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전환 시대의 국가론

대전환 시대의 국가론

(위기 극복의 국제정치학)

김상배, 박성우, 홍태영, 손열, 조홍식, 송지연, 차태서, 여유경, 고민희, 민병원, 서울대학교 미래전연구센터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390원
38,6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전환 시대의 국가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전환 시대의 국가론 (위기 극복의 국제정치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4607471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3-09-25

책 소개

서울대학교 미래전연구센터 총서 여덟 번째 책이다. 이 책은 ‘신흥안보’ 위협이 정치·경제, 기술·사회, 환경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대전환을 초래하고 있는 오늘날, 과거 국가가 담당했던 역할 모델에만 기대어서는 이러한 대전환의 위기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다는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국가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서론 대전환 시대의 위기 극복 국가론: 왜 지금 다시 국가를 논하는가?_ 김상배

제1부 역사·사상 맥락에서 본 국가론
제1장 ‘국제’에 관한 고전정치철학의 이해와 현대적 활용: 새로운 상상력을 위하여_ 박성우
제2장 근대 국민국가에서 탈근대 민주적 공간으로: 근대국가에 대한 논의 지형 변화의 역사와 사상_ 홍태영

제2부 자본주의 국가론: 지구화, 산업화, 민주화 맥락
제3장 세계화, 재세계화, 자본주의 국가: 국가론의 재조명_ 손열
제4장 세계화 시대 자본주의 질서와 국가의 변화_ 조홍식
제5장 산업화, 세계화, 그리고 탈산업화 시대의 국가와 노동_ 송지연

제3부 전환기 국가론의 시각에서 본 미국과 중국
제6장 포스트-트럼프 시대 미국 정체성 서사 경쟁: 현대 국가론에서 문화적 전환의 맥락에서_ 차태서
제7장 위기와 거버넌스: 중국의 도구화된 이데올로기와 국가_ 여유경

제4부 대전환 시대의 미래 국가론: 팬데믹, 정보화 맥락
제8장 국가의 위기, 위기의 국가?: 코로나19 위기와 국가의 미래_ 고민희
제9장 네트워크 국가의 등장과 국가론의 미래_ 민병원

