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랜드 퀘스트 2024

그랜드 퀘스트 2024

(대한민국 과학기술과 산업의 미래에 ‘질문’을 던지다, 2024 세종도서 교양부문)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강기석, 강찬희, 김광일, 김도헌, 김상범, 김용대, 김장우, 김현진, 박제근, 백민경, 성영은, 안정호, 윤성로, 윤태영, 이인아, 장병탁, 조규진, 천정희, 최장욱, 현택환 (지은이), 이정동 (기획)
포르체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820원 -10% 0원
990원
16,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860원 -10% 690원 11,780원 >

책 이미지

그랜드 퀘스트 202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랜드 퀘스트 2024 (대한민국 과학기술과 산업의 미래에 ‘질문’을 던지다, 2024 세종도서 교양부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2730882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3-11-08

책 소개

‘그랜드 퀘스트’ 프로젝트에서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학계 전문가들이 논의하고, 질문하고, 그에 대한 답을 담아낸 책이다. 국내 최고의 석학들이 함께 도출한 10개 분야의 그랜드 퀘스트를 통해 독자들은 미래 산업을 예견하고 지속 가능한 세계를 만들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목차

머리말 4
발간사 8

1장.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 질문, 그랜드 퀘스트
혁신적 기술의 탄생 원리 _ 이정동 15

2장. 초미세·초저전력 반도체
차세대 초전도 반도체 _ 김장우 33
반도체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아날로그 컴퓨팅 _ 김상범 49
초미세·초저전력 반도체에 관한 대담 64

3장. 차세대 배터리
배터리의 발전과 차세대 리튬 기반 배터리 _ 강기석 79
다가 이온 기반의 차세대 배터리 _ 최장욱 94
차세대 배터리에 관한 대담 111

4장. 효소모방촉매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기술의 현황과 난제 _ 성영은 123
자연모사 비귀금계 산소발생촉매의 개발 _ 현택환 134
효소모방촉매에 관한 대담 143

5장. 환경 적응적 로봇
체화된 지능을 보유한 기계 _ 김현진 155
물리적 지능으로 비정형 환경에 적응하는 로봇 _ 조규진 172
환경 적응적 로봇에 관한 대담 182

6장. 체화 인지 구조 인공지능
열린 세계로 들어서는 체화 인지 구조 인공지능 _ 장병탁, 이인아 197
체화 인지 구조 인공지능에 관한 대담 215

7장. 추론하는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생각을 알아야 하는 이유 _ 김용대 229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_ 윤성로 247
추론하는 인공지능 기술에 관한 대담 260

8장. 동형암호
데이터를 보호하는 동형암호의 원리와 발전 _ 천정희 269
동형암호의 이론적 정립과 실제화 _ 안정호 285
동형암호에 관한 대담 290

9장. 항노화기술
노화란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_ 김광일 309
노화 세포를 탐색하고 제어할 수 있을까? _ 강찬희 323
항노화기술에 관한 대담 340

10장. 인공지능 기반 항체 설계
알파폴드와 로제타폴드로 항체 신약을 설계할 수 있을까 _ 윤태영, 백민경 353
인공지능 기반 항체 설계에 관한 대담 375

11장. 양자정보과학
양자과학 기술의 현재와 미래 _ 박제근 387
집적 회로 기반 양자 컴퓨팅 _ 김도헌 396
집적 회로 기반 양자 컴퓨팅에 관한 대담 411

