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46081277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1장 • 왜 자연사인가
1절 어떻게 이 책을 쓰게 되었는가
2절 왜 자연사에 관심이 없을까
3절 자연사혁명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4절 열대 자연의 이해
2장 ∙ 서양 자연사학의 역사적 계보
1절 기축 시대의 자연사
2절 희랍의 자연사
3절 헬레니즘과 이슬람의 문명융합
4절 헤르메스 자연사, 자연신학, 자연철학의 관계
5절 ‘신세계 발견’ 시대의 자연사
3장 ∙ 카를 린네, 자연과 인간을 분류하다
1절 네덜란드 황금시대의 열대 탐험
2절 왜 ‘린네 자연사혁명’인가
3절 린네 ‘사도’의 전 지구적 열대 탐험
4절 자연사의 시각적 공간화
4장 ∙ 르클레르 드 뷔퐁, 자연사를 체계화하다
1절 왕립과학아카데미의 아메리카 탐험
2절 프랑스 자연사에서 풍토 이론의 위상
3절 ‘뷔퐁 자연사혁명’과 라마르크의 진화론
4절 계몽주의 자연사: 루소, 볼테르, 디드로
5장 ∙ 조셉 뱅크스, 전 지구적 식물원 네트워크를 만들다
1절 10대의 거대 지주, 30대의 왕립학회장
2절 쿡, 뱅크스, 포르스터의 남태평양 탐험
3절 ‘뱅크스 자연사혁명’: 영국, 제국의 날개를 달다
4절 열대 자연사와 서구 예술의 관계
6장 ∙ 알렉산더 훔볼트, 식물지리학을 정립하다
1절 미래세대를 위한 융합적 탐구
2절 계몽주의에서 낭만주의로: 칸트, 헤르더, 괴테
3절 유럽과 아메리카의 ‘식민적 문화융합’
4절 ‘훔볼트 자연사혁명’: 열대 공간의 발명
7장 ∙ 알프레드 월리스, 종의 생물지리학을 성취하다
1절 다윈에 가려진 자연사학자
2절 자연사, 자연신학, 정치경제학의 접속 공간
3절 말레이제도 탐험: 무엇이 진화를 추동시키는가
4절 ‘월리스 자연사혁명’: 생물지리학, 진화론, 제국주의
8장 ∙ 찰스 다윈, 융합적 자연사를 완성하다
1절 ‘주노미아’에서 ‘자메이카위원회’까지
2절 제국의 항해, 다윈의 열대 탐험
3절 ‘다윈 자연사혁명’: 자연선택, 귀납과 연역의 종합
4절 ‘다윈주의’의 신화와 진실
9장 ∙ 자연사에서 자연학으로
1절 라마르크의 부활: 후성유전학
2절 지구의 자연학: 엔트로피, 생물권, 공생진화
3절 인류세와 기후위기
4절 지구 대멸종: 자연학의 정립이 절박하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서양의 카나리아제도는 대서양과 남태평양으로의 항해에서, 모리셔스섬은 인도양 항해에서, 자바·반다·술라웨시 지역의 많고 많은 섬은 동남아시아 항해에서, 타히티를 비롯한 폴리네시아·멜라네시아·미크로네시아의 수많은 섬은 남태평양 항해에서, 바하마제도를 비롯한 카리브해의 수많은 섬은 유럽의 아메리카 항해에서 중요한 생물지리적 공간으로 각각 작용했다. 유럽인들은 이러한 열대의 섬을 발견·탐험하고 식민화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문학적·예술적 상상력을 펼쳐나갔고, 열대 자연에 대한 제국의 욕망을 전 지구적으로 실현해 나갔다. (1장•왜 자연사인가)
플리니우스도 다양한 형태로 거래되는 수많은 물품에 항상 호기심을 가졌다. 자신이 다녔던 지역의 수많은 식물, 동물, 광물들에 대한 수많은 자료들을 수집했다. 그가 아침에 일어나서 밤에 잠들 때까지 이 엄청난 문헌들을 옆에서 낭독했던 노예의 목은 항상 잠겨 있었고 필경사도 원래 문헌을 베껴 쓰느라고 손이 쉴 날이 없었다. 플리니우스의 《자연사》는 이런 고된 과정을 거쳐서 태어났다. (2장•서양 자연사학의 역사적 계보)
데카르트는 암스테르담이 17세기 유럽에서 “사람들이 바라는 신기한 상품들을 모두 갖춘” 도시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런데 암스테르담 시장에 나와 있는 거의 모든 상품은 르네상스 유럽의 자생적인 발명품이 아니었다. 그것은 유럽의 열대 탐험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유럽 사회가 열대의 자연 산물을 유럽 사회로 전유하려는 욕망을 실현하려는 과정에서 상품이 생겨난 것이다. 암스테르담 시장에서 매일 새로운 상품들을 접하면서, 데카르트는 (…) 시장에서 눈으로 본 상품과 진리라고 들었던 지식 사이의 괴리를 직면했다. 사물의 객관성 또는 지식의 확실성이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된 것이다. (2장•서양 자연사학의 역사적 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