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엣센스 한중사전

엣센스 한중사전

이익희, 김순진, 임원빈, 정병윤, 박정원 (지은이), 허세욱 (감수)
민중서림
6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0,300원 -10% 0원
3,350원
56,950원 >
60,300원 -10% 0원
0원
60,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엣센스 한중사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엣센스 한중사전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중국어 > 중국어 사전
· ISBN : 9788938702111
· 쪽수 : 2640쪽
· 출판일 : 2014-01-10

책 소개

어휘 136,800여/속담·관용구 3,200여가 수록되어 있다. 현대 중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최신 표준 한중사전이며,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신어, 전문어 포함 최대 어휘를 수록하였다.

목차

목차가 없는 도서입니다.

저자소개

이익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을 전공했다. 서강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숭실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연수평가원 중국어과 주임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 권으로 읽는 중국』(공저), 『중국 현실주의 문학론』(공저) 등이 있으며, 『마왕퇴의 귀부인』, 『중국 지리 오디세이』, 『중국 문학 비평사』등 20여 편의 책을 번역했다.
펼치기
김순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중어중문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신대 중국학과 부교수로 재직하며 중국 현대소설과 여성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혁명시대의 연애』, 『첫 번째 향로』, 『복사꽃 피는 날들』, 『한눈에 보는 중국문화』, 『석류나무에 앵두가 열리듯』 등이 있다.
펼치기
임원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중국 고전 시가를 전공하며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중국 상하이(上海) 푸단대학(復旦大學) 고전 문학 박사 과정에 입학해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1년 2월부터 7월까지 중국 베이징대학(北京大學) 중문과에서 연구 학자로 연구 활동을 했다. 박사 학위논문은 <唐宋之際文學與思想政局硏究>이다. 저서로는 ≪중국 고전(中國古典) 시세계(詩世界)≫, ≪고대(古代) 한중(韓中) 시승(詩僧)의 시가(詩歌) 탐구(探究)≫, ≪唐末詩人的心理世界≫, ≪만당(晩唐) 시가와 사회 문화≫, ≪만당(晩唐) 시가와 종교 문화≫ 등이 있으며, 편저로는 ≪중국 문학(中國文學) 사료학(史料學)≫, ≪한중사전(韓中辭典)≫ 등이 있고, 역서로는 ≪그 상상력의 비밀 3≫, ≪그 상상력의 비밀 4≫, ≪육구몽 시선(陸龜蒙詩選)≫, ≪두순학 시선(杜荀鶴詩選)≫, ≪임포 시선(林逋詩選)≫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불교(佛敎) 선종(禪宗) 문화(文化)와 당말(唐末)의 시가(詩歌)>, <당말오대(唐末五代) 시승(詩僧)의 시 연구>, <시승(詩僧) 제기(齊己)의 풍소지격(風騷旨格)과 시(詩) 창작(創作)>,<한중(韓中) 시승(詩僧) 혜심(慧諶)과 제기(齊己)의 시가(詩歌) 비교연구(比較硏究)>, <시승(詩僧) 제기(齊己)의 시가 고찰>,<당대(唐代) 시승(詩僧)의 선시(禪詩) 양상 고찰>,<시승(詩僧) 함가(函可)의 시가 고찰> 등 60여 편이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평택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국민대학교, 숭실대학교 등에 출강했으며,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연구교수다.
펼치기
정병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중국 인문학의 산실 난징(南京)대학에서 『돈황 강창문학 중 불교고사류 작품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국문학사와 고대한어를 가르친다. 저역서로는 『돈황변문교주』(전6권, 공역), 『노자를 읽다』, 『삼국지를 읽다』, 『돈황의 전설』 등이 있다.
펼치기
