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13(숙종 39) 전주 오목대梧木臺에서 출생
1739(영조 15) 정시庭試 문과에 장원급제. 성균관 전적, 예조정랑. 병조정랑
1748(영조 24) 사헌부 지평으로 영조의 탕평책 비판, 해남에 유배
1752(영조 28)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장령, 이조 정랑
1755(영조 31) 11월 동지사 서장관으로 북경 파견
1756(영조 32) 3월 북경에서 귀국. 연행록 《음빙행정력飮氷行程歷》 저술
1757(영조 33) 문과 중시重試에 장원급제, 승지, 대사간, 예조참의 역임
1759(영조 35) 1762년 의주부윤, 형조참의, 승지, 대사간, 황해도 관찰사 역임
1764(영조 40) 승지, 대사간 역임. 형조참의, 동래부사, 한성부 좌윤 등 사양
1771(영조 47) 한성부 우윤. 남해로 유배, 흑산도에 위리안치
1778(정조 2) 1779 홍계희 일가의 역모에 연루, 탄핵. 함경도 이성현에 유배
1787(정조 11) 12월 유배지에서 타계. 익년에 사면. 전주 인봉서원에 제향
펼치기
이영춘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울산시 울주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사편찬위위원회에서 편사연구사, 편사연구관, 연구편찬실장을 역임하였다. 2019년 현재 한중역사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오래 동안 조선시대 정치사와 사상사를 연구해 왔으나, 현재는 한중 관계사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조선시대 왕위계승연구』를 비롯한 다수의 저서와 10여 종의 번역서가 있다. 이 외에도 「철종초 신해조천 예론」, 「인조반정 후에 파견된 책봉주청사의 기록과 외교 활동」 등 수십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원재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3년 생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동 대학원 문학박사
수원교회사연구소 연구실장, 덕성여대 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연구교수
펼치기
이순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조선시대 여성사로 석사, 박사를 받았다. 오랫동안 국사편찬위원회에 근무하면서 조선왕조실록, 일기류 등을 통해 연구의 폭을 넓혔다. 서울시 문화재위원, 서울 역사도시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조선의 가족 천개의 표정』(2011), 공저로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2005),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2012), 『한국여성사 깊이읽기』(2013), 『한국의 과학기술과 여성』(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정해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조선후기 무과급제자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어느 경상도 양반가의 무관 진출기』(2023), 『조선의 무관과 양반사회-무과급제자 16,643명의 분석 보고서』(2020, ‘2021년 세종도서 학술 부분’ 선정), 『고려, 북진을 꿈꾸다』 (2009, ‘2009 우수 저작 및 출판지원사업’ 선정), 『한국 전통 병서의 이해(1, 2)』 (2004, 2008) 등이 있다.
주요 공저로는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2022, 공저),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2022, 공저), 『군영 밖으로 달아난 한양 수비군』(2019, 공저), 『국왕과 양반의 소통 구조』(2019, 공저), 『국앙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2019, 공저) 등이 있으며, 공동 번역서로 『국역 노상추일기(1~12)』(2017~2020)가 있다.
펼치기
정진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생
부산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연수과정
국사편찬위원회 근무, 심원고전연구소 운영
펼치기
강한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생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럭키소재 기획관리팀장, 동진전원 이사 역임. 漢字學 硏索
펼치기
이미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한신대학교 국사학과 초빙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 연구교수 겸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주요 저서로는 <조선왕실의 후궁-조선조 후궁제도의 변천과 의미-(지식산업사, 2021), <헌종의 후궁 경빈 김씨의 혼례식 풍경을 담다-譯註 慶嬪嘉禮時嘉禮廳謄錄->(민속원, 2020), <숙의가례청등록>(공역,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1756년의 북경이야기>(공역, 교육과학사, 2016), <조선 인물 이렇게 본다>(공저, 경인문화사, 2015),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여성>(공저, 글항아리, 2014), <1623년의 북경 외교>(공역, 대원사, 2014), <조선 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지식산업사, 2010)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