감사의 글 422

저자소개

이인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습과 기억에 관한 뇌 활동의 신경 메커니즘을 연구해 온 세계적인 뇌인지과학자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유타대학교에서 신경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대학교 의과대학의 신경생물해부학과와 보스턴대학교 뇌-기억 센터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조교수를 지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AI연구원 실무추진위원 및 운영위원을 겸하고 있다. 한국뇌신경과학회 사무총장과 학술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뇌인지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들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게 생물학과 인지과학, 그리고 자연지능과 인공지능을 넘나드는 융합적 뇌과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아이오와대학교 조교수 시절부터 이끌어 온 세계적 수준의 연구팀과 함께 해마의 학습 기전 연구의 최전선에서 활약하고 있다. 특히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일화기억의 학습이 해마 신경망에 의해 어떻게 생물학적으로 구현되는지 실험으로 규명하기 위해 신경생리학적 방법과 함께 가상현실 행동실험 패러다임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를 통해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해 왔고, 연구의 우수성과 한국 뇌과학 커뮤니티에 대한 봉사와 공헌을 인정받아 한국뇌신경과학회로부터 장진학술상을 받았다. 최근에는 대중 강연을 통해 뇌인지과학의 즐거움뿐 아니라, 인공지능보다 뛰어난 뇌의 우수성을 알려 모두에게 희망을 주는 뇌과학을 소개하는 데 힘쓰고 있다. 네이버와 서울대가 공동으로 제작한 〈생각의 열쇠, 천개의 키워드〉 강연 시리즈를 선보였으며, 지은 책으로는 『기억하는 뇌, 망각하는 뇌』, 『그랜드 퀘스트 2024』(공저), 『또 다른 지능, 다음 50년의 행복』(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현택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석좌교수로 화학생물공학부에 재직 중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의 나노연구단장을 겸하고 있다. 2012년 삼성호암상, 2016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22년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을 수상하였다. 크기와 조성이 균일한 나노 입자를 대량 합성할 수 있는 ‘승온법(Heat-up process)’ 개발로 나노 입자의 응용 분야를 넓힌 세계적 석학이다. 2010년부터 11년간 〈미국화학회지〉의 부편집장으로 활동하였으며 2011년 발표된 ‘세계 화학자 100인’에서 화학 분야 37위, 재료과학 분야 17위에 선정됐다. 2020년 유력한 노벨상 후보로 지목되기도 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 미국공학한림원, 스웨덴왕립공학한림원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세계가 직면한 주요 이슈를 연구하고 중장기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정책 싱크탱크를 지향하고 있다. 다양한 전공 분야와 전문성을 보유한 서울대학교의 학문적 자산을 기반으로 학문의 구분을 넘어선 융복합적 연구, 증거 기반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한국, 인구, 민주주의, 팬데믹, 과학과 기술의 미래, 경제안보, 탄소중립이란 주제를 다학제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7개의 연구 클러스터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이 당면한 지정경 리스크’, ‘다시 쓰는 민주주의’, ‘교육 개혁’ 등 주요 현안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시하기 위한 프로젝트 연구를 진행해 왔다.
펼치기
강기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년간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와 그 소재를 연구하며 2013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젊은과학자상, 2017년 미래창조과학부 이달의 과학인상, 2019년 한국공학한림원 젊은공학인상을 수상하였다. 2020년 기존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 소재의 한계를 벗어난 신개념 ‘나노복합소재’를 바탕으로 한 고성능 전극과 차세대 이차전지로 꼽히는 리튬공기전지를 위한 고출력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 글로벌 이차전지 산업을 이끌어 갈 인재로 평가받아 2020년 <사이언스(Science)>지의 편집위원, 영국 왕립화학회 석학회원(FRSC)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23년 홍진기 창조인상(과학기술 부문)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강찬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트레스 반응과 노화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2017년 포스코 청암재단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 2017년 서경배과학재단 신진과학자, 2022년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과학자로 선정되어 노화 조절 네트워크를 끊임없이 연구하여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노화 연관 염증 반응의 핵심 조절자의 동정, 노화 세포의 특성을 유지하는 선택적 오토파지 네트워크 구축, 오랜 기간 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콜레스테롤의 노화 조절 기전 규명 등이 그 예이다.
