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3650353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8-06-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왜 초대교회를 다시 읽어야 하는가
1. 교회의 시작점에 대한 논의 - 교회란 무엇인가
2. 기독교가 급속하게 확산된 이유 - 초대교회의 형성 배경
3. 민족주의, 인종주의를 넘어 세계로 - 유대교와 기독교
4. 대안적 세계관과 가치관의 승리 - 초대교회의 성장과 박해
5. 죄인을 구원하는 은총의 통로 - 라틴 교회
6. 신비를 추구하는 신앙 - 동방 교회
7. 근본을 추구하는 급진파들 - 초대교회의 이단 운동
8. 세속화에 맞선 사막의 영웅들 - 수도원 운동
9. 국가와 교회의 관계의 전환점 - 기독교 공인
10. 제국 교회, 제국 신학의 탄생 - 니케아 공의회
11. 다름이 틀림으로 - 교리의 확립과 교회의 분열
12. 초대교회의 뒤안길 - 아우구스티누스와 역사
에필로그 - 다시 낮은 곳으로, 다시 환대와 포용으로
주
초대교회 연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교회의 역사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교회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가장 세속화된 현장 속에서 이 세상을 넘어선 가치와 이상이 존재함을 온몸으로 보여 준 것이 바로 교회였다. 본회퍼의 표현처럼 ‘체제 밖의 타자’를 지향하는 수도원 공동체가 초대교회였다. 이를 위해 교회는 많은 피를 흘렸고, 오해를 받고, 변방으로 내몰리기도 했다. 교회 역사는 기독교 교리의 형성과 신학이 형성되는 과정의 기록이 아니다. 세상 역사의 흐름 속에서 교회와 세상이 어떻게 상호작용해 왔는가에 대한 기록이다.
- 프롤로그
기독교의 신 인식과 인간관은 왜곡된 유다이즘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유대교가 배타적인 민족주의로 나아가면서 왜곡된 것을 바로잡는 역할을 종교로서 기독교가 하였다. 기독교가 단순히 유대교의 틀에 머물러 있지 않고, 보편 종교 혹은 세계 종교로 방향을 선회한 것이 궁극적으로 엄청난 차이를 만들어 냈다. 더불어 기독교가 유대교와 구별되는 점은 율법의 종교에서 약속의 종교로 나아간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신에 대한 인식 자체가 바뀌었음을 나타낸다.
- 3장 민족주의, 인종주의를 넘어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