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46073500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목차
1장 | 사회 변화와 역사 교육과정
1. 머리말
2. 사회 변화와 교육과정 이론
3. 역사의식, 역사교육 이론, 디지털 원주민, 수업
4. 맺음말
2장 | 이주와 네트워크 시대 초등 사회과 역사
1. 머리말
2. 환경확대법과 역사의 분산 혹은 집중 배치, 역사 융합
3. 과도한 자긍심보다는 복합 정체성
4. 맺음말
3장 | 문화재·문화유산 교육과 역사교육
1. 머리말
2. 한국사와 문화재의 연합을 통한 국민 만들기
3. 문화유산과 역사교육의 서로 다른 길 찾기와 유산화
4. 맺음말
4장 | 학생의 역사 정체성과 역사교육의 내용
1. 머리말
2. 민족·종교 정체성, 초국적·복합적 정체성, 겉도는 국가 서사
3. 학생의 복합적 다양성과 역사교육의 내용
4. 맺음말
5장 | 다중시각의 역사 수업과 윤리적 문제
1. 머리말
2. 다중시각의 역사 수업
3. 다중시각의 역사 수업에서 가치 판단 충돌 문제의 해결 유형
4. 맺음말
6장 | 디지털 공공역사와 박물관 전시를 통한 역사교육
1. 머리말
2. 공공역사와 공공역사가
3. 한국에서 공공역사 주체의 변화와 집단기억
4. 소셜미디어와 역사하기
5. 박물관 역사 전시의 방향: 결과로서가 아니라 과정으로서의 역사
6. 맺음말
7장 | 학교연계 박물관 역사교육
1. 머리말
2. 학교 역사, 교과서의 유물 사진 한번 보기
3. 박물관 전시물, 편견 깨기와 한계 넘기
4. 박물관에서 큰 문화 읽기, 새로 탐구하기, 되돌아보기, 복수로 해석하기, 시공간 연결하기
5. 맺음말
8장 | 역사와 유산, 이성과 감정의 복합 전시: 역사교육의 시각에서 본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역사관
1. 머리말
2. 디지털 시대의 풍성한 디지털 ‘핸즈온’, ‘하트온’, 그러나 아날로그적 체험의 부족
3. 다중시각의 역사 재현, 그러나 역사 생성 체험의 부재
4. 논쟁적 역사의 재현 가능성과 민감한 역사·유산에 대한 교육적·사회심리적 접근의 필요성
5. 맺음말: 전시에서 감정의 문제
9장 | 사회적 불평등과 ‘모두’를 위한 역사교육
1. 머리말
2. 형평성과 공정성의 의미
3. 형평성과 교육과정 이론
4. 모두를 위한 역사교육
5.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보면, 먼저 가르쳐야 할 실질적인 내용을 선정하고 성취기준을 개발한다. 이 과정에 대부분의 시간을 들인다. 그다음 교육과정 문서에 진술해야 할 성격, 목표, 교수학습, 평가 등 나머지는 논의 과정도 거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진술하는 관행이 계속되면서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및 평가 진술이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행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발진에 역사교육 전문가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개발진 전체가 역사 교육과정이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하며, 현장에서 활용하게 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구성·진술해야 하는가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오리엔테이션 단계를 설정할 필요도 있다. 역사 교육과정 개발진의 전문성 확보는 교육과정을 통해 역사교육을 개선하고 역사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_ “1장. 사회 변화와 역사 교육과정” 중에서
2020년대 인류가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세계에서, 또 지역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문화재, 혹은 문화유산을 민족의 틀에 가두는 것은 사람들의 실제 삶과 괴리한다. 유산화의 주체와 방법이나 학문적 패러다임의 변화도 문화유산을 역사와 구분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 문화재교육이나 문화유산 교육에 역사교육적 고려와 기여는 중요하지만 역사교육에서 문화재를 유물과 동일시하는 관행은 폐기되어야 한다._ “3장. 문화재·문화유산 교육과 역사교육”
국가와 문화의 경계를 넘는 이동과 이주로 인해 학생이 자신을 하이픈화된 정체성이나 국가나 민족을 초월한 정체성을 가진 유동적 존재로 인식할 수도 있고, 또 자신의 국가 정체성을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이념이나 제도에 기초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학생이 처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학생의 역사 정체성이 가족이나 공동체의 그것과 다르게 형성되고 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정체성은 가변적이고 다면적인 성격이 있다. 그러므로 역사교육에서는 학생의 다양성을 학생의 인종, 민족, 종교, 젠더 등 주어진 상황만이 아니라 그러한 상황들의 인위적인 구획을 가로질러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_ “4장. 학생의 역사 정체성과 역사교육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