펼치기
김광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술 후 예후를 예측하는 ‘노인포괄평가’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의료 현장에 도입했다. 혈관 노화와 노인성 질환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등 노인의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20년 보건복지부 장관표창을 받았으며 ICT 기반의 비대면 의료 협진을 주제로 2022년 보건의료 R&D 우수성과 사례에 선정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네이처(Nature)〉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 〈네이처〉의 파트너 저널 〈npj Digital Medicine〉, 노인의학 분야 국제 학술지 〈BMC Geriatrics〉의 편집의원으로 활동 중이다. 분당서울대병원에서 20년간 노인 환자를 진료하였으며 2018년부터 동 병원 노인의료센터장, 대한노인병학회, 대한고혈압학회, 대한심뇌혈관약물치료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김도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양자컴퓨터를 구현하기 위한 후보 기술인 반도체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2022년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육상(교육부문)을 수상하였으며, 한국연구재단 반도체 양자 컴퓨팅 연구단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발표한 ‘2022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SAT) 회원으로 선정되었다. 2021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세계적인 석학 및 전문가 9명과 공동 작업한 리뷰 논문이 국내 최초로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젊은 과학자로 손꼽히고 있다.
펼치기
김상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탠퍼드 대학에서 전기공학과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IBM Thomas J. Watson Research Center에서 8년간 인공지능 반도체를 연구하였다. 이후 학계에서 차세대 반도체의 하나로 뇌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여 인공지능 연산을 수행하는 뉴로모픽(Neuromorphic) 반도체를 연구하고 있으며, 2023년 ‘반도체 국가 전략’ 비상 경제민생회의에 참석하여 반도체 분야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기도 했다.
펼치기
김용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내 최고의 딥러닝, 데이터마이닝 연구자로 2002년 IEEE 데이터마이닝 학술대회 최우수상을 시작으로 2007년 품질경영학회 우수논문상, 2014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공로상, 2017년 International Consortium of Chinese Mathematicians(ICCM) 학술대회 최고논문상, 2018년 한국통계학회 한국갤럽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통계학 및 학률 분야에서의 탁월한 연구 실적을 인정받아 2019년 국제이론통계학회(IMS)의 펠로(Fellow)로 선정되었으며 2023년부터 한국인공지능학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김장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CPU, 서버, 데이터센터 등 컴퓨터 시스템 설계 분야 전반에 걸쳐 연구를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부임 전 미국 선 마이크로시스템(Sun Microsystems), 오라클(Oracle Corporation) 연구원 및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로서 연구를 수행했다. 우수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 Architecture(ISCA),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croarchitecture(MICRO) 등 컴퓨터 아키텍처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의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차세대 컴퓨터 데이터처리가속기(DPU)를 개발하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 스타트업 망고부스트를 창업하여 산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반도체와 컴퓨터 시스템 분야 연구와 인재 양성을 지속하고 있다.
펼치기
김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4년 당시 최연소 서울대 교수로 역임된 이후, 20여 년간 기계항공 공학자로서 인공지능 로봇과 자율비행 드론을 연구해 왔다. 뛰어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2015년 국제자동제어학술회의(ICCAS) 최우수논문상, 2021년 국제로봇자동화학회(ICRA) 무인비행체 분야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한국공학한림원이 선정한 대한민국 100대 기술과 차세대 주역 선정을 기반으로 2019년에는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에 선정되었다. 현재 국제로봇자동화학회 로봇학습부문 editor, 항공우주학회 학술이사,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박제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계 최초로 ‘2차원 자성체’ 분야의 이론을 입증할 수 있는 자성 반데르발스 물질을 발견함으로써, 양자 정보 소재 합성 연구 분야에서 독자적인 연구 영역을 구축하며 2023 포스코청암상 과학상을 수상하였다. 