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곤경의 탈피

곤경의 탈피

(주희.왕양명부터 탕쥔이.펑유란까지 신유학과 중국의 정치 문화)

토머스 메츠거 (지은이), 나성 (옮긴이)
민음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곤경의 탈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곤경의 탈피 (주희.왕양명부터 탕쥔이.펑유란까지 신유학과 중국의 정치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37489266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4-06-09

책 소개

존 페어뱅크의 1세대 제자로 중국 사상과 역사를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중국어에도 능통했던 메츠거는 이전까지 서구 동양학계를 지배하고 있던 막스 베버의 부정적 견해에 정면으로 맞선다.

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며
1 문제
2 현대 중국 지성사의 배경
3 기본적 방법론에 관한 고려
4 논점의 개관
5 방법론상 남아 있는 논점들

1장 의존성 및 중국 가족주의의 인문주의 이론

2장 탕쥔이의 유학적 자아 완성의 개념
1 서론
2 중국 문화와 서양 문화
3 경험의 해석
4 도덕적 자율
5 감정적이고 격렬한 자아 주장
6 개인주의 문제
7 자율과 권위

3장 신유학의 곤경 의식
1 방법론적 고찰
2 전체 목표: ‘살아 있는 것(活物)’
3 목표 1: 전체적인 도덕적 정화
4 목표 2: 인식의 절대적인 명료성
5 목표 3: 일관성, 주재(control), 부동심
6 목표 4: 연계
7 목표 5: 우주적·정치적 역량
8 목표 6: 기쁨과 사회적 일체성
9 목표와 주어진 세계
10 주어진 것으로서의 선한 우주의 기운
11 자연적으로 주어진 마음의 양상들
12 주희와 주어진 마음의 양태들
13 왕양명과 마음의 주어진 양태들
14 주어진 악의 기운
15 주어진 것으로의 인간의 개입 의지
16 주어진 의지로서의 우주
17 주희와 왕양명
18 형이상과 형이하의 관계에 대한 주희와 왕양명의 주장
19 정신 수양에 대한 주희와 왕양명의 주장
20 연계에 대한 주희의 주장
21 연계에 대한 왕양명의 주장
22 실천과 정치 행위의 범위에서 주희와 왕양명
23 신유가의 곤경 의식
24 청대 초기의 신유학

4장 신유학과 후기 제국 시대의 정치 문화
1 문화와 부패
2 내외 압력의 수렴
3 오리(汚吏)에 대한 비난과 처벌
4 내면적 압력: 행정적·철학적·심리적 증거
5 자율과 카리스마
6 삼각 개념으로서의 권위
7 위장된 역할로서의 군주
8 관료의 항의
9 관료의 사기(士氣, 사의 기개)
10 관료의 실천과 보편주의
11 보편주의와 황제의 권력
12 권위, 온건한 현실주의, 그리고 급진주의

5장 점증하는 낙관주의와 서구화 시대에서 상호 의존의 사회정신
1 서구화
2 과거의 관성
3 변화의 모호성
4 상호 의존의 사회정신
5 잡힐 듯 말 듯한 내재성
6 금지된 변화의 추진력
7 합리주의와 절대주의
8 상호 의존과 권위
9 실패의 공포
10 현대에서의 상호 의존
11 전통을 변화시키려는 전통적 추진력
12 신낙관주의와 과학 기술
13 신낙관주의와 급진적인 정치적 재편성
14 신낙관주의와 이념적 진보
15 이념과 중화주의, 그리고 민족주의
16 신낙관주의와 문화적 절망의 문제
17 신낙관주의와 현대 중국 철학의 의제
18 결론: 마오쩌둥의 업적과 상호 의존의 사회정신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토머스 메츠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독일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아르놀트 메츠거(Arnold Metzger)는 철학자로 에드문트 후설의 제자였으며, 히틀러의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이주했다. 1952년 시카고대학을 졸업하고 1959년 조지타운대학에서 몽골에 대한 중국의 정책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67년에는 하버드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는 동안 존 페어뱅크의 1세대 제자가 되었다. 페어뱅크의 지도 아래 청대 제도사와 관료 제도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페어뱅크가 강조한 학제 간 연구 방법론을 통해 심도 있게 다루는 안목을 배웠다. 청대 관료 제도의 연구에 적용되던 막스 베버와 탤컷 파슨스의 사회 과학적 시야에 제한되지 않고 인문학적 관심까지를 포섭하여 균형을 이루었으며, 이 균형의 측면에서 로버트 벨라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메츠거는 이러한 방법론적 개안의 소산으로 『청대 관료 제도의 내부 조직(The Internal Organization of Ch’ing Bureaucracy)』(1973)이라는 글을 발표했다. 그는 이 글에서 청대의 관료 조직이 부패하고 무능한 기구였다는 통념에 대항하면서 오히려 효율적이고 탄력적이며 개혁적 동력을 가진 조직이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내세운 유가 정신, 즉 ‘근신 윤리(probationary ethic)’를 바탕으로 ‘곤경 의식’과 ‘긴장’을 주제로 한 『곤경의 탈피』를 저술했다.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에이고캠퍼스의 교수를 거쳐 현재 명예 교수로 있으며 아울러 스탠퍼드대학 후버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senior fellow)도 겸하고 있다.
펼치기
나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철학과 및 타이완국립대 문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하버드대 동아언어문명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신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 Language and the Ultimate Reality in Sung Neo-Confucianism(1992)이, 역서로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1996), 『도의 논쟁자들』(2001), 『문명 간의 대화』(2007), 『붓다는 무엇을 말했나』(2011), 『곤경의 탈피』(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