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46075818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5-08-20
책 소개
목차
서문 ∙ 8
제1부 ∙ 학습코칭의 이해
제1장 학습코칭의 필요성 ∙ 12
1. 교육의 변화 ∙ 12
2. 학습코칭의 인식 ∙ 17
3. 학습코칭의 관심 ∙ 20
4. 공교육에서의 학습코칭 인식 ∙ 24
제2장 학습이란 무엇인가? ∙ 26
1. 교육철학과 인본주의 관점 ∙ 26
2. 교육적 관점 ∙ 29
3. 교육과 학습 ∙ 31
4. 자기조절 학습의 접근법 ∙ 33
5. 자기조절 학습의 발달 ∙ 37
6. 자기조절 학습의 구성 요소 ∙ 39
7. 자기주도 학습과 자기조절 학습 ∙ 41
제3장 코칭의 이해와 적용 ∙ 45
1. 코칭의 어원 ∙ 45
2. 코칭의 지향 ∙ 47
3. 코칭철학 ∙ 49
4. 사람 중심 코칭 접근법 ∙ 52
5. 코칭 패러다임 ∙ 57
6. 다양한 코칭이론 ∙ 61
7. 코칭 세션과 코칭 프로세스 ∙ 64
8. 코칭 스킬 ∙ 68
9. 코칭 역량 ∙ 70
10. 커뮤니케이션 ∙ 72
11. 언어 ∙ 75
12. 경청 ∙ 79
13. 질문 ∙ 96
14. 코칭대화 모델 ∙ 102
15. 코칭과 멘토링 ∙ 108
16. 코칭에서 라포르 형성 ∙ 112
제4장 역량이란 무엇인가? ∙ 122
1. 역량의 이해 ∙ 122
2. OECD 학습나침반 2030 ∙ 128
3. 역량 기반의 교육 ∙ 135
제5장 학습역량의 이해 ∙ 140
1. 학습역량의 개념 ∙ 140
2. 뇌와 학습역량 ∙ 142
3. 신경전달물질과 학습 ∙ 150
4. 학습역량의 분류 ∙ 158
제2부 ∙ 학습코칭의 실제
제6장 인지역량 ∙ 162
1. 주의집중력 ∙ 162
2. 기억력 ∙ 174
3. 시연 ∙ 186
4. 정교화 ∙ 192
5. 그래픽 오거나이저(Graphic Organizer) ∙ 201
6. 메타인지 ∙ 205
제7장 동기역량 ∙ 211
1.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 ∙ 211
2. 학업적 성취 동기 ∙ 217
3. 목표지향성 ∙ 224
4. 학업적 자기효능감 ∙ 227
5. 마인드셋(Mindset) ∙ 232
6. 학습몰입 ∙ 239
제8장 사회·정서 역량 ∙ 246
1. 왜 사회·정서 역량인가? ∙ 246
2. 자기인식 ∙ 250
3. 자기관리 ∙ 256
4. 사회적 인식 ∙ 265
5. 관계 관리 ∙ 270
6. 책임 있는 의사결정 ∙ 275
7. 회복탄력성 ∙ 279
제9장 행동역량 ∙ 285
1. 학습 계획 ∙ 285
2. 학습 습관 ∙ 288
3. 자원 관리 ∙ 291
4. 학습 환경 ∙ 296
5. 신체 관리 ∙ 306
6. 학습 태도 ∙ 311
제10장 기타 학습코칭 ∙ 318
1. 그릿(GRIT) ∙ 318
2. 학습 부진 ∙ 321
3. 시험불안 ∙ 326
제11장 MTLC 다면적 학습역량검사 ∙ 334
부록 학습역량 코칭 전문가 양성 과정 ∙ 335
참고문헌 ∙ 336
리뷰
책속에서
시대가 변해도 공교육의 기본 틀은 변하기 쉽지 않다. 왜냐하면, 국가교육 체계는 엄격하게 제도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공교육에서 원하는 조직 구조의 특징은 ‘일관성’, ‘동조성’, ‘순응성’이다. 학습코칭 전문가는 학업성취도 향상 이전에 학생들의 잠재력 향상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제도적 교육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잠재력을 키워주는 방법으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개별화에 중점을 둔 교육, 학습역량에 중점을 둔 교육을 의미하는 것이다. 학교교육은 학년과 교과목에 의해 세분화되지만, 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개인이 스스로 이해하고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지식의 창조’에 중점을 둔다. 이는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탐구하며, 기존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통찰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포함한다._ “제1장 • 학습코칭의 필요성”
코칭 대화 프로세스에서 ‘통찰이 온다’는 것은, 피코치(학습자)가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 신념 등을 새롭게 바라보게 되는 ‘깊은 깨달음’이나 ‘이해의 전환’이 일어나는 순간을 의미한다. 이 순간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스스로 의미를 발견하고 관점을 확장하게 되는 핵심적인 전환점이다. 통찰의 특징을 보면, 첫째, 통찰은 문제 상황의 배열에 의존한다. 즉, 통찰은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중요 부분들이 배열되어 이들 관계가 지각되면 쉽게 이루어진다. 둘째, 통찰 학습의 효과는 오래 유지되고 쉽게 반복된다. 셋째, 통찰 학습은 수단과 목적 사이의 인지적 관계를 학습하는 것이므로 새로운 상황에도 적용된다._ “제3장 • 코칭의 이해와 적용”
코칭 태도란, 첫째, 코칭언어를 활용하면서 언어적·비언어적 요소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언어적 요소는 코칭 대화를 학습해야 하며, 비언어적 요소는 코칭철학의 이해를 반영하여 고객의 온전함, 신뢰, 가능성에 초점을 두어 ‘중립언어’와 ‘긍정언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는 고객을 존중하고 배려한다는 암묵적 메시지를 전해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둘째, 경청이다. 적극적으로 들으려는 자세, 고객 자체를 경청하려는 태도가 중요하다. 셋째, 질문이다. 호기심을 반영하는 질문, 간결하고 구체적이며 명료한 질문, 고객의 생각을 확장할 수 있는 질문과 맥락적 질문을 해야 한다. 넷째, 깨끗한 대화, 직면을 두려워하지 않는 대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대화, 수용과 포용의 대화, 동기부여를 유발할 수 있는 대화를 이끌어가야 한다._ “제3장 • 코칭의 이해와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