이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전기적·자기적 성질 조절이 가능한 ‘차세대 광소자 기술’을 세계 최초로 구현해 냈다. 최근 발표한 세 편의 논문은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Nature)〉에 연이어 소개됐으며, 저탄소 사회의 핵심 기술인 차세대 광소자 기술을 연구하며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15년 한국물리학회 학술상, 2016년 한국 과학상을 수상하였으며, 2017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에 선정되었으며, 현재 연구재단과 삼성미래기술육성 사업의 지원을 받아서 서울대학교 양자물질연구단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백민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화학부에서 학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실험 없이 연구할 방법을 찾다가 계산화학과 계산생물학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박사 학위를 받은 2018년에 딥마인드의 알파폴드를 접하며 인공지능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배우기 시작했다. 이후 워싱턴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로제타폴드 개발을 주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조교수로서 생체분자의 구조 및 상호작용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성영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료전지, 이차전지, 태양전지, 수소 생산 등 전기화학공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 기술을 보유한 연구자이다. 배터리, 수소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2003년 한국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선정한 젊은 과학자상(공학 부문) 수상을 시작으로 2008년 대통령 표창, 2018년 한국공업화학상,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홍조근정훈장, 2019년 신양공학학술상, 2021년 삼양그룹 수당상(응용과학 부문)을 수상하였다.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이자 한국전기화학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친환경 청정 에너지 분야의 R&D을 선도하고 있다.
펼치기
안정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컴퓨터 아키텍처 분야 연구 중 DRAM으로 대표되는 주기억장치 구조와 응용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권위자로 2017년과 2019년 각각 컴퓨터 아키텍처 분야의 세계 3대 학술대회인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국제고성능컴퓨터구조학술대회(HPCA),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컴퓨터학회(ACM) 국제컴퓨터구조학술대회(ISC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며 두 학술대회 명예의 전당에 모두 헌액된 아시아 최초의 공학자이다. 2007년 휴렛팩커드(Hewlett-Packard Labs)에서의 연구를 시작으로 2016년 구글 방문연구원, 2017년부터 올해 3월까지 SKT 사외이사로 활동하며 학계와 산업계를 연결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펼치기
윤성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공지능 및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업적을 쌓으며 국내외로 주목받고 있는 연구자이다. 2013년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와 대한전자공학회가 공동 주관한 IT 젊은 공학자상 수상을 시작으로 2018년 서울대학교 교육상, 2019년 신양공학학술상, 2022년 황조근정훈장을 수상하였다. 인공지능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Microsoft 및 IBM 연구 지원 대상자로 선발되기도 하였다. 더불어 삼성, LG, SK, 현대차, Naver 등 굵직한 기업과도 인공지능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산학 협력 경험을 쌓았다. 2020년부터 2년간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직을 역임했다.
펼치기
윤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생물물리학을 전공하며, 특히 막단백질에 단분자 생물물리 기법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미래창조과학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 연구단장으로 선정되었으며, 2021년부터 현재까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리더연구사업 연구단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2015년 프로티나를 창업한 이후, 지금까지 단백질 간 상호 작용(PPI) 분석 기술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펼치기
장병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30여 년간 인공지능 분야를 연구한 국내 딥러닝·머신러닝·로보틱스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2015년 세계 최초로 유아의 뇌인지발달 과정을 모사한 인공지능 기술인 ‘만화영화 비디오 기반의 멀티모달학습 기술(하이퍼넷 모델)’을 발표하며 주목받기도 했다. 2003년~2004년 MIT 인공지능연구소(CSAIL)와 2007~2008년 삼성전자 종합기술연구원 초빙교수, 2010년~2013년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소사이어티 회장직을 역임하였으며 2019년 서울대학교 AI 연구원 원장에 선임된 이후 지금까지 해당 분야의 선구자로 활약하고 있다.
