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304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1-06-15
책 소개
목차
서문
Part 1 혁신과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Chapter 1스마트랜드 코리아의 등장
Chapter 2스마트폰 기술의 진화: 휴대전화에 스마트함을 더하다
Part 2 스마트폰 시스템의 정치경제학
Chapter 3이동통신 시스템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Chapter 4이동통신, 세계화 그리고 기술 헤게모니
Chapter 5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앱 경제
Chapter 6스마트폰 시대, 정보 격차에서 디지털 포용까지
Part 3 스마트폰과 청년문화
Chapter 7스마트폰으로 변화된 모바일 게임 문화
Chapter 8스마트폰의 재해석: 카카오톡과 청년문화
Chapter 9스마트랜드 코리아를 넘어서
책속에서
비록 한국은―아이폰이 한국에 늦게 출시되면서―스마트폰과 앱 보급률에서 뒤처진 적도 있었지만, 이제는 글로벌한 ICT의 원동력 중 하나가 되었다. 한국은 스마트폰 혁명에서 상대적으로 후발 주자였지만, 한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글로벌한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 아이폰의 시장 점유율을 넘어서는 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면 한국인들은 어느 나라보다 더 빠르게 그것을 수용하곤 했다. 실제로 한국은 새로 출시된 디지털 장비들을 남보다 빨리 사서 시험해 보기를 원하는 “얼리어답터(early adopters)”로 가득하다. _ Chapter 1
이 장은 21세기에 가장 중요한 디지털 플랫폼 중 하나인 스마트폰의 초기 역사를 사회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기술했다. 비록 오늘날의 스마트폰은 부피도 작고, 구하기 어렵거나 비싸지 않아서 스마트폰의 초기 형태를 상상하기 힘들지도 모르지만, 현재 우리의 일상에 깊게 관여하는 스마트폰의 기원을 이해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정보화 사회에서 우리는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이동성 하나로 수렴하는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첫 스마트폰―IBM의 사이먼―이 1994년 출시된 이래로 대략 20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다. 아이폰의 이전 모델들 없이는 아이폰이나 갤럭시도 존재할 수 없으며, 21세기에 우리는 여전히 피처폰을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_ Chapter 2
이 장은 스마트폰과 앱의 최근 성장을 한국 ICT 분야의 전환점으로 역사화하는데,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엄청난 발전은 모바일 기술의 성장이라는 전반적인 맥락 안에서 분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첫 번째 단계로 필자는 한국이 다양한 ICT를 발전시킨 방식들에 대해 논의한다. 이 부분에서 한국의 스마트폰 기술 및 정책 이슈는 통신 시스템의 지속적인 발전 중 한 부분으로 분석될 것이다. 즉, 어떻게 한국 정부가 신자유주의적 개혁과 한국의 발전주의를 융합하면서 무선통신 정책들을 만들었는지 파악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 개조에 기여한 정부의 역할을 분석한다. 그런 후 이 장은 어떻게 한국의 이동통신 산업이 국내의 정치적·경제적 요소들뿐만 아니라 글로벌한 통신 산업에서 일어난 최근 변화들에 의해 변화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장은 어떻게 한국 정부와 통신 산업들이 애플의 아이폰이 출시되기 바로 직전까지 국내 모바일 산업을 보호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 국내의 스마트폰 영역이 성장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_ Chapter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