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49703985
· 쪽수 : 1124쪽
· 출판일 : 2007-07-10
책 소개
목차
역사의 연구
차례
해제
1 역사가로서의 성장/2 연구의 의도와 체계/3 수정된 문명주의자
일러두기
원저자의 머리말-A.J.토인비
엮은이의 머리말-D.C.서머벨
제1편 서론
제1장 역사의 연구 단위··13
제2장 문명의 비교 연구··26
그리스 정교 사회/이란 및 아랍 사회와 시리아 사회/인도 사회/중국 사회/‘화석’ 사회/미노스 사회/수메르 사회/히타이트 및 바빌론 사회/이집트 사회/안데스?유카텍?멕시코 및 마야 사회
제3장 사회의 비교 가능성··57
1 문명 사회와 원시 사회의 비교/2 ‘하나의 문명’이라는 학설의 잘못
3 문명의 비교 가능성 근거/4 역사?과학?창작
제2편 문명의 발생
제4장 문제와 이제까지 해답의 오류··73
1 명시된 문제/2 인종설/3 환경설
제5장 도전, 그리고 비전과 응전··88
1 신화가 주는 실마리/2 문명발생 문제에 신화의 응용(예측할 수 없는 요소/이집트 문명의 발생/수메르 문명의 발생/중국 문명의 발생/마야 문명과 안데스 문명의 발생/미노스 문명의 발생/‘자식’ 문명의 발생)
제6장 역경의 효능··113
보다 엄밀한 검토/중앙아메리카/실론(스리랑카)/아라비아 사막 북부/남태평양의 이스터 섬/뉴잉글랜드/로마의 캄파냐/카푸아의 배신/아르템바레스의 진언/「오디세이아」의 <출애굽기/안일로 지나는 사람들
제7장 환경의 도전··123
1 척박한 땅의 자극(연구방침/황하와 양쯔강/아티카와 보이오티아/비잔티움과 칼케돈/이스라엘 인과 페니키아 인과 필리스티아 인/브란덴부르크와 라인란트/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북아메리카 쟁탈전)/2 새로운 땅의 자극/3 타격의 자극/4 압박의 자극(이집트 세계에 있어/이란 세계에 있어/러시아 그리스정교 세계에 있어/대륙 변경민과 접한 서유럽 세계에 있어/서유럽 세계의 서방 변경 지역에 있어)/5 제재(압제)의 자극(절름발이 대장장이와 장님 시인/노예/파나르 인?카잔 인 및 레반트 인/유대인)
제8장 중용··184
1 충분과 과잉/2 세 가지 항목의 비교(문제를 취급하는 새로운 방법/노르웨이?아이슬란드?그린란드/딕시?매사추세츠?메인/브라질?라플라타?파타고니아/갤러웨이?얼스터?애팔래치아/전쟁의 참화에 대한 반발/국외 이주의 도전에 대한 중국인의 반응/슬라브족?아카이아 인?튜튼족?켈트족)/3 2개의 유산 문명(튜튼족 민족 이동의 후위대/유산된 극서 그리스도교 문명/유산된 스칸디나비아 문명)/4 그리스도교 사회에 가해진 이슬람의 충격
제3편 문명의 성장
제9장 발육정지문명··214
1 폴리네시아 인?에스키모 및 유목민/2 오스만인/3 스파르타 인/4 일반적 특징(보충설명:언어전달체로서의 바다와 초원 지대)
제10장 문명 성장의 성질··242
1 신뢰할 수 없는 두 가지 기준/2 자기결정을 하는 방향으로의 진보
제11장 성장의 분석··268
1 사회와 개인/2 은퇴와 복귀-개인/성 바울/성 베네딕투스/교황 성 그레고리우스/부처/마호메트/마키아벨리/단테)/3 은퇴와 복귀-창조적 소수자(헬라스 사회의 성장 제2기에 있어서의 아테네/서유럽 사회의 성장 제2기에서의 이탈리아/서유럽 사회의 성장 제3기에서의 영국/서유럽 세계의 역사에서의 러시아의 역할)
