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88942375592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10-06-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_4
한국어판 저자 서문 _11
저자 초판 서문 _15
제1부 우언의 본질
제1장 우언의 정의 28
1. ‘우언’이라는 이름 바로잡기 _28
2. 우언의 여러 가지 정의 살펴보기 _35
3. 작자가 별도로 곁들이는 이야기 _42
4. 남은 논의: ‘우의’에 관하여 _49
제2장 우언의 문체적 특색 57
1. 우언의 구성과 길이 _57
2. 우언의 형상과 수법 _64
3. 우언의 풍격과 미적 효과 _73
4. 우언의 민족성과 시대성 _78
5. 우언의 주변성과 침투성 _84
제3장 우언과 인접 양식 90
1. 우언과 신화 _90
2. 우언과 동화 _93
3. 우언과 소화 등의 각종 이야기 _100
4. 우언과 소설ㆍ희곡 _105
5. 우언과 각종 시문(詩文) _111
제4장 우언의 유형 123
1. 기존의 분류 _123
2. 겉몸체에 따른 분류 _129
3. 본체에 따른 분류 _137
4. 본체와 겉몸체의 관계에 따른 분류 _149
5. 체제에 따른 분류와 기타 분류 _159
제5장 우언의 창작 167
1. 창작 과정과 생활의 축적 _167
2. 예술적 가공에서 허와 실의 처리 _180
3. 전통적 제재의 비판적 계승 _189
제6장 우언 글쓰기 기법의 개관 202
1. 중동무이의 기법 _203
2. 도랑물 파란의 기법 _204
3. 궁금증 유발의 기법 _206
4. 줄거리 모음의 기법 _207
5. 횡렬 묘사의 기법 _209
6. 삼세번 반복의 기법 _210
7. 점층적 증진의 기법 _211
8. 순환 오류의 기법 _213
9. 끊어질 듯 이어짐의 기법 _215
10. 정ㆍ반 대비의 기법 _216
11. 전ㆍ후경 대비의 기법 _217
12. 의도적 억양의 기법 _219
13. 형상 호응(의도적 문답)의 기법 _220
14. 모순 제시의 기법 _222
15. 오류 가장과 오해의 기법 _224
16. 참과 거짓의 상생 기법 _226
17. 과장 변형의 기법 _228
18. 몽환 가탁의 기법 _229
19. 자의식 발동의 기법 _230
20. 내부자 관찰의 기법 _231
21. 분위기 조성의 기법 _233
22. 중의적 어휘의 기법 _235
23. 본뜻을 확대하는 기법 _236
24. 일부러 의문을 설정하는 기법 _238
25. 새로운 의의를 들춰내기 _240
제2부 우언의 발전
제7장 세계 우언의 기원과 계보 244
1. 우언 발생의 조건 _244
2. 세계 최초의 우언 _249
3. 세계 3대 우언 체계 _257
제8장 인도ㆍ남아시아ㆍ중동 우언 체계 263
1. 불경우언 _267
2. 인도의 고전 세속우언 _282
3. 중동의 고전 우언 _290
4. 인도와 중동의 현대 우언 _306
5. 아프리카 우언에 관하여 _312
제9장 중국ㆍ동아시아 우언 체계 319
1. 중국의 고전 작가우언―선진양한(先秦兩漢) _324
2. 중국의 고전 작가우언―육조당송(六朝唐宋) _336
3. 중국의 고전 작가우언―원ㆍ명ㆍ청시대와 근대 _353
4. 중국 각 민족의 우언 _368
5. 중국의 현대 우언 _378
6. 한국과 일본 등 여러 나라의 우언 _395
제10장 그리스-히브리 유럽 우언의 체계 412
1. 고대 그리스 우언 _414
2. 히브리 우언 _426
3. 고대 로마 우언 _434
4. 중세기 우언 _444
5. 문예부흥 시기의 우언 _451
6. 17세기의 우언 _462
7. 18세기의 우언 _469
8. 19세기의 우언 _479
9. 20세기의 우언 _491
제11장 세계 우언의 세기별 연표 508
제3부 우언의 응용
제12장 우언과 인류 문화 548
1. 우언과 철학 _549
2. 우언과 종교 _557
3. 우언과 정치 _566
4. 우언과 문학 _575
제13장 우언과 학교 교육 580
1. 우언과 나라 안팎의 교육 사업 _580
2. 우언의 계몽ㆍ교육적 역할 _587
3. 우언 교육에서 주의해야 할 문제들 _605
제14장 우언과 국제교류 617
1. 우언은 국제교류의 경기병(輕騎兵)이다 _617
2. 우언이란 나무는 교류하는 사이에 성장한다 _632
제15장 우언의 감상 연구 645
1. 우의 캐기와 겉몸체 분석 _645
2. 계통 분석과 종횡 비교 _659
3. 하나에 구속되지 않고 여러 방법을 흡수한다 _671
찾아보기 _682
책속에서
우언은 인류 전체의 친구이다. 인류가 성장하는 데 따라서 함께 성숙해 왔다. 또한 인류의 탐색이 광범위해져 가는 데 맞추어서 문화의 여러 영역에 걸쳐 발자취를 남겼다. 온전한 이야기 하나를 빌려 사회와 역사에 대한 거시적 파악을 반영해 내곤했다. ……
우언은 나이가 많으니 5천 년의 유구한 내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우언은 젊은이이기도 해서 오늘날까지 성장하며 노쇠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다른 문학작품 안으로 스며들어가고 있어서 여러 종류의 문학작품들이 더욱 깊은 철학적 함의를 지니게 한다. ……
문화나 우언이나 모두 세계인이 공동으로 창조하고 향유하는 재산이다. 문화는 오직 교류해야만 젊음을 길이 보존할 수 있다. 정신을 교류함은 물질을 교환하는 것과 다르니 득이 있을지언정 실은 없으므로 한 나라 한 민족이 독점할 것을 여러 국가와 여러 민족이 공유하게끔 바꿀 수 있다. 때문에 …… 우수한 우언 결과물을 세계 각국 사람들에게 소개해야만 하고, 동시에 각국 사람들이 여러 대에 걸쳐 창조한 우수한 우언 성과물을 소개해야만 할 것이다.
저자 초판 서문 가운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