에는 연구영역을 개화기로 옮겨 2012년에 「동농 이해조 문학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개화기로부터 식민지시기로 이르는 시대에 존재했던 제도, 지식, 매체, 감각 등과 관련된 다층적인 언어 혹은 비언어적 현상들에 대해 폭넓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박헌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서울 출생.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고려대학교 BK21 한국학 연구교수 역임.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 저서 《이태준과 한국 근대소설의 성격》(소명, 1999), 《한국인의 애독작품-향토적 서정 소설의 미학》(책세상, 2001) 논문 〈한국 근대 단편 양식과 김동인〉(1·2) 〈구인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 근대소설사에서 단편 양식의 위상〉 〈나도향과 욕망의 문제〉 〈한국 근대소설사 연구에서 ‘양식’의 문제〉 등 다수.
펼치기
박헌호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