펼치기
조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생체 모사 로봇, 소프트 로봇, 웨어러블 로봇 분야의 연구를 지속하며, 2014년 국제로봇학회에서 한국인 최초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하고, 2015년 물위를 도약할 수 있는 생체 모사 로봇 개발에 성공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 이후 독창적인 소프트 로봇, 웨어러블 로봇 등을 개발하여 〈Science Robotics〉에 게재하였고, 현재 국제로봇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으며, 세계 최대의 로봇학술대회인 국제로봇자동화학회(ICRA) 2027 유치위원장으로 대한민국 서울 유치에 성공하였다.
펼치기
천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계적인 암호학의 대가로 20여 년간 수학, 정보기술(IT), 암호학에서 꾸준히 연구를 이어왔다. 2008년과 2015년 세계 3대 암호 학회인 아시아크립트(Asiacrypt)와 유로크립트(Eurocrypt)에서 각각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2015년과 2016년 아시아크립트 프로그램위원장을 역임했다. 2021년 공개키암호워크숍(PKC)에서 Test-of-Time Award을 수상하였으며, 2022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정되며 녹조근정훈장을 받았다. 2023년 세계암호학회(IACR) 석학회원으로 선정되며 대수적 공격과 완전동형암호에 대한 탁월한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펼치기
최장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차전지 분야에서 ‘휘어지는 배터리’ 상용화 목적의 신소재를 개발하고 사용 시간 연장을 위한 고용량 전극소재 및 포스트-리튬이차전지 기술을 개발하는 등 배터리 분야를 개척하며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히고 있다. 피인용 횟수가 상위 1% 안에 드는 고피인용 논문(HCP)을 작업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식창조대상,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 2019년 유민문화재단 홍진기 창조인상을 받았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미국 글로벌 학술정보회사 클래리베이트(Clarivate Analytics)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로 연이어 선정되었다. 2021년 현대차-서울대 배터리 공동연구센터의 초대 센터장으로 활동하고 2022년 미 배터리 개발 기업 SES AI의 사외이사로 선임되어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정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및 대학원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2020~),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2018~)이며 한국생산성학회 회장(2011)과 한국기업경영학회 회장(2017)을 역임했다. 2018년부터는 기술혁신 분야를 대표하는 국제 학술지 《Science and Public Policy》(옥스퍼드대학 출판부)의 공동 편집장으로 있으며, 대통령 비서실 경제과학특별보좌관(2019~2021)으로 국가정책의 수립에 기여했다. 《축적의 시간》(2015), 《축적의 길》(2017), 《최초의 질문》(2022)을 펴내면서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2023년 1월 KBS 다큐멘터리 〈최초의 질문〉을 통해 혁신을 위한 도전적 질문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을 전한 바 있다. ‘그랜드 퀘스트’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전 과정을 총괄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혁신의 시작을 보면 이 과정의 발원지에 도전적인 질문이 있다. 최초의 도전적 질문은 의지와 희망이 가득하지만 가능성은 희미하고, 실타래처럼 엉켜 있어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한 상태에서 던져진다. 한 부분을 해결하면 다른 부분이 나빠지고, 조금만 들어가도 생각지도 못한 난관이 등장한다. 그 막막함에도 불구하고, 이 도전적 질문이 없으면 새로운 길을 만드는 혁신의 수레바퀴는 돌아가지 않는다. 거대한 분야로 성장할 최초의 씨앗이 되는 도전적 문제를 우리는 ‘그랜드 퀘스트’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 질문, 그랜드 퀘스트


우리나라는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이 부족하므로 당장에 돈이 되는 분야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므로 국가 차원에서의 계획과 투자가 필요하다. 대학에서는 전통적인 반도체 설계 분야 외에도 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등의 컴퓨터 시스템 분야 교육을 통합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동시에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에서도 이런 분야 연구에 연구비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이런 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컴퓨터 아키텍처, 시스템 아키텍처 연구자들에게 좋은 대우를 해야 한다. 연구자들은 자신이 우리나라의 해당 전공 분야를 대표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연구해야 한다.
- 초미세·초저전력 반도체에 관한 대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584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