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용불량국가

신용불량국가

(국제금융기구와 외채에 관한 진실, 세계 밖의 세계)

에릭 뚜생, 다미앵 미예 (지은이), 조홍식 (옮긴이)
창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용불량국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용불량국가 (국제금융기구와 외채에 관한 진실, 세계 밖의 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88936485344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06-06-15

책 소개

외채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국제금융기구와 채권국들의 냉혹한 세계 지배를 고발한다. 외채에 관해 일반 독자들이 궁금해 할만한 질문 50개를 선정하여 그에 대한 답변을 예리하고 명료하게 제시한다. 자국들의 이익을 위해서 외채를 볼모로 채무국을 억압하는 문제에 대해 전면적인 외채 탕감을 대안으로 내세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지도

제1장 세계화와 제3세계
Q 01 제3세계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Q 02 가장 빈곤한 계층의 생활환경은 개선되고 있는가?
Q 03 채무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Q 04 인간개발에 외채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제2장 개발도상국 외채의 기원
Q 05 개발도상국 외채를 가중시킨 자들은 누구인가?
Q 06 개발도상국 과중 외채의 지정학적 환경은 무엇인가?
Q 07 남부 개발도상국 외채를 가중시킨 자는 누구였으며,외채는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제3장 외채 위기
Q 08 외채 위기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Q 09 지난 30여년간 개발도상국의 외채는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Q 10 채권자들은 외채 위기에 어떻게 조직적으로 대처했는가?

제4장 외채 위기의 관리
Q 11 외채 위기의 관리에서 주요 행위자는 누구인가?
Q 12 국제통화기금은 어떻게 운영되는가?
Q 13 세계은행은 어떻게 운영되는가?]
Q 14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이 추구하는 경제적 논리는 무엇인가?
Q 15 구조조정정책이 강요하는 충격 조치는 어떤 것이며, 그 결과는 무엇인가?
Q 16 구조조정정책이 강요하는 구조적 조치는 어떤 것이며, 그 결과는 무엇인가?
Q 17 빠리클럽의 역할은 무엇인가?
Q 18 모든 개발도상국은 같은 대접을 받는가?

제5장 개발도상국 외채의 해부학
Q 19 개발도상국 외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Q 20 다양한 개발도상국의 주요 채권자는 누구인가?
Q 21 지난 30여년간 다양한 채권자의 비중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Q 22 개발도상국들은 빚을 갚고 있는가?
Q 23 외채 관련 자금의 흐름은 어떠한가?

제6장 외채 경감을 위한 과정들
Q 24 왜 외채 경감 조치가 마련되었는가?
Q 25 과중채무빈곤국 조치는 무엇인가?
Q 26 과중채무빈곤국 조치의 결과는 무엇인가?
Q 27 과중채무빈곤국 조치의 한계는 무엇인가?
Q 28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신동반자 관계(NEPAD)는 무엇인가?
Q 29 벌처 펀드(Vulture fund)란 무엇인가?

제7장 외채 탕감과 과거 지불 중지 사례
Q 30 과거에는 외채 탕감이 없었는가?
Q 31 왜 남부의 정부들은 외채를 계속 갚고 있는가?

제8장 개발도상국 외채 탕감을 위한 변론
Q 32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외채 탕감은 충분한 조건인가?]
Q 33 개발도상국 외채 탕감을 위한 도덕적 논리는 무엇인가?
Q 34 개발도상국 외채 탕감을 위한 정치적 논리는 무엇인가?
Q 35 개발도상국 외채 탕감을 위한 경제적 논리는 무엇인가?
Q 36 개발도상국 외채 탕감을 위한 법적 논리는 무엇인가?
Q 37 개발도상국 외채 탕감을 위한 환경적 논리는 무엇인가?
Q 38 개발도상국 외채 탕감을 위한 종교적 논리는 무엇인가?
Q 39 누가 누구에게 빚을 갚아야 하는가?
Q 40 외채 탕감은 조건부여야 하는가?

제9장 개발도상국 외채 탕감에 관한 논란
Q 41 만일 채권자들이 외채 탕감을 결정한다면 세계 금융 위기가 발생할 것인가?
Q 42 개발도상국 외채의 탕감은 북부 특히 북부 납세자들의 부담과 빈곤을 초래하지 않을 것인가?
Q 43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위한 다른 금융 수단은 무엇이 있는가?
Q 44 외채의 탕감은 특히 기존의 독재체제에 득이 되지 않겠는가?
Q 45 외채 탕감 이후 새로운 외채의 누적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Q 46 차관 도입 자체를 포기해야 하는가?
Q 47 개발도상국의 공공외채와 북부의 공공채무를 비교할 수 있는가?
Q 48 어떻게 개발도상국 외채의 탕감과 인간 조건의 보편적 개선을 이룩할 수 있는가?

제10장 외채 탕감을 위한 국제적 캠페인
Q 49 외채 탕감을 위한 국제적 캠페인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Q 50 왜 제3세계 외채 탕감을 위한 위원회를 창립했는가?

부록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에릭 뚜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자 및 정치학자로 브뤼셀에 위치한 제3세계 부채탕감을 위한 위원회(CADTM) 총재이다. 시민지원과 금융거래세금부과를 위한 운동 프랑스 지부 과학위원회 및 세계사회포럼 국제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반민중적 금융(La finance contre les peuples)>, <세계화의 미친 배(Le bateau ivre de la mondialisation)>(공저), <아프리카, 발전을 위한 외채 탕감(Afrique: abolir la dette pour liberer le developpement)>(공저), <꾸바, 정지된 혁명에서의 발걸음(Cuba: le pas suspendu de la revolution)>(공저), <막다른 골목에서의 탈출(Sortir de l'impasse)> 등이 있다.
펼치기
다미앵 미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오를레앙의 이공계 그랑제꼴 준비반에서 수학을 가르치면서 제3세계 외채 탕감을 위한 위원회(CADTM) 프랑스 지부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시민지원과 금융거래세금부과를 위한 운동(ATTAC) 회원, 니제르에서 발간되는 잡지 '알떼르나띠브(Alternative)'의 정기 기고자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조홍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파리정치대학(Sciences Po Paris) 정치·경제·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럽 정치와 국제정치경제다. 대표 저서로 『22개 나라로 읽는 부의 세계사: 역사의 흐름을 지배한 7가지 부의 속성』(2022), 『자본주의 문명의 정치경제』(2020), 『문명의 그물: 유럽 문화의 파노라마』(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국제 채무의 버블 규모는 엄청나다. 이러한 버블은 1980년대 말 일본에서 터졌고 일본은 아직도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은 1980년대와 1990년대 자신의 적자와 군사 비용을 다른 국가들에게 전가하면서 충격을 피해갔지만 기업과 가계의 채무 위기 및 잠재적인 주식시장의 위기로 전반적인 위기를 맞을 가능성도 있다. 이럴 경우 미국을 구제하기 위한 비용은 개발도상국 외채 탕감액보다 훨씬 클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주식시장의 침체로 2000년에서 2002년 여름 사이 15조 달러가 연기처럼 사라져버렸다. 이는 개발도상국 공공외채의 10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개발도상국의 공공외채 탕감에 들어가는 비용 때문에 세계 금융 위기가 초래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 외채를 지속했을 때 세계 금융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본문 209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