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2879
· 쪽수 : 824쪽
· 출판일 : 2021-03-11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사회 역학에 대한 역사적 틀: 인구집단의 건강에 대한 사회적 결정요인
_리사 F. 버크먼·이치로 가와치 번역 이종구 감수 강영호
CHAPTER 2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_M. 마리아 글라이머·마우리치오 아벤다노·이치로 가와치 번역 박진욱 감수 김남희
CHAPTER 3 차별과 건강 불평등
_낸시 크리거 번역 정선재·전용우 감수 박종혁·김소영
CHAPTER 4 소득 불평등
_이치로 가와치·수부 수브라마니안 번역 이혜은 감수 황승식·오주환
CHAPTER 5 노동환경과 건강
_리사 F. 버크먼·이치로 가와치·토레스 테오렐 번역 정최경희 감수 이혜은
CHAPTER 6 노동시장, 고용정책, 건강
_마우리치오 아벤타노·리사 F. 버크먼 번역 은상준 감수 박상민
CHAPTER 7 사회 연결망 역학
_리사 F. 버크먼·아디티 크리슈나 공동번역 및 감수 장숙랑·김창오
CHAPTER 8 사회적 자본, 사회적 응집성 그리고 건강
_이치로 가와치·리사 F. 버크먼 공동 번역 및 감수 송인한·오주환
CHAPTER 9 정동 상태와 건강
_로라 D. 쿠브잔스키·애슐리 위닝·이치로 가와치 공동번역 및 감수 김용주·박혜인
CHAPTER 10 사회적 맥락 속에서 변화하는 건강 행태
_커샌드라 오케추큐·커스튼 데이비슨·캐런 에먼스 번역 허종호
CHAPTER 11 실험적 심리사회 중재
_토머스 A. 글래스·아미 M. 크레스·리사 F. 버크먼 공동번역 및 감수 장숙랑·김창오
CHAPTER 12 사회 역학 내 연구와 전환을 위한 도구로서의 정책
_M. 마리아 글라이머 번역 정혜주·문다슬 감수 김남희
CHAPTER 13 건강 증진을 위한 행태경제학의 응용
_이치로 가와치 번역 홍석철 감수 박종혁·김소영
CHAPTER 14 사회적 조건과 건강을 연결하는 생물학적 경로:
타당한 기전과 새로이 출현하는 수수께끼
_린다 D. 쿠브잔스키·테리사 시먼·M. 마리아 글라이머 번역 이화영 감수 조희경
CHAPTER 15 과학에서 정책으로
_마이클 마멋·제시카 앨런 번역 조홍준 감수 오주환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회 역학자들은 수십 년 동안 계속 COVID-19 전염병에 대해 연구할 것입니다. 이미 팬데믹이 이 분야에서 연구한 그야말로 모든 주제, 즉 사회 계급, 성별, 인종/민족, 장애, 노동 조건, 이웃 환경, 이주, 사회 통합 및 사회적 자본, 소득 불평등, 그리고 정치 경제와 관련되었다는 것은 이미 분명합니다. 사회 역학은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고 사회 정의를 높이기 위한 지식 형성에 지속적으로 기여해야 합니다. 칼 마르크스의 표현을 빌려 말하자면 사회 역학의 핵심은 단순히 세계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_ “한국어판 서문”
생태사회학적 이론의 중점은 우리가 문자 그대로 어떻게 생물학적으로 사회학적/생태학적인 노출을 체화하며 이를 통해 인구집단의 건강 분포를 만들어내느냐는 것이다. 사회학적으로 패턴화된 노출이 일으키는 병리학적인 경로가 어떻게 생리학적, 행동학적으로 혹은 유전자 발현을 통해 매개되어 우리 몸 안의 생물학적 시스템, 조직, 세포 수준의 발달, 성장, 조절, 사망에 관여해 질병, 장애, 사망을 일으키는가가 문제가 된다. 이에 반하는 프레임으로, 질병의 원인을 기본적으로 처음부터 내재되어 있는 생물학적인 특성과 질병 발생률의 차이 등으로 설명하는 것이 있다. 이는 오랫동안 건강에서의 인종적인 불평등의 원인으로 논의되어 왔다. _ “chapter 3 차별과 건강 불평등 ”
다양한 제도를 가진 다양한 국가들 간의 차별적 효과와 노인에 대한 전망은 마지막 중요 고려사항이다. 예를 들어 퇴직이 건강에 해롭다는 결과를 제시한 연구들은 주로 미국 연구이며, 대부분의 유럽 국가 연구들에서는 퇴직의 부정적 건강 영향을 보여주는 근거가 거의 없었다. 이는 미국과 유럽 국가들 간 노인의 사회경제적 안녕, 사회적 참여 수준, 자원봉사, 가족 접촉(family contact), 퇴직 후 사회관계망 범위에 대한 극명한 차이를 반영할 수 있다. 향후 연구를 통해 퇴직 후 사회참여 수준과 연관성이 있는 제도적·문화적 양상이 퇴직의 건강에 대한 영향의 국가 간 불일치를 설명할 수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_ “chapter 6 노동시장, 고용정책,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