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42391264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4-05-09
책 소개
목차
영조대 《국조속오례의》와 오례 화보 3
출간에 즈음하여 7
일러두기 14
제1장 논의에 앞서
1. 연구의 방향 16
2. 책의 조감도 17
제2장 《국조속오례의》 편찬, 그 논란의 배경
1. 오례의의 시행 26
2. 《오례의》 개정의 논란 40
3. 《속오례의》 편찬의 배경 53
제3장 《국조속오례의》와 보완 의례서의 편찬
1. 편찬의 과정 58
1) 편찬의 발단 58 2) 편찬의 전개 74
2. 구성과 내용 83
1) 길례 84 2) 가례 100 3) 빈례 109 4) 군례 111 5) 흉례 140
3. 보완 의례서의 편찬 152
1) 《국조속오례의보》 152 2) 《국조상례보편》 161
제4장 의주의 시행 시기와 특징
1. 《속오례의》의 의주 시행 시기 176
1) 길례 의주 177 2) 가례 의주 240 3) 빈·군례 의주 284 4) 흉례 의주 297
2. 《속오례의보》와 《상례보편》의 의주 시행 시기 312
1) 《속오례의보》 의주 312 2) 《상례보편》 의주 331
3. 《속오례의》: 화려한 꽃인가, 위엄 서린 칼날인가 334
1) 계술사업과 왕실의 위상강화 336 2) 노론의리와 주자가례의 반영 355
제5장 갈무리
【부록】 오례의 항목 비교 378
참고문헌 397
찾아보기 407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존의 변사에서 《속오례의서례》 변사의 변화를 보면, 대사에 기곡사직의祈穀社稷儀가 추가되었다. 의주에 친행 기우의례(친향선농기우의, 친제악해독기우의, 친향우사단기우의)가 추가되었다. 즉 천자만이 지낼 수 있다는 기곡의례를 대사에 추가한 것이고, 소사에 속하는 기우의례를 모두 친향, 또는 친제 의례로 승격시킨 것이다. 제후 의례가 아닌 천자의 예로 시행하겠다는 조치이다. 기우의례는 원래 천자만이 행할 수 있었기에 1414년(태종 14) 5월에 원구단과 별도로 우사단을 새로 만들어 국가 전례를 제후의 지위에 맞추어 재편성하였다(《태종실록》 1414년(태종 14) 5월 14일). 그런데 영조대 또다시 친행기우의로 바뀌면서 그 격이 높아졌다.
영조는 이 선로포의도 인조반정 때의 의식에 근거를 두었다. 인조반정에 참여한 세력과 반정 후 정권을 잡은 세력 사이의 구도, 그리고 영조 즉위 후 정권에서 배제된 소론이 남인과 손잡은 것은 농민 반란이 아닌 정권 쟁탈을 꾀했다는 점에서 두 사건의 공통점을 이야기할 수 있는 사안이다. 꼭 이 두 사건뿐만 아니라 의례 제정의 많은 부분에서 영조가 인조대에 근거를 두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어진을 모시는 의례, 대원군사우의·원종추숭 의례 등이다. 이들 의례는 《속오례의》 편찬 의의에서 일관되게 다뤄지는 왕권의 확립, 왕의 정통성 회복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의례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