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47233026
· 쪽수 : 377쪽
· 출판일 : 2007-12-15
목차
제1편 | 입문편
제1장 대통령 비서실과 (수석)비서관
1. 대통령의 고유업무 관련 보좌기능 수행 비서실
2. 관련부처 관장담당 성격의 수석비서실
3. 수석비서관의 기능
4. (수석)비서관 상호간의 관계
5. (수석)비서관 임용
6. 비서실장, 수석비서관,비서관 임용시의 검증방법
제2장 대통령비서실장론
1. 비서실장의 위상
2. 비서실장제 왜 필요한가?
3. 비서실장의 역할과 유형
4. 비서실장의 역할과 기능 및 자격요건
5. 비서실장 발탁원칙과 발탁 유형
6. 발탁 과정, 내정 및 내정 결과 발표시기
제3장 대통령비서실과 외부조직과의 관계
1. 대통령비서실과 국무총리
2. 대통령비서실과 중앙행정부처
3. 대통령비서실과 핵심권력기관
4. 대통령비서실과 정치권
5. 기타 외부환경과의 관계
제2편 | 대통령의 국정운영방식
제4장 비서실(staff : 막료) 중심의 중앙집권적 국정운영방식
1. 대통령비서실 중심의 중앙집권적 국정운영방식의 의의
2. 대통령비서실 중심의 중앙집권적 국정운영방식의 정당성
3. 중앙집권적 국정운영방식의 문제점
4. 중앙집권적 국정운영방식의 폐단방지책
제5장 내각(장관 : Line) 중심의 국정운영방식
1. 개요
2. 내각 중심의 국정운영방식의 의의 및 장단점
3. 내각 중심의 국정운영방식의 문제점
제6장 분권형 국정운영방식
1. 의의
2. 분권형(절충형) 국정운영방식과 국무위원 및 전문직업관료의 관리
3. 국문회의의 활용
4. 관계장관 및 차관회의의 활용
5. 수석보좌관 회의의 활용
6. 대통령 직속 ‘대통령 프로젝트 추진위원회’ 및 싱크탱크의 활용
7. 세 가지 국정운영방식의 개요 및 차이점
제7장 미국 대통령의 국정운영방식
1. 미국 대통령관료의 개요
2. 백악관비서실(인격화된 대통령제의 실현)
3. 대통령부(EOP : 제도화된 대통령제의 실현)
제3편 | 대통령비서실 기능론
제8장 소극적 기능론
1. 소극적 기능론의 개요
2. 소극적 기능론하에서의 비서실 개편 논의
제9장 분권형(중도적) 기능론
1. 개요
2. 분권형(중도적) 기능론하에서의 대통령비서실 개편 논의
3. 분권형 기능론(분권형 국정운영방식)에 적합한 대통령비서실 직제
4. 대통령 직속기관 관련사항 : 기획예산처의 대통령 직속기관화
제10장 적극적 기능론
1. 개요
2. 분권형 및 적극적 기능론하에서의 대통령비서실 개편 논의
3. 종합정리
제4편 | 대통령의 비서실 관리방식
제11장 대통령비서실 관리방식 개괄
1. 개요
2. 미국대통령의 비서실 관리방식 개괄
제12장 경쟁 모형
1. 개요
2. 사례 : 루스벨트 대통령
3. 타 기관(분야)에서의 적용
제13장 계층제적 모형
1. 개요
2. 사례 : 트루먼 대통령
3. 타 기관(분야)에서의 적용
제14장 비서실장을 통하게 하는 계층제적 모형
1. 개요
2. 사례 : 아이젠하워, 포드, 클린턴 대통령
3. 타 기관(분야)에서의 적용
제15장 동료적ㆍ개방적 모형
1. 개요
2. 사례 : 존 F. 케네디, 지미 카터 대통령
3. 타 기관(분야)에서의 적용
제16장 삼두체제형 모형
1. 개요
2. 사례 :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3. 타 기관(분야) 적용 예
제17장 종합요약
제5편 | 한국 대통령비서실 제도화과정 개요 및 비서관 인선정책
제18장 한국 대통령비서실 제도화과정 개요
1. 대통령의 국정운영방식
2. 대통령비서실 기능론
3. 비서실장 활용방식
제19장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출신배경 분석 및 인선정책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ㆍ 부 록
ㆍ 참고문헌
ㆍ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