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인물
· ISBN : 978894192105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목차
격려사
추천사
권두언
요약
약어표
머리말
제1장 머튼의 내적 체험과 종교 간 대화
1. 서론
2. 머튼의 내적 체험과 자기변형
2.1. 미숙한 머튼의 시기: 1915~1940년대 후반
2.2. 변형의 시기: 1950년대 초~1958년
2.3. 성숙기: 1958~1968년
2.4. 아시아에서의 마지막 두 달: 1968년 10~12월
3. 머튼의 관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
3.1. 관상 체험과 관련해 머튼이 사용한 용어
3.2. 전통적 관상관觀想觀에서 종합적·현대적 관상관으로
4. 내적 체험과 종교 간 대화의 관련성
4.1. 비이원론적 전망과 내적 개방: 루이빌의 깨달음
4.2. 교차 문화적 종교 체험: 폴론나루와 체험
5. 머튼의 신비체험에 대한 평가
5.1. 인간의 의식 변형 과정에서 종교적 체험이 지니는 역할
5.2. 머튼의 새로운 관상관
5.3. 불교·그리스도교 대화를 위한 내적 체험의 가치
6. 결론
제2장 불교·그리스도교 대화에서 머튼의 선구적 업적
1. 서론
2. 불자들과 불교와의 만남
2.1. 탐구의 시기: 1937~1950년대 중반
2.2. 변형의 시기: 1959~1968년
2.3. 집중과 깨달음의 시기: 1968년
3. 선과 티베트 불교에 관한 머튼의 이해
3.1. 초종교적 그리고 초형태적 의식으로서의 선
3.2. 선의 무아와 그리스도교의 참자아
3.3. 부정신학적 신비주의의 길과 공空
3.4. 그리스도교의 신화神化와 불교의 열반
3.5. 티베트 불교의 족첸
4. 머튼의 불교·그리스도교 대화의 세 가지 형태
4.1. 신학에 관한 대화
4.2. 종교적 체험에 관한 대화
4.3. 활동에 관한 대화
5. 평가
5.1. 불교·그리스도교 대화를 위한 머튼의 선구적 업적
5.2. 머튼의 불자들 및 불교와의 대화에서 드러난 한계점들
5.3. 머튼의 불교와의 만남을 넘어
5.4. 티베트 불교와 만나면서 머튼이 품었던 열망
6. 결론
제3장 수도승 간 교류 및 관상적 대화에서 머튼이 이룬 공헌
1. 서론
2. 수도승·관상가 간 대화의 동기들
2.1. 가톨릭 수도승생활의 쇄신
2.2. 모든 종교 안에 있는 수도승 직분과 관상적 은사의 발견
3. 머튼의 수도승 간 교류와 관상적 대화
3.1. 수도생활을 통한 영성, 체험 그리고 삶의 교류
3.2. 관상적 대화: 수도승 간 만남의 원리
4. 수도승·관상가 간 대화를 위한 머튼의 방법
4.1. 영적 가족
4.2. 소통에서 친교로
4.3. 초문화적 성숙
5. 평가
5.1. 수도승·관상가 간 대화에 대한 머튼의 공헌들
5.2. 수도승·관상가 간 대화는 영적 엘리트를 위한 소수의 활동인가?
5.3. 아시아 수도생활과 머튼의 만남은 이상화되거나 낭만적인 것이었나?
5.4. 머튼의 유산
6. 결론
제4장 머튼의 유산: 그의 불교와의 만남을 넘어
1. 서론
2. 종교 간 대화를 위한 수도승생활 교류의 역사: ‘수도원 간 국제 협력 기구’에서 ‘국제 수도승 종교 간 대화 위원회’에 이르기까지
2.1. 방콕과 벵갈루루에서 열린 회의들
2.2. 동서 대화를 위한 북미 위원회와 수도승 종교 간 대화 유럽 위원회
2.3. 수도승 종교 간 대화에서 일어난 패러다임의 전환들
3. 머튼의 유산과 국제 수도승 종교 간 대화 위원회
3.1. 수도원 교류 프로그램들: 간접적 유산
3.2. 겟세마니 만남: 직접적 유산
4. 미래 수도승 간 교류와 관상적 대화를 위한 제안
4.1. 아시아에서의 ‘수도승생활 내 교류’ 개발
4.2. 한국의 ‘수도승생활 내 교류’ 사례들
5. 결론
맺음말
참고문헌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왜 오늘날 많은 사람들, 특히 북미의 그리스도인들이 이토록 토마스 머튼에게 열광하는 것일까? 그의 영성이 무엇이기에 배우려 하는 것일까? 학창 시절에는 친구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며 술과 담배를 즐기고, 무책임하고 방탕한 삶을 살았으며, 심지어 사생아의 아버지였다는 말도 있었던 머튼. 수도생활 중반기에는 아빠스와 수없이 마찰을 일으키며 갈등했고, 50대에 접어들면서는 젊은 간호사와 사랑에 빠진 그를 왜 사람들은 존경하고 칭송하는 것일까?
세상에 대한 머튼의 참여는 무엇보다 ‘인간 의식의 변형’에 초점이 맞춰졌다. 자신의 종교 안에서 먼저 자기변형과 내적 성숙을 이룬 이들이 사회참여와 종교 간 대화로 나아갈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머튼의 사회정의를 위한 외침과 영적 연대는 오늘날 교회의 사회참여를 이해하는 데 길잡이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