제12장 성장에 의한 분화··305
제4편 문명의 쇠퇴
제13장 문제의 성질··309
제14장 결정론적 해답··312
제15장 환경을 지배하는 힘의 상실··322
1 자연적 환경/2 인간적 환경/3 소극적 결론
제16장 자기결정 능력의 감퇴··342
1 모방의 기계성/2 낡은 가죽 부대에 넣은 포도주(적응?혁명?사회악/산업주의가 노예 제도에 미친 영향/민주주의와 산업주의가 전쟁에 끼친 영향/민주주의와 산업주의가 지역 국가에 미친 영향/산업주의가 사유 재산제에 준 영향/민주주의가 교육에 준 영향/이탈리아의 정치 능력이 알프스 너머의 정치 체제에 준 영향/솔론의 혁명이 헬라스 사회의 도시 국가에 준 영향/지역주의가 서유럽 그리스도교회에 준 영향/통일 의식이 종교에 준 영향/종교가 카스트 제도에 끼친 영향/문명이 분업에 끼친 영향/문명이 미메시스(모방)에 끼친 영향)/3 창조성의 네메시스-일시적인 자아의 우상화(역할의 역전/유대인/아테네/이탈리아/남캐롤라이나주/오래된 문제에 대한 새로운 견해)/4 창조성의 인과응보-일시적인 제도의 우상화(헬라스 사회의 도시 국가/동로마 제국/국왕?의회?관료계급/5 창조성의 인과응보-일시적인 기술의 우상화(어류?파충류?포유류/산업에 있어서의 네메시스(인과응보)/전쟁에 있어서의 네메시스)/6 군국주의의 자살성(코로스?휴브리스?아테네/아시리아/샤를마뉴(카를루스 대제)/티무르 랜크/약탈자가 된 변경 태수)/7 승리의 도취(교황제)
제5편 문명의 해체
제17장 해체의 성질··443
1 개관/2 분열과 재생
제18장 사회체의 분열··455
1 지배적 소수자/2 내적 프롤레타리아(헬라스 사회의 원형/미노스 문명의 유물적 증거결여, 히타이트 문명의 부진한 흔적/일본의 내적 프롤레타리아/외래적 세계 국가 속에 있는 내적 프롤레타리아/바빌로니아 사회와 시리아 사회의 내적 프롤레타리아/인도 사회와 중국 사회의 내적 프롤레타리아/수메르 사회의 내적 프롤레타리아의 유산)/3 서유럽 사회의 내적 프롤레타리아/4 외적 프롤레타리아(헬라스 사회의 경우)/5 서유럽 세계의 외적 프롤레타리아/6 외래 자극과 고유자극(시계의 확대/지배적 소수자와 외적 프롤레타리아/내적 프롤레타리아)
제19장 정신의 분열··523
1 서로 대립하는 행동?감정?생활 양식/2 방종과 자제/3 탈락과 순교/4 표류 의식과 죄의식/5 혼효 의식(풍속의 저속과 야만/예술에 있어서의 저속과 야만/혼합어/종교에 있어서의 통합주의/지배자가 나라의 종교를 결정한다?)/6 통일의식/7 복고주의/8 미래주의/9 미래주의의 자기초월/10 초탈과 변모/11 재생
제20장 해체기의 사회와 개인과의 관계··647
1 구세주로서의 창조적 천재/2 칼을 가진 구세주/3 타임머신을 가진 구세주/4 왕의 가면을 쓴 철학자/5 인간으로 화신한 신
제21장 해체의 리듬··666
제22장 해체에 따른 표준화··674
제6편 세계국가
제23장 목적과 수단··679
제24장 불멸의 환영··681
제25장 누구를 위하여··689
