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생활풍속사
· ISBN : 9788942311255
· 쪽수 : 333쪽
· 출판일 : 2009-09-05
목차
책을 내면서
- 시작하는 말
1장 조선 초기 농상정책의 수립과 양잠의례의 정비
1.1. 농상정책의 수립과 의료작물 재배상황
1.1.1. 농상정책의 수립
1.1.2. 의료작물의 재배상황
1.2 양잠의례의 정비와 거행
1.2.1. 선잠제의 정비
1.2.2. 친잠례의 시행
2장 15세기 권잠정책의 시행과 양잠업의 보급
2.1. 식상정책의 추진과 잠실의 설치
2.1.1. 식상정책의 추진
2.1.2. 잠실의 설치와 운영
2.1.3. 잠실의 폐단과 기능의 변화
2.2. 잠서의 간행과 양잠업 보급의 확대
2.2.1. 잠서의 간행과 보급
2.2.2. 북방지역으로 양잠업 보급
2장 16세기 권잠정책과 양잠업의 활성화
3.1. 16세기 권잠정책의 시행과 변화
3.1.1. 잠실의 복치와 민폐론의 등장
3.1.2. 농상교서의 반포와 정책의 변화
3.1.3. 권잠정책 변화의 의미
3.2. 양잠업 활성화의 배경과 영행
3.2.1. 고급 직물의 수요 증가와 복식사치의 유행
3.2.2. 기타 복식의 사치
4장 16세기 향촌의 실태와 그 의미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4.1. 양잠시기와 잠농력
4.2. 잠종의 마련과 양잠 과정
4.2.1. 잠종의 마련
4.2.2. 잠실과 뽕잎의 공급
4.3. 고치의 수확과 가공
4.3.1. 고치 수확량
4.3.2. 방적과 방직
4.4. 양잠업 경영의 성격
4.4.1. 자가 소비
4.4.2. 상품 생산
5장 17세기 양잠정책의 추이와 양잠업의 성장
5.1. 17세기 양잠정책의 추이
5.1.1. 광해군-현종대의 양잠정책
5.1.2. 숙종대의 양잠정책
5.2. 17세기 지역 잠서의 등장과 기술의 발전
5.2.1. 지역 잠서의 등장
5.2.2. 양잠기술의 발전
6장 18세기 영조대의 양잠정책과 양잠업
6.1. 영조대의 양잠정책
6.1.1. 친잠례의 시행
6.1.2. 식상정책의 추진
6.2. 생산지역의 확대와 명산지 형성
6.2.1. 생산지역의 확대
6.2.2. 명산지의 형성
- 맺는 말
- 보론| 조선시대 양잠업과 여성
조선시대 특수직 여성, 잠모
18세기에 양잠으로 재산을 모은 전주이씨
- 부록
표 1. 각 군현의 호수와 간전결수
표 2. 조선시대 지리지 풍속조 비교
표 3. 조선시대 지리지 토산조에 보이는 의료작물
- 양잠 관련 용어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