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4754319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8-02-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_ 산업한류는 한국 사회에 새바람을 일으키는 도미노
1장 가장 큰 위기는 국가에 비전이 없는 것
01. 갈림길에 선 대한민국
02. 지금 필요한 국가 비전의 요건
03. 위기는 기회인가?
2장 산업한류로 지구촌 허브가 되는 것이 새로운 국가 비전
01.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제 역할
02. 산업한류는 소프트한 교육한류 콘텐츠와 하드한 산업의 결합
03. 21세기 한국의 신교역 패러다임
3장 산업한류를 위한 7대 플랫폼 사업
01. 맞춤형 산업단지 사업: 기업의 구조 개혁 출구 및 신흥 개도국 산업화 선도
02. 인프라 사업: 주력 산업의 재도약 기회
03. 윈윈형 해외 자원 개발 사업: 자원이 부족한 한국의 숙명
04. 스마트 시티 사업: 4차 산업혁명의 테스트 베드 선점
05. 고등교육 메카화 사업: 인재 다양성 확보 및 인구 대책
06. 디지털 교육 사업: 사교육 문제 해결 및 지구촌 교육 불평등 해소
07. 서비스 글로벌화 사업: 제조업 및 압축 성장 노하우 활용
4장 신흥 개도국을 위한 허브국가로서의 6대 역할 비전
01. 허브 ① 산업화 롤 모델 코리아, 신흥 개도국 적정 기술 연구 개발의 허브로
02. 허브 ② 자원 부재와 인재 강국 코리아, 신흥 개도국의 인재 육성 허브로
03. 허브 ③ 한류 코리아, 21세기 디지털 교육과 문화 혁명의 허브로
04. 허브 ④ 기술 상용화 경쟁우위 코리아, 4차 산업혁명 신산업 테스트 베드 허브로
05. 허브 ⑤ 한류 매력의 산업국가 코리아, 지구촌 산업관광의 허브로
06. 허브 ⑥ 개발 시대에 최적화된 K 서비스, 속도와 효율의 디지털 서비스 허브로
07. 6대 허브 비전과 대기업의 역할
에필로그 _ 한국의 선택은 왜 이 길밖에 없는가?
부록 _ 국제 신용을 위한 최우선 과제는 ‘지구촌 기아 퇴치’
01. 신흥 개도국에 진출하는 명분
02. 극빈국 빈곤 퇴치형 생필품 산업단지
03. 프로젝트의 사업성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타당성 조사
04. 산업한류를 지지하는 글로벌 인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해외 시장이 다시 한국 경제의 강력한 엔진이 되게 하려면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 포맷부터 바꿔야 한다. 이제 해외 시장으로 나가야 한다는 당위나 구호만 갖고는 안 된다. 개발 시대의 해외 진출과는 달라야 하고 현지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일본이나 중국 기업과도 차별화되어야 하며 실패하지 않는 진출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개별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의 전략에도 적용된다.
-「지금 필요한 국가 비전의 요건」 중에서
국가 간 경쟁이 영토에서 연결로 진화하고 있다. 연결성이 극대화된 국가가 허브국이다. 오늘날 글로벌 공급망, 에너지 산업, 금융, 기술, 인재 흐름에 대한 주도권 경쟁은 연결성에 달려 있다. 즉, 연결성 증대가 국가 경쟁력이 되고 국가 미래 전략의 축으로 대두되고 있다. 중국이 일대일로를 내세우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은 산업한류로 이 연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위기는 기회인가?」 중에서
앞으로 한국은 지구촌 곳곳의 낙후 지역의 산업화를 지원하고 극빈국의 빈곤을 퇴치함으로써 국제 사회로부터 신용을 얻어야 한다. 지구촌에 산업한류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는 한국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새로운 국가의 역할일 뿐 아니라 국민 일자리를 신흥 시장에서 창출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는 양극화로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우리 국민을 하나로 묶는 대국굴기 비전이 되면서 우리 사회가 과당 경쟁과 과잉 정치를 넘어 상생 사회로 진화할 수 있는 계기다. 동시에 청장년층 실업과 중소기업 문제 등 산적한 국내 문제를 해결하는 길이 된다. 압축 성장의 알토란 같은 노하우가 담겨 있는 다양한 업종과 기술을 활용한 한국만의 차별화된 국제 사회 진출 전략이다. 이 과정을 통해 국격을 높인 한국은 신흥 개도국의 허브로 급부상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제 역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