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1623년의 북경 외교

1623년의 북경 외교

(인조 책봉주청사 이민성의 조천록(朝天錄), 2014 우수출판콘텐츠 선정)

이민성 (지은이), 이영춘, 정진석, 강한규, 원재연, 이미선 (옮긴이)
대원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1623년의 북경 외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1623년의 북경 외교 (인조 책봉주청사 이민성의 조천록(朝天錄), 2014 우수출판콘텐츠 선정)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88936908324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4-12-15

책 소개

1623년 3월, 인조반정 후 명나라에 인조 책봉을 요청하기 위하여 사신으로 갔던 이민성(李民宬) 일행의 여행 견문과 북경에서의 활동을 기록한 일기 「조천록(朝天錄)」의 국역본이다.

목차

서 문

「조천록(朝天錄)」 해제(解題)

조천록(朝天錄)
1 서장관에 임명되어 여행 준비를 하다
2 서울을 출발하여 평안도 선사포에 이르다
3 험난한 항해 끝에 중국 등주(登州)에 이르다
4 등주에서 군문(軍門)을 설득시키고 봉래각(蓬萊閣)을 유람하다
5 등주에서 제남(濟南)으로 이동하여 선박 지급 증서를 받다
6 제남에서 대운하의 요충지 덕주(德州)에 이르다
7 덕주에서 배를 타고 천진(天津)에 이르다
8 천진에서 육로로 북경에 이르다
9 북경 각 아문을 찾아 피 말리는 외교전을 벌이다
10 외교전이 교착 상태에 빠지다
11 최후의 외교 투쟁을 벌이다
12 드디어 책봉을 인가받고, 북경 각지를 유람하다

13 북경을 출발하여 귀국길에 오르다
14 등주에서 배를 타고 선사포로 돌아오다
15 선사포를 출발하여 서울로 귀환하다

부록 | 사신(使臣)들의 보고 문서
책봉 전례를 빨리 시행해 주기를 청하는 주본(奏本)
황제에게 올리는 주문(奏文)의 초고 수정을 청하는 계본(啓本)
관소에서 올린 비밀 장계
또 관소에서 올린 비밀 장계(옥하관 비밀 장계(玉河館?密狀啓))
책봉이 완결된 일을 선발대 편에 보내는 장계
별도로 올린 장계(별장계(別狀啓))
모 도독(毛都督)에게 보낸 문서
등주(登州)에서 올린 장계

저자소개

이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70년(선조 3)∼1629년(인조 7), 조선 중기의 문신. 경상북도 의성 출신으로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관보(寬甫), 호는 경정(敬亭). 1597년(선조 30) 정시(庭試) 문과에 급제, 승문원 부정자, 박사, 승정원 주서(注書) 등을 역임하였다. 1602년(선조 35) 왕세자 책봉주청사 서장관으로 북경에 갔다가 이듬해에 귀환하여 예조 병조 좌랑을 지냈다. 1613년(광해군 5) 예조 정랑, 홍문관 교리를 지내며 폐모론을 비판하여 파직되었다. 이듬해 홍문관 부수찬으로 복직되었으나 다시 파직된 후 낙향하여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후 책봉주청사 서장관으로 북경에 파견되어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였다. 1624년에 북경에서 돌아와 성균관 사성 겸 사헌부 집의에 임명되었다. 1625년 동부승지로 승진하였고,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는 경상좌도 의병대장이 되었다. 다시 좌승지를 지내고, 1629년 형조 참의가 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해 8월 15일 병으로 작고하였다. 1672년(현종 13) 장대서원(藏待書院)에 제향되었다. 현재 1000여 수의 시가 전해지며, 문집으로 『경정집(敬亭集)』이 있다.
펼치기
이영춘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울산시 울주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사편찬위위원회에서 편사연구사, 편사연구관, 연구편찬실장을 역임하였다. 2019년 현재 한중역사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오래 동안 조선시대 정치사와 사상사를 연구해 왔으나, 현재는 한중 관계사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조선시대 왕위계승연구』를 비롯한 다수의 저서와 10여 종의 번역서가 있다. 이 외에도 「철종초 신해조천 예론」, 「인조반정 후에 파견된 책봉주청사의 기록과 외교 활동」 등 수십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진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생 부산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연수과정 국사편찬위원회 근무, 심원고전연구소 운영
펼치기
강한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생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럭키소재 기획관리팀장, 동진전원 이사 역임. 漢字學 硏索
펼치기
이미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한신대학교 국사학과 초빙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 연구교수 겸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주요 저서로는 <조선왕실의 후궁-조선조 후궁제도의 변천과 의미-��(지식산업사, 2021), <헌종의 후궁 경빈 김씨의 혼례식 풍경을 담다-譯註 慶嬪嘉禮時嘉禮廳謄錄->(민속원, 2020), <숙의가례청등록>(공역,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1756년의 북경이야기>(공역, 교육과학사, 2016), <조선 인물 이렇게 본다>(공저, 경인문화사, 2015),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여성>(공저, 글항아리, 2014), <1623년의 북경 외교>(공역, 대원사, 2014), <조선 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지식산업사, 2010)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