박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중국 베이징 대학교에서 중국현당대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현재 경희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국당대문학, 한중비교문학, 정보디자인, 중국어교육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학위논문 「타자의 시선」, 연구논문 「중국문학 상호작용 교육 콘텐츠 저작도구 연구」 「한중문단의 보르헤스에 대한 수용과 소설 창작」 「중국당대문학의 타자성 연구」「20세기 80~90년대 한중 소설문학」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새의 선물』(중역), 『루쉰 단편소설선』, 『거울 속에 있는 듯』(공역)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영화로 읽는 중국』(공저), 『중국어 교육 콘텐츠 제작 입문』 등이 있다.
펼치기
허세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북 임실군에서 태어나서 이리(현 익산시)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녔다. 고등학교 1학년 때 한국 전쟁이 발발해 학교를 중단하고 아버지가 차리신 서당에서 2년간 한문 수업을 받았다. 이때의 체험이 중문학을 연구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듯하다. 1959년에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어과를 졸업하고 대만국립사범대학교에서 유학했다. 대만에 체류하는 동안 허세욱은 ≪한국시선≫(1964)과 ≪춘향전≫을 번역해 발간함으로써, 한국 문학을 소개했다. 그가 번역 소개한 한국 시인은 서정주, 박목월, 정지용 등이다. 1968년에는 2개월간 ≪한국 문학 산론≫을 신문에 연재하기도 했다. 대만에서 석사(1963), 박사 학위(1968)를 받고, 귀국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어과에 조교수로 부임했다. 한국의 문학을 대만에 소개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문학을 한국에 번역해 소개하기도 했다. ≪중국 고대 문학사≫(법문사, 1986)와 ≪중국 현대 시선≫(을유문화사, 1976), ≪중공 현대 대표 시선≫(전예원, 1987) 등이 그런 작업에 해당한다. 또한 <중국 수필의 전통>을 1978년 1월부터 1979년 8월까지 ≪수필문학≫에 연재하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노력들 때문에 허세욱은 대만뿐 아니라 중화권에서 널리 인정을 받은 듯하다. 2003년에 베이징에서 있었던 ‘허세욱 중문 수필 세미나’는 이례적으로 외국인 작가를 초청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한국외대 도서관장, 한국외대 동양어대학장, 한국 중국 현대 문학학회 회장, 중국 어문 연구회 회장, 한국 수필 문학 진흥회의 부회장,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 중국 연구소 객좌 연구원, 고려대학교 중문과 교수, 고려대 중문과 학과장 및 대학원 주임 등을 역임했으며, 중국 문예협회에서 제정한 ‘중국 문학상’(1970)과 한국 수필 문학 진흥회가 제정한 제6회 ‘현대 수필 문학상’(1987), 임실 문학 대상(2000) 등을 수상했고, 2010년에는 대만 지산 문화 예술 훈장(鷄山文化藝術勳章)을 받았다. 유학한 대만뿐만 아니라 미국(아이오와대, 버클리대, 캘리포니아대, 스탠포드대), 유럽, 중국, 필리핀, 홍콩, 소련(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 등을 방문해 강연하거나 연구했다. 지금까지는 주로 허세욱의 학자로서의 면모를 살펴보았다면, 다음으로는 문예인으로서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허세욱은 1956년 대학 3학년 재학 중에 <레일의 대화>로 제1회 전국 대학생 시 콩쿠르에서 입상을 할 정도로 일찌감치 문예에 소질을 보였다. 그런데 졸업과 동시에 유학길에 올랐기 때문에 그의 문필 활동은 대만에서 시작되었다. 1961년에 대만에서 중문 시(<이름>, <소원>)를 ≪현대문학≫지에, 중문 수필(<한 그루의 나무>, <피난>)을 ≪작품≫지에 각각 추천받음으로써 문필 생활을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작품집은 1969년에 한국에서 처음 발간되었다. 첫 작품집은 시집 ≪청막≫(일지사)이었다. 그러나 이 시집 발간 이후로는 주로 수필을 쓰는 것에 집중했다. 그리하여 1976년에 첫 수필집 ≪움직이는 고향≫(범우사)을 출판한 이래, ≪태양제≫(오거서, 1981), ≪달이 뜨면 꽃이 피고≫(범우사, 1983), ≪인간 속의 흔적≫(보성사, 1990), ≪돌을 만나면 비켜 가는 물처럼≫(화동출판사, 1994), ≪임대 마차≫(세손출판사, 2002, ≪송정 다리≫(수필과비평사, 2008) 등 7권의 수필집과, 대표작을 모은 4권의 수필선을 출간했다. 중문 수필집도 3권 펴냈다. 이 작품집들에 실린 수필은 총 400여 편에 달한다. 기행집까지 아우르면 그 수는 더욱 늘어난다. 분량에서는 수필에 미치지 못하지만, 시 창작도 꾸준히 해서 한글 시집 2권과 중문 시집도 출간했다. 이렇듯 허세욱은 학자, 시인, 수필가, 번역가로서 다방면에서 활약했고, 그 범위도 한국을 넘어 대만을 중심으로 중화권 양쪽에 널리 걸쳐 있다. 이 책에서 집중하고 있는 수필의 경우, 허세욱은 고향이나 부모님에 대한 진솔한 감정이나 현대 문명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보이는 수필을 주로 쓴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