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47541558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7-02-07
책 소개
목차
PART 1 조직 코칭의 기본
CHAPTER 1 코칭의 역사와 내용
CHAPTER 2 조직에서 코칭 환경 조성하기
CHAPTER 3 코칭 경험 관리하기
CHAPTER 4 조직에서 코칭 성과를 측정하기
PART 2 코칭 스킬과 기술
CHAPTER 5 코칭 프로세스와 기본 코칭 스킬
CHAPTER 6 학습 지원 코칭
CHAPTER 7 성과 향상 코칭
CHAPTER 8 리더십 개발 코칭
CHAPTER 9 팀 코칭과 그룹 코칭
CHAPTER 10 마스터 코칭 스킬의 개발
책속에서
코칭 환경에서는 목적과 목표, 마감시간, 수익만 강조하지 않는다. 다른 동료가 발전할 기회에도 초점을 맞춘다. 목표달성, 마감시간, 수익성만을 강조하는 기업은 직원을 근시안적인 사고와 위기의식 상황으로 몰아넣게 된다. 다른 동료의 발전을 백안시하는 배경에는 항상 다른 이유가 있다. 하지만 타인의 발전에 시간을 쏟지 않으면 큰 비용을 치르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당신만이 할 수 있는 일을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잘하는 일을 당신이 맡는다면 그때 소요되는 시간이 바로 허비되는 비용이다. _p.42
코칭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조직의 코칭 도입이 최고경영진의 의지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코칭이 잘되려면 회사의 핵심 전략과제와 밀접하게 연결시켜주어야 하며, 중간관리자가 코칭 행동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 보상으로 이어지는 실적 역량 평가 지표에 코칭 역량도 포함되어야 한다. 물론 열정적인 중간관리자 중에는 자기가 맡은 분야에서 탁월한 코칭 실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회사 차원에서 코칭 환경이 성공적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현업의 경영진과 기업 전략 지도자가 코칭의 챔피언이 되어야 한다. _p.48
코칭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계약하는 과정에서 코치와 대상자가 과정 중에 몇 번의 세션을 가질 것인지 논의해야 한다. 경영진 코칭의 경우는 최소 6개월의 기간과 적어도 한두 번의 세션은 가져야 한다. 각 세션마다 대상 임원은 큰 그림에 맞춰 매일의 일과가 목표와 초점 분야에 연결이 되도록 모든 대화를 이끌어가야 한다. 무엇을 성취했는지 충분히 인지되고, 인정받아야 하고, 도전과제는 학습과 성장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예기치 않은 문제나 돌발적인 변수가 생겼을 때는 목표를 재정립해야 할지도 모른다. 종종 이런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는 수정된 부분을 반드시 문서로 기록을 남겨야 한다. 만약에 코칭 참여기간 중에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명확한 사유를 설명해야 한다. _p.99~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