1 세계 국가의 전파/2 평화의 심리학/3 황제제의 유용성(교통수단/주둔 부대와 식민지/지방 제도/수도(首都)/공용 언어와 공용 문학/법률 제도/역법?도량형?화폐/상비군/관리제도/시민권)
제7편 세계교회
제26장 세계 교회와 문명의 관계··767
1 교회의 해악/2 과도기의 교회/3 사회의 상위권으로서의 교회(새로운 분류/교회의 과거 의의/감정과 이성의 갈등/교회의 장래 전망)
제27장 교회에 끼친 문명의 역할··806
1 서곡으로서의 문명/2 퇴보로서의 문명
제28장 지상에서 응전에 대한 도전··811
제8편 영웅시대
제29장 비극의 과정··818
1 사회적 장벽/2 압력의 축척/3 대변혁과 그 결과/4 환상과 현실
제9편 문명의 공간적 접촉
제30장 연구 영역의 확장··847
제31장 동시대 문명의 만남··849
1 작업 계획/2 계획에 따른 작업 (ㄱ)근대 서유럽 문명과의 만남(근대 서유럽과 러시아/근대 서유럽과 그리스정교 사회본체/근대 서유럽과 힌두 문명 세계/근대 서유럽과 이슬람 문명 세계/근대 서유럽과 유대인/근대 서유럽과 동아시아 토착 아메리카 문명/근대 서유럽과 동시대 문명과의 만남의 특징) (ㄴ)중세 서유럽 그리스도 문명과의 만남(십자군의 성쇠/중세 서유럽과 시리아 문명 세계/중세 서유럽과 그리스정교 사회) (ㄷ)초대 및 제2대 문명의 만남(알렉산드로스 이후 헬라스 문명과의 만남/알렉산드로스 이전의 헬라스 문명과의 만남/보리와 독보리)
제32장 동시대 문명의 만남의 과정··923
1 만남의 연쇄/2 응전의 다양성
제33장 동시대 문명의 만남의 결과··931
1 실패로 끝난 공격의 여파/2 성공적인 공격의 여파 (ㄱ)사회체에 미치는 영향 (ㄴ)영혼의 응전(인간성의 부족/젤롯주의와 헤롯주의/복음주의/‘아시아’와 ‘유럽’-사실과 공상
제10편 문명의 시간적 접촉
제34장 르네상스 개관··959
1 서론-르네상스의 개념/2 정치적 사상과 제도의 르네상스/3 법률제도/4 철학/5 언어와 문학/6 시각 예술/7 종교적 이상과 제도
제11편 역사에서의 자유와 법칙
제35장 여러 가지 문제··983
1 법칙의 의미/2 근대 서유럽 역사가들의 반법칙주의
제36장 자연 법칙에 대한 인간 생활의 복종··991
1 개관(개인의 사생활/근대 서유럽 사회의 경제 생활/지방국가 간의 세력 다툼-‘세력 균형’/문명의 해체/문명의 성장/운명을 막아낼 갑옷은 없다)/2 역사상 ‘자연 법칙’의 작용 가능성에 대한 해석/3 역사상 자연법칙은 제어될 수 있는가 없는가?
제37장 자연 법칙에 대한 인간성과 반항··1020
제38장 신의 법칙··1027
제12편 서유럽 문명의 전망
제39장 탐구의 필요성··1032
제40장 ‘선험적’ 응답의 불확실성··1037
제41장 문명사의 증언··1042
1 다른 문명의 전례가 있는 경험/2 선례가 없는 경험
제42장 기술?전쟁? 정부··1052
1 제3차 세계대전의 전망/2 미래의 세계 질서
제43장 기술?계급 투쟁?고용··1064
1 문제의 성격/2 기계화와 개인 기업/3 사회적 화합에의 접근 방법/4 사회 정의에 따른 희생/5 이후로도 잘 살까?
제13편 결론
제44장 이 책의 집필동기··1085
엮은이의 노트··1091
토인비의 생애와 사상··1101
연보··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