저자소개

조홍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파리정치대학(Sciences Po Paris) 정치·경제·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럽 정치와 국제정치경제다. 대표 저서로 『22개 나라로 읽는 부의 세계사: 역사의 흐름을 지배한 7가지 부의 속성』(2022), 『자본주의 문명의 정치경제』(2020), 『문명의 그물: 유럽 문화의 파노라마』(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손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동아시아연구원 원장이자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중앙대학교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원장이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과 언더우드국제학부장, 지속가능발전연구원장, 국제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하였고, 도쿄대학 특임초빙교수,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캘리포니아대학 방문학자를 거쳤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19)과 현대일본학회장(2012)을 지냈다. Fullbright, MacArthur, Japan Foundation, 와세다대 고등연구원 시니어 펠로우를 지내고, 외교부, 국립외교원,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동북아시대 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전공분야는 일본외교, 국제정치경제, 동아시아국제정치, 공공외교이다. 최근 저서로는 『트럼프의 귀환, 미국의 미래』(2025, 공편), 『미중 경제 전쟁과 한국: 경제안보의 부상, 위기와 기회』(2024, 공편), 『개념전쟁』(2023),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2021, 공편), 『2022 신정부 외교정책제언』(2021, 편), 『BTS 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2021, 공편),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2021, 공편), Japan and Asia’s Contested Order (2019, with T. J. Pempel), Understanding Public Diplomacy in East Asia (2016, with Jan Melissen), South Korea under US-China Rivalry: the Dynamics of the Economic-Security Nexus in the Trade Policymaking,” The Pacific Review 23, 6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홍태영 (감수)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이자 현 안보대학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1-22년 한국정치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유주의, 민족주의, 공화주의, 근대와 탈근대의 정치 등이다. 대표 저서로는 『국민국가의 정치학』(2008), 『정체성의 정치학』(2011), 『국민국가를 넘어서』(2019) 등이 있다.
펼치기
민병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대학원에서 국제정치를 공부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전공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머숀센터(Mershon Center) 펠로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교수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복잡계 이론을 바탕으로 국제정치 현상을 탐구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안보, 문화, 정보기술, 그리고 국제정치 이론 분야에서 다양한 주제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 왔다. 저서로는 『복잡계로 풀어내는 국제정치』(2005)가 있으며, 공동 집필 및 편집 저서로는 『복잡계 워크샵』(2006), 『탈냉전 이후 국제관계와 북한의 변화』(2009), 『집단지성의 정치경제』(2011), 『동아시아의 보편성과 특수성』(2014), 『장소와 의미』(2017),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적 지평』(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했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신흥안보와 사이버· 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차태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한국국방연구원KIDA 안보전략센터 연구원, 공군사관학교 군사전략학과 전임강사 등을 역임하였다. 담론분석과 정치사상사를 기반으로 미국 외교와 세계질서 변동 연구에 집중해 왔으며, 성찰적 현실주의의 시각에서 신냉전 시대 국제관계 변화와 한국 외교의 대응방향을 모색할 계획이다. 최근 저술로는 『30년의 위기: 탈단극 시대 미국과 세계질서』(2024), "Contending American Visions of North Korea: The Mission Civilisatrice versus Realpolitik (Millennium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아렌트, 니체, 스트라우스의 관점에서 플라톤 정치철학을 재조명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조교수, 부교수를 지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고, 서울대학교 국제정치사상센터장을 맡고 있다. 연구 분야는 고전정치철학과 국제정치사상이며, 양 분야의 학제적 결합을 모색하는 연구 영역도 개척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는 ≪국가: 플라톤≫(2022), ≪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2014)가 있으며, 책임 편집한 책으로 ≪동굴 속의 철학자들≫(2021), ≪정치사상사 속 제국≫(2019) 등이 있다. 스트라우스와 관련된 논문으로 “스트라우스의 니체 해석을 통해 본 스트라우스 정치철학의 의도”, “레오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이라크 전쟁의 레오 스트라우스 책임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등이 있다.
펼치기
여유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국제학과 교수다. 미국 메릴랜드대학-컬리지파크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콩시립대학에서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하버드대학교 페어뱅크 중국연구센터에서 방문학자로 활동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정치경제, 중국 외교경제 정책, 동아시아 국제관계, 글로벌 거버넌스와 중국이다. 대표 저서로 Varieties of State Regulation: How China Regulates Its Socialist Market Economy(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 2020)가 있다.
펼치기
송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주요 연구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는 정치적 갈등, 경제시스템의 변화, 사회복지정책 대응 등을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자본주의 모델의 조정 및 세계화와 탈세계화 흐름 속에서 출현하고 있는 양극화, 대중주의(populism), 반이민주의 등의 정치적 지형을 비교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있다. 대표 저서로 Inequality in the Workplace: Labor Market Reform in Japan and Korea(Cornell University Press, 2014)가 있고, 동아시아 정치, 비교정치경제, 국제정치경제, 노동시장, 복지정책, 이민정책, 국제개발협력 등을 분석한 다수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고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영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뉴저지 윌리엄패터슨 주립대, 뉴욕시립대(CUNY)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소수자 정치, 지속가능성, 도시 불평등, 젠더이다. 미국을 중심으로 도시정치, 재난과 불평등, 인종문제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대표 저서로 Rethinking Community Resilience: The Politics of Disaster Recovery in New Orleans(NYU Press, 2021)가 있다. 현재는 동아시아의 젠더불평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펼치기
서울대학교 미래전연구센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래전연구센터는 동 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산하에 서울대학교와 육군본부가 공동으로 설립한 연구기관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전과 군사안보의 변화에 대하여 국제정치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전략의 모색 과정에서는 단순한 기능적 역할 변화의 차원을 넘어서 국가의 존재적 형태 변화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이는 국가의 조직구조나 주권관념의 재조정 문제이며 동시에 대내외적 국가정체성을 재설정하는 문제를 의미한다. 이는 초국적이고 인도주의적 난제에 대처하는 국가의 규범성과 정당성 확보의 과제와 연결된다. 위기 극복의 주체가 예전부터 우리가 알고 있던 국가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는 전형적인 국가 또는 ‘국제’의 틀을 넘어서 개방적 규범국가를 추구하는 문제로 귀결된다. 또한 디지털 기술문명의 대전환을 맞아 국가모델의 지향점을 고민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과거 효율성의 증대를 앞세운 성장국가 모델을 넘어서 성장과 함께 가치와 규범적 요소의 중요성도 간과하지 않는 가치국가 또는 어진 국가로의 변환이 필요하다._ 서론 “대전환 시대의 위기 극복 국가론” 중에서


근대를 넘어선 새로운 공동체와 새로운 주체에 대한 모색은 상징적으로 1968년 혁명과 함께 시작한 탈근대의 움직임과도 연관된다. 홉스의 국가가 근대적 개인과 그들의 집합적 총체로서 인민에서 출발하여 국민으로의 전환 과정을 거치면서 국민국가로의 길을 열었다면, 탈근대적 문제 설정 속에서 개인은 결코 하나의 잣대로 획일화될 수 없고, 동일시될 수도 없는 다중적인 개인들이다. 그리고 그들의 집합적 실체로 인민은 사건을 통해 구성되고 또한 해체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흐름을 통해 재구성과 해체를 반복하는 무한의 실체이다. 따라서 새로운 공동체에 대한 사유는 이러한 무한의 개인들과 그들의 무한 반복적인 구성에 기반한 공동체의 구성이어야 한다._ 제2장 “근대 국민국가에서 탈근대 민주적 공간으로” 중에서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이 모두 문자 그대로인 세계화 즉, 국경을 넘는 상호연결성의 확대, 심화와 가속화 때문에 야기된 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들이 신자유주의라는 특정한 관념과 이념으로 무장한 강력한 행위자들의 결정과 실행에 따른 결과라고 한다면, 문제의 소지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라고 하는 세계화의 한 종류에 있다. 현재 우리가 주목하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는 역사상 특정한 단계에 존재하는 정치적 구성물이며, 따라서 논리적으로는 다양한 유형의 세계화의 존재가 상정될 수 있다. 현재의 세계화 유형은 불만과 저항을 통한 비세계화를 겪으며 재배열·재구성을 통해 다양한 경로로 분기·전화하는 재세계화의 과정을 겪거나, 겪게 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세계화는 근본적인 쇠퇴라기보다는 조정의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세상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결함을 교정하고 비세계화의 흐름을 억제하여 재세계화로 나아가는 시점에 있다._ 제3장 “세계화, 재세계화, 자본주의 국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