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그문트 바우만의 사회이론

지그문트 바우만의 사회이론

숀 베스트 (지은이), 박형신 (옮긴이)
한울(한울아카데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250원
24,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그문트 바우만의 사회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그문트 바우만의 사회이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83288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4-09-10

책 소개

주요 사회이론가들을 깊이 있게 다룬 연구서를 출간하는 한울사회이론 시리즈의 제4권으로, 우리 시대의 가장 뛰어난 사회학자 중 한 명인 지그문트 바우만의 삶과 저작을 소개한다.

목차

제1장 바우만: 생애, 경력, 정치
제2장 맥락 속의 바우만
제3장 영국 도착: 성공한 아웃사이더?
제4장 근대성 비판자로서의 바우만
제5장 탈근대적 전환
제6장 액체 전환
제7장 포함과 배제
제8장 타자에 대한 배려
제9장 바우만의 유산

저자소개

숀 베스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윈체스터 대학교 교육 및 교양학부 교수이다. 교육학의 맥락에서 사회적 포함과 배제, 섹슈얼리티, 자아와 정체성과 관련한 사회학적 쟁점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책 외에도 바우만을 다룬 저작으로 Zygmunt Bauman: Why Good People do Bad Things와 Zygmunt Bauman: Education in Liquid Modernity가 있으며, 그 밖의 저술로 A Beginner’s Guide to Social Theory, Talcott Parsons: Despair and Modernity, Leisure Studies: Themes and Perspectives, Understanding Social Divisions 등이 있다.
펼치기
박형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간 고려대학교에서 초빙교수, 연세대학교에서 연구교수 등으로 일하면서 사회이론, 감정사회학,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했다. 지금은 고려대학교에서 강의하며,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음식 취향의 형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정치위기의 사회학』,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공저), 『에바 일루즈』, 『로맨스 이니그마』(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고전사회학의 이해』, 『은유로 사회 읽기』, 『감정과 사회관계』.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 『어빙 고프먼의 사회이론』, 『지그문트 바우만의 사회이론』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바우만은 사람들은 자신의 삶의 방향과 미래의 인생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는 사람들에게 부과되는 선택에는 한계가 있음을 인정한다. 즉, 목표의 실현 가능성은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바우만이 볼 때, 행위의 맥락, 사회적 환경, 집단정신, 공통의 감정은 ‘운명’에 의해 결정된다. 운명은 결코 우리 스스로가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액체 근대세계 내에서 결정을 내리는 힘들은 확실성을 창출하기보다는 개연성에 한계를 설정한다.


바우만이 보기에, 역사는 이성의 발전과 더 많은 자기 인식(self- understanding)에 관한 것이다. 자기 인식은 세계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관계의 외양과 그 사회적 관계의 본질 간의 구분을 없애고 그 본질을 폭로하는 것이다. 자기 인식에 대한 이러한 접근방식은 새로운 철학적 또는 방법론적 접근방식을 개발하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라 세상을 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이 접근방식은 사회관계를 더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해 사회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