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최초의 질문

최초의 질문

(기술 선진국의 조건)

이정동 (지은이)
민음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30원
13,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900원 -10% 590원 10,120원 >

책 이미지

최초의 질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최초의 질문 (기술 선진국의 조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3744281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축적의 시간’이라는 키워드로 한국의 기술혁신 생태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며 도전적 시행착오을 축적할 방법을 모색해 온 서울대 공대 이정동 교수가 이번 신작 『최초의 질문』에서 던지는 화두는 혁신의 시발점이다.

목차

머리말 우리는 무엇을 지향하는가 5

1 질문이 달라졌다
치열한 추격의 기억 19|추격의 정점에 서다 31|화이트 스페이스에서 던지는 질문 39

2 기술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혁신의 핵심 원리: 최초의 질문과 스케일업 47|최초의 질문이 이끄는 기술의 진화 55|최초의 질문: 자격과 종류 64|기술의 미래는 인간의 질문이 결정한다 73|진화를 촉진하는 선택 환경 81

3 기술 탄생의 현장에서 찾은 혁신의 원리
스페이스X와 장르의 탄생 89|mRNA 백신의 여정 96|원자 단위 게임의 룰을 쓰다 102|맞춤형 마우스를 만들라 108

4 질문하는 사람을 찾아서
장르를 여는 기업가 117|최초의 질문으로 혁신을 이끄는 리더십 123| 평생 질문하는 사람을 키우는 사회 133

5 세계의 기술 경쟁을 좌우하는 최초의 질문
질문을 검증하는 기술 선진국 149|최초의 질문을 쌓아 만드는 매뉴얼 156|대체할 수 없는 기술이 전략 기술 163|국제표준을 장악하라 174|가이아-X 프로젝트로 보는 유럽의 질문 181

6 최초의 질문을 던지는 국가
기술혁신에 국가의 소임이 있다 189|미래를 위해 질문하는 국가 206|수준 높은 질문을 키우는 제조 역량 215|도전적 질문을 뒷받침하는 금융 223|성장의 문화 236
맺음말 내가 꿈꾸는 기술 선진국 251

주 255

저자소개

이정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및 대학원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2020~),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2018~)이며 한국생산성학회 회장(2011)과 한국기업경영학회 회장(2017)을 역임했다. 2018년부터는 기술혁신 분야를 대표하는 국제 학술지 《Science and Public Policy》(옥스퍼드대학 출판부)의 공동 편집장으로 있으며, 대통령 비서실 경제과학특별보좌관(2019~2021)으로 국가정책의 수립에 기여했다. 《축적의 시간》(2015), 《축적의 길》(2017), 《최초의 질문》(2022)을 펴내면서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2023년 1월 KBS 다큐멘터리 〈최초의 질문〉을 통해 혁신을 위한 도전적 질문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을 전한 바 있다. ‘그랜드 퀘스트’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전 과정을 총괄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동서남북으로 마구잡이로 움직이는 벌레는 먹이를 찾을 수 없다. 벌레도 지향점이 있어야 한다. 높이 오르려고 하든 달콤한 것을 찾든 지향이 있어야 하고, 그 지향을 밝히는 등대 구실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물계에서 변이가 너무 다양하면 새로운 종이 탄생하기 어렵다. 전해지는 것이 적기 때문이다. 기술의 진화도 마찬가지다. 연구자든 기업가든 오늘 이것 하다 안 되면 내일 저것 찌르는 식으로 보이는 대로 또는 들은 대로 지향점 없이 마구잡이 시도를 하면 탁월해질 수 없다. 지향점이 없으니 실패에서 학습과 축적이 안 되고, 당연히 질문도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최초의 질문이라는 지향점이 있으면 오늘 비록 성과가 없고 실패했어도 방향을 수정할 교훈을 얻지만, 지향점이 없으면 실패하는 순간에 뭔가를 배우기는커녕 짐 싸서 뜰 생각부터 하게 된다.


히포(HIPPO, Highest-Paied Person’s Opinion) 신드롬이라는 말이 있다. 히포가 조직에서 임금을 많이 받는 사람의 견해를 가리키니, 히포 신드롬은 상급자가 답을 불러 주면서 의사 결정을 주도할 때 생기는 문제를 뜻한다. 상급자가 ‘내가 제일 잘 안다’며 자신이 생각하는 정답을 받아쓰게 하고 하급자도 ‘리더가 말하는 게 답이겠지.’ 하고 무비판적으로 따르는 조직에서는 도전적인 최초의 질문이 나오기 어렵고 당연히 스케일업은 꿈도 못 꾼다. 실패가 있을 수밖에 없는 도전적 시행착오를 용납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는 한국이 인구 1000명당 연구원 수를 따질 때 중국보다 6.7배 더 많다며 안심해도 된다는 사람이 많은데, 기술 개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르고 하는 소리다. 주택 보급률이나 인터넷 보급률과 달리 기술혁신은 인구 1000명당 연구원 수보다 연구원의 절대 숫자가 많아야 더 높은 수준의 기술을 가질 수 있다. 중국의 연구원 수는 한국의 4.3배다. 세계적으로 경쟁하는 첨단 분야는 뻔한데, 네 배나 많은 사람이 달려들면 도전적인 질문을 제기할 가능성이 더 크고, 연구 결과가 더 좋을 수밖에 없다. 한국이 그나마 반도체 같은 첨단 분야에서 중국과 기술 격차를 유지하는 것은 먼저 출발한 덕에 도전적인 최초의 질문을 제기할 인재를 더 오래 축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 추세라면 따라잡히는 것이 시간문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7442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