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르크스의 부활

마르크스의 부활 (반양장)

(핵심 개념과 새로운 해석)

마르셀로 무스토 (엮은이), 정구현, 조영태, 정성진 (옮긴이)
한울(한울아카데미)
4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8,000원 -0% 0원
480원
47,5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르크스의 부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르크스의 부활 (반양장) (핵심 개념과 새로운 해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81918
· 쪽수 : 589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2020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사에서 출간된 The Marx Revival: Key Concepts and New Interpretations를 번역한 것이다. 익숙하지만, 낯설게 이해될 필요가 있는 마르크스를 학계의 최첨단 논의를 통해 부활시킨다.

목차

1 자본주의_미하엘 크레트케
2 공산주의_마르셀로 무스토
3 민주주의_엘런 메익신스 우드
4 프롤레타리아트_마르셀 판 데르 린덴
5 계급투쟁_앨릭스 캘리니코스
6 정치조직_피터 후디스
7 혁명_미카엘 뢰비
8 노동_히카르두 안투네스
9 자본과 시간성_모이셰 포스톤
10 생태학_존 벨러미 포스터
11 성평등_헤더 A. 브라운
12 민족주의와 종족성_케빈 B. 앤더슨
13 이주_피에트로 바소
14 식민주의_산드로 메차드라, 라나비르 사마다르
15 국가_밥 제솝
16 세계화_정성진
17 전쟁과 국제관계_베노 테슈케
18 종교_질베르 아슈카르
19 교육_로빈 스몰
20 예술_이자벨 가로
21 기술과 과학_에이미 E. 웬들링
22 여러 마르크스주의_이매누얼 월러스틴

저자소개

마르셀로 무스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토론토에 위치한 요크 대학교의 사회학 이론 교수이며, 지난 10년간 마르크스 연구의 부활에 상당한 공헌을 한 저자 중 한 명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저서로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들을 다시 생각한다](한울엠플러스, 2013), Another Marx: Early Manuscripts to the International(Bloomsbury, 2018), [마르크스의 마지막 투쟁](산지니, 2018)이 있다. 편저서로 Karl Marx’s Grundrisse: Foundations of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150 Years Later(Routledge, 2008), Marx for Today(Routledge, 2012), Workers Unite! The International 150 Years Later(Bloomsbury, 2014), Marx’s Capital after 150 Years: Critique and Alternative to Capitalism (Routledge, 2019), Karl Marx’s Life, Ideas, and Influences: A Critical Examination on the Bicentenary(Palgrave, 2019), The Marx Revival: Key Concepts and New Interpret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Karl Marx’s Writings on Alienation(Palgrave, 2021), Rethinking Alternatives with Marx: Economy, Ecology and Migration(Palgrave, 2021) 등이 있다. 무스토의 글은 세계 25개 언어로 출판되었으며, www.marcellomusto.org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그는 도서 시리즈 Marx, Engels, Marxisms(Palgrave Macmillan)와 Critiques and Alternatives to Capitalism(Routledge)의 편집자이기도 하다.
펼치기
정성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현재 계간 『마르크스주의 연구』 편집위원장, 국제학술지 Research in Political Economy 편집위원, 맑스코뮤날레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과거에 한국사회경제학회장,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과 대학원 정치경제학과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마르크스와 한국 경제』(2005), 『마르크스와 트로츠키』(2006), 『마르크스와 세계경제』(2015)가 있으며, 주요 공저로는 Marxist Perspectives on South Korea in the Global Economy(2017), Varieties of Alternative Economic Systems(2017) ,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2012),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의 국제비교』(2010) 등이 있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의 형성 2』(2003),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2011), 『칼 맑스의 혁명적 사상』(2007), 『반자본주의 선언』(2003)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조영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SOAS(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사회불평등이론, 노동이론, 여성이론 등을 공부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그 일환으로 “Youth Non-employment in South Korea: Capitalist Development, Labour Market Segmentation and Social Reproduction Crisis”라는 제목의 박사논문을 작성 중에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자본주의에서 자본가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은 자본의 지배하에서, 혹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험하듯이 무지막지한 경쟁의 압력을 통해 자신을 관철하는 “시장 법칙”의 체제하에서 살아간다. 모든 사람들은 이런 압력에 굴복해 폭력, 즉 자연의 폭력은 분명 아니지만 “가치법칙”과 같은 사회의 폭력에 복종한다. 자본주의 시대에서 인간 자신이 생산하고 주조한 것―시장 체제, 화폐, 자본―에 의한 인간의 행동과 사고의 이런 종류의 지배는 자본주의가 낳은 일상생활의 종교를 지배하는 신비화에 의해 더 심화된다. 이 때문에 자본주의는 단지 인격적 및 비인격적인 자본의 지배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질서―여기에서는 아무도 통제할 수 없는 사실적 및 현실적 제약들이 모든 사람들의 삶과 정신을 짓누르고 있다―는 막스 베버(Max Weber)식으로 표현하면 보편적이고 비인격적인 굴레의 “철창”이다.


1868년 마르크스는 독일 노동자협회 의장에게 보낸 의미심장한 편지에서, 독일에서 “노동자가 어릴 때부터 관료적으로 규제를 받고, 권위와 자신들을 지배하고 있는 것을 믿는 곳에서는 그들에게 스스로 걷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평생 이 신념을 바꾸지 않았으며, IWMA 규약 초안의 첫 번째 요점을 “노동자계급의 해방은 노동자계급 스스로 이루어야 한다”라고 명시한 것도 우연이 아니다. 그리고 노동자계급 해방을 위한 투쟁은 “계급의 특권과 독점을 위한 투쟁이 아니라 평등한 권리와 의무를 위한 투쟁”을 의미한다고 곧바로 덧붙였다.


‘부르주아 민주주의’의 원리, 즉 자유주의적 권리와 자유가 자본주의에 의해 그것들이 배제된 경제적 영역으로까지 확장된다면, 예컨대 현재 사회적·경제적 권리로 불리는 것이 자유민주주의의 시민적·정치적 권리 못지않게 기본 권리로 다루어진다면, 이는 민주주의의 중대한 진보가 될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규제’한다고 해도, 시장을 그 본성이 내리는 명령이 아닌 다른 원리에 의해 작동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환상을 품어서는 안 된다. 시장이 지배적인 곳이라면 어디든, 이윤 극대화의 압력도 지배적일 것이다. 권리와 자유를 그것들이 배제된 경제적 공간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기초적인 특정 재화와 용역의 공급이 이윤 극대화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다시 말해, 민주주의의 확장은 탈상품화를 요구한다. 그러나 진정으로 민주적인 ‘경제’, 즉 권력이 진정으로 인민에게 속한 경제는 정의상 자본주의의 종언을 뜻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