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88946075368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4-10-10
책 소개
목차
제1장 정치지리학의 개념과 발달
제2장 국가의 형성과 영토 결속
제3장 국가의 자연환경과 정치
제4장 국가의 인문환경과 정치
제5장 국경과 영토 관리 및 분쟁
제6장 국가, 지방정부, 시민사회
제7장 수도, 행정구역, 선거
제8장 제국주의와 식민통치/독립
제9장 냉전과 탈냉전의 세계 정치지리
제10장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정치지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치지리학은 흥미롭고 재미있는 지리학의 주요 전공 분야이다. 정치지리학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매우 다양하다.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 동상은 왜 광화문 광장에 조성되어 있는가, 그리고 이 광장에서는 왜 시민사회운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가’라는 의문에서부터 ‘러시아가 왜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으며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왜 타이완 문제를 둘러싼 긴장의 수준을 높이고 있는가’ 등은 모두 정치지리학의 주요 주제들이다. 이러한 정치적 현상은 어떠한 의미에서든 공간환경적 측면을 내포하며, 또한 이에 함의된 공간환경적 요소들은 정치적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책을 펴내며」
독도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는 독도의 정치지리학은 기본적으로 정치지리학이 지리와 정치 간 상호관계를 다루는 학문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정치지리학은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사물이나 사건들의 공간환경적 특성(형태적 및 자연·인문환경적 특성들)과 이들에 함의된 정치적 과정(또는 권력 관계) 간 관계를 고찰한다. 나아가 정치지리학은 지리적 실체의 공간환경적 특성들이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려와 더불어 경제적·사회문화적·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해석과 이를 둘러싼 이해관계의 갈등, 그리고 이들이 국지적·국가적·지구적 차원에서 다규모적으로 작동함에 따른 지리적 과정의 복합적 변화를 이해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제1장정치지리학의 개념과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