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석전집

백석전집

(개정증보판)

백석 (지은이), 김재용 (엮은이)
실천문학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3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백석전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석전집 (개정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39206496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11-02-18

책 소개

1930년대 우리 시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분단 이후의 문학사에서 부당하게 매몰당한 백석 시인의 전집. 1997년 초판을 간행한 이후 2003년 1차 증보를 거쳐 새로 발굴된 시 15편, 산문 4편 등을 추가 수록한 개정증보판이다. 이미 알려진 작품을 포함하여 시 124편, 동화시 12편, 기타 산문 외 25편 등 총 161편의 작품을 수록하였다.

목차

제1부 8·15 이전

시 좬사슴좭에 수록된 작품

얼룩소 새끼의 영각

가즈랑집·13
여우난골족(族)·16
고방·18
모닥불·19
고야(古夜)·20
오리 망아지 토끼·23

돌덜구의 물

초동일(初冬日)·24
하답(夏畓)·25
주막(酒幕)·26
적경(寂境)·27
미명계(未明界)·28
성외(城外)·29
추일산조(秋日山朝)·30
광원(曠原)·31
흰 밤·32

노루

청시(靑枾)·33
산(山)비·34
쓸쓸한 길·35
자류(?榴)·36
머루밤·37
여승(女僧)·38
수라(修羅)·39
비·41
노루·42

국수당 넘어

절간의 소 이야기·43
통영(統營)·44
오금덩이라는 곳·45
시기(枾崎)의 바다·46
정주성(定州城)·47
창의문외(彰義門外)·48
정문촌(旌門村)·49
여우난골·50
삼방(三防)·51

시 좬사슴좭에 수록되지 않은 작품

통영(統營)·55
오리·58
연자간·60
탕약(湯藥)·62
이두국주가도(伊豆國湊街道)·63
창원도(昌原道)·64
통영(統營)·65
고성가도(固城街道)·66
삼천포(三千浦)·67
북관(北關)·68
노루·69
고사(古寺)·70
선우사(膳友辭)·71
산곡(山谷)·73
바다·75
추야 일경(秋夜一景)·76
산숙(山宿)·77
향악(饗樂)·78
야반(夜半)·79
백화(白樺)·80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81
석양·83
고향·84
절망·85
외갓집·86
개·87
내가 생각하는 것은·88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89
삼호(三湖)·90
물계리(物界里)·91
대산동(大山洞)·92
남향(南鄕)·93
야우소회(夜雨小懷)·94
꼴두기·95
가무래기의 낙(樂)·97
멧새 소리·98
박각시 오는 저녁·99
넘언집 범 같은 노큰마니·100
동뇨부(童尿賦)·102
안동(安東)·103
함남 도안(咸南道安)·104
구장로(球場路)·105
북신(北新)·107
팔원(八院)·108
월림(月林)장·110
목구(木具)·111
수박씨, 호박씨·113
북방(北方)에서·115
허준(許俊)·117
좬호박꽃 초롱좭 서시·120
귀농(歸農)·122
국수·125
흰 바람벽이 있어·128
촌에서 온 아이·131
조당(藻塘)에서·133
두보(杜甫)나 이백(李白)같이·136
산(山)·139
적막강산·141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142
칠월백중·144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146

수필

마포(麻浦)·151
편지·153
가재미·나귀·156
무지개 뻗치듯 만세교·158
동해(東海)·161
입춘(立春)·164
소월(素月)과 조선생(曺先生)·167

소설

그 모(母)와 아들·173
마을의 유화(遺話)·191
닭을 채인 이야기·204


제2부 8·15 이후

동화시 『집게네 네 형제』

집게네 네 형제·221
쫓기달래·228
오징어와 검복·233
개구리네 한솥 밥·245
귀머거리 너구리·262
산골총각·271
어리석은 메기·287
가재미와 넙치·296
나무 동무 일곱 동무·303
말똥굴이·326
배꾼과 새 세 마리·331
준치가시·338



제3인공위성·345
이른 봄·348
공무여인숙·350
갓나물·352
동식당·354
축복·356
하늘 아래 첫 종축 기지에서·358
돈사의 불·361
눈·364
전별·367
탑이 서는 거리·369
손뼉을 침은·372
돌아온 사람·375

평문

동화문학의 발전을 위하여·381
나의 항의, 나의 제의·404
큰 문제 작은 고찰·423
아동문학의 협소화를 반대하는 위치에서·440

정론

부흥하는 아세아 정신 속에서·453
아세아와 아프리카는 하나다·459
프로이드주의―쉬파리의 행장·463


제3부 보유 (1)



나와 지렝이·473
황일(黃日)·474

산문

해빈수첩(海濱手帖)·477
슬픔과 진실·481
조선인과 요설·485
이제 또다시 무엇을 말하랴·489
사회주의적 도덕에 대한 단상·492
이 지혜 앞에 이 힘 앞에·496
눈 깊은 혁명의 요람에서·498


제4부 보유 (2)



머리카락·509
당나귀·510
까치와 물까치·512
지게게네 네 형제·520
멧돼지·528
강가루·529
기린·530
산양·531
오리들이 운다·532
송아지들은 이렇게 잡니다·533
앞산 꿩, 뒷산 꿩·534
나루터·535
석탄이 하는 말·540
강철 장수·544
사회주의 바다·547

산문

막심 고리키·553
마르샤크의 생애와 문학·569
이솝과 그의 우화·577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편지)·580

증보판을 내면서·2
개정증보판을 내면서·3
해설 / 김재용·585
작가 연보·630
작품 연보·633

저자소개

백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白石, 1912~1996)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 가장 토속적인 언어를 구사하는 모더니스트로 평가받는 백석은, 1912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나 오산학교와 일본 도쿄의 아오야마 학원 영어사범과를 졸업했다. 1934년 조선일보사에 입사했고, 1935년 『조광』 창간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8월 『조선일보』에 시 「정주성定州城」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함흥 영생고보 영어교사, 『여성』지 편집 주간, 만주국 국무원 경제부 직원, 만주 안둥 세관 직원 등으로 일하면서 시를 썼다. 1945년 해방을 맞아 고향 정주로 돌아왔고, 1947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외국문학분과 위원이 되어 이때부터 러시아 문학 번역에 매진했다. 이 외에 조선작가동맹 기관지 『문학신문』 편집위원, 『아동문학』과 『조쏘문화』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1957년 발표한 일련의 동시로 격렬한 비판을 받게 되면서 이후 창작과 번역 등 대부분의 문학적 활동을 중단했다. 1959년 양강도 삼수군 관평리의 국영협동조합 축산반에서 양을 치는 일을 맡으면서 청소년들에게 시 창작을 지도하고 농촌 체험을 담은 시들을 발표했으나, 1962년 북한 문화계에 복고주의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어나면서 창작 활동을 접었다. 1996년 삼수군 관평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시집으로 『사슴』(1936)이 있으며, 대표 작품으로 「여우난골족」,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국수」, 「흰 바람벽이 있어」 등이 있다. 북한에서 나즘 히크메트의 시 외에도 푸슈킨, 레르몬토프, 이사콥스키, 니콜라이 티호노프, 드미트리 굴리아 등의 시를 옮겼다.
펼치기
백석의 다른 책 >
김재용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통영 출생.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자 지구적세계문학연구소 대표,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문학포럼 대표, 『지구적 세계문학』 발행인 및 편집인. 저서로 『분단구조와 북한문학』, 『협력과 저항』, 『풍화와 기억』, 『세계문학으로서의 아시아문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