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94330158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궁금증의 시작
1. 기술도 생물처럼 진화할까?
2. 기술진화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3. 기술이 왜 중요할까?
2장 아이디어에서 새로운 기술이 탄생하기까지
1. 먼지봉투 없는 진공청소기의 탄생
2. 스케일업: 신기술 탄생의 출발점
3. 최초의 질문: 스케일업의 전제
3장 기술의 생로병사
1. 기술은 어떻게 확산될까?
2. 어떤 기술이 지배적 표준이 될까?
3. 기술의 교체와 소멸하기까지
4. 범용기술이 이끄는 사회 변화
4장 기술도 생물처럼 진화의 법칙이 있다
1. 다윈의 비둘기
2. 기술진화의 논리를 찾아서
3. 기술진화의 법칙 1: 조합진화
4. 기술진화의 법칙 2: 굴절적응
5. 기술진화의 법칙 3: 스몰베팅과 적응적 탐색
6. 기술진화의 법칙 4: 경험의 축적과 전수
7. 기술진화의 법칙 5: 선적응과 분화
8. 기술진화의 법칙 6: 생태계와 공생
5장 기술은 사회를, 사회는 기술을 바꾼다
1. 기술의 미래와 테크늄의 상상
2. 생물진화와 기술진화의 차이는 무엇일까?
3. 인간사회가 기술진화에 미치는 영향
4. 기술진화가 인간사회에 미치는 영향
5. 인공지능은 기술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까?
6. 미래를 예측하는 법: 백캐스팅
에필로그
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술은 인간이 생물학적 제약을 벗어나 상상 속의 가능성을 마음껏 펼치도록 했다. 한마디로 기술은 인간을 자유롭게 하고, 활동 영역을 확장시킨다. 인류의 새벽이 밝아온 이래 인간은 기술과 한 몸처럼 발전해왔고, 생물학적 인간의 모습은 변함없었지만 기술 덕분에 기술과 인간이 합쳐진 복합체는 더 큰 존재로 발전했다. 그 결과가 오늘 우리가 누리고 있는 현대문명이다.”
“기술은 탄생하고, 성장하며, 성숙한 뒤 다음 세대의 신기술에 밀려 마지막 퇴장하기까지 하나의 생물 개체와 비슷한 생로병사의 과정을 겪는다. 생물은 죽고 나면 흙으로 돌아가 다른 생물 개체가 탄생하는 데 밑거름이 된다. 기술도 유사하게, 기존 기술은 신기술에 밀려 사라지지만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는다. 기존 기술을 구성했던 많은 요소는 다른 신기술이 탄생하는 데 재료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