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37425653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06-09-10
책 소개
목차
1강. 오늘날의 철학, 진리들에 발생한 기이한 모험, 진리의 도래, 역사와 철학의 접합
2강. 철학의 축소와 확대, 세대라는 드라마, 물리학의 제국주의, 실용주의
3강. 우리 시대의 주제, 단순한 상징주의로서의 '과학', 반란 중인 모든 과학, 철학이란 왜 존재하는가, 과학과 철학적 인식의 정확성
4강. 우주 혹은 다원적 세계에 대한 인식, 문제 해결에 대한 문제 자체의 우월성, 이론적 문제와 실천적 문제, 범논리주의와 생적 이성
5강. 철학의 필요성, 현재와 공재, 근원적 존재, 자율과 전체성, 신비주의자에 대한 신학자의 방어
6강. 신념과 이론, 유쾌함, 직관적 명증성, 철학적 문제에 관한 사실들
7강. 우주에 관한 사실들, 데카르트적 회의, 의식의 이론적 우수성, 매와 같은 자아
8강. 주관론의 발견, '활홀경'과 '고대 유심론', 근대 주관론의 두 근원, 기독교의 초월신
9강. 우리 시대의 주제, 철학의 근본적 혁신, 우주에 대한 기본적 사실, 세계에 있어서의 자아와 나에 있어서의 세계, 우리 각자의 삶
10강. 새로운 실재와 실재에 대한 새로운 관념, 궁핍한 자아, 삶은 세계 내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것. 삶은 우리의 미래 존재를 결정하는 것
11강. 우리의 삶이 바로 근원 실재이다. 삶의 범주, 이론적 삶, 환경, 운명과 자유, 내적 모델, 관심과 비관심
책속에서
모자이크 중 한 부분이 빠져 있을 때 우리는 그 빠진 부분을 보고 그것을 인식한다. 즉 우리가 이 빠져버린 부분에 대해 보고 있는 것은 그것의 부재이다. 이 부분이 현전하고 있는 존재 방식은 결여 혹은 부재라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근원적 존재는 영원하고 본질적인 부재, 즉 세계 내에서 언제나 부재하고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우리는 근원적 존재를 볼 때 마치 외팔이의 없는 팔을 보듯 단지 부재가 남긴 상처만을 보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상처의 윤곽을 그리고 절단선을 묘사하면서 근원적 존재에 대한 정의를 내려야 한다. -- 본문 9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