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호, 주체, 욕망 (정신분석학과 텍스트의 문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88936483210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07-07-1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88936483210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07-07-10
책 소개
라깡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문학텍스트의 관계를 통찰한 책. 실제 비평현장에서 정신분석이론이 일방적으로 문학비평에 적용되거나 문학비평이 정신분석이론을 도구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관찰한 지은이는 이 둘 모두를 지양하고 문학적 행위와 정신분석학적 행위를 동일한 메커니즘에 위치시키려 노력했다.
목차
책머리에
1부 포스트시대의 정신분석담론
1장 해석학과 에너지론 사이/ 프로이트의 무의식론
2장 무의식의 기호적 재현성/ 제1과정
3장 꿈의 언어/ 재현 가능성의 고려
4장 라깡의 언어적 무의식과 기호적 주체론
5장 담론의 구조와 주체의 자리
6장 오이디푸스를 넘어서/ 프로이트에서 라깡으로
2부 정신시학과 정신분석비평
7장 정신분석비평, 무엇이 문제인가
8장 프로이트의 고고학적 상상력과 문학비평
9장 텍스트성 무의식
10장 정신시학의 이원론적 구조
11장 주체와 타자의 욕망/ 라깡의 『햄릿』론
12장 기표의 물질성과 메타포/ 라깡의 의미론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사항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프로이트가 꿈의 작업에 대해서 기계론적 관점을 필력한 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무의식에 대해서 그것이 의식과 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고도의 인식론적 정신현상인가, 혹은-'원초적 과정'이라는 말이 시사하듯이- 원시적이고 고태적 차원의 정신상태를 일컫는가, 다시 말해서 그것을 해석학적 차원에서 접근할 것인가, 혹은 에너지론적 차원에서 접근할 것인가를 놓고 망설인 흔적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꿈의 사고가 꿈의 텍스트로 엮이는 무의식적 과정에서 드러나는 '논리적 관계'를 결코 무시하지 않았다.-p74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