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의 연구 1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49714561
· 쪽수 : 650쪽
· 출판일 : 2016-06-09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49714561
· 쪽수 : 650쪽
· 출판일 : 2016-06-09
책 소개
동서문화사 세계사상전집 48권. 미국·유럽의 역사가가 품었던, 국가 단위 역사관과 서유럽문명을 중심으로 하는 문명관을 극복하고, 세계사에 21개의 문명권을 설정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다룬다.
목차
[컬러화보]
일러두기
토인비 머리글-A.J. 토인비
엮은이 머리글-D.C. 서머벨
제1편 서론
제1장 역사의 연구 단위 … 19
제2장 문명의 비교 연구 … 31
제3장 사회의 비교 가능성 … 60
제2편 문명의 발생
제4장 문제와 이제까지 해답의 오류 … 75
제5장 도전, 그리고 비전과 응전 … 88
제6장 역경의 효능 … 112
제7장 환경의 도전 … 121
제8장 중용 … 178
제3편 문명의 성장
제9장 성장이 정지된 문명 … 204
제10장 문명 성장의 성격 … 230
제11장 성장의 분석 … 253
제12장 성장에 의한 분화 … 288
제4편 문명의 쇠퇴
제13장 문제의 성격 … 291
제14장 결정론적 해답 … 293
제15장 환경을 지배하는 힘의 상실 … 303
제16장 자기결정 능력의 저하 … 322
제5편 문명의 해체
제17장 해체의 성질 … 417
제18장 사회체의 분열 … 428
제19장 정신의 분열 … 495
제20장 해체기의 사회와 개인과의 관계 … 616
제21장 해체의 리듬 … 633
제22장 해체에 따른 표준화 … 642
일러두기
토인비 머리글-A.J. 토인비
엮은이 머리글-D.C. 서머벨
제1편 서론
제1장 역사의 연구 단위 … 19
제2장 문명의 비교 연구 … 31
제3장 사회의 비교 가능성 … 60
제2편 문명의 발생
제4장 문제와 이제까지 해답의 오류 … 75
제5장 도전, 그리고 비전과 응전 … 88
제6장 역경의 효능 … 112
제7장 환경의 도전 … 121
제8장 중용 … 178
제3편 문명의 성장
제9장 성장이 정지된 문명 … 204
제10장 문명 성장의 성격 … 230
제11장 성장의 분석 … 253
제12장 성장에 의한 분화 … 288
제4편 문명의 쇠퇴
제13장 문제의 성격 … 291
제14장 결정론적 해답 … 293
제15장 환경을 지배하는 힘의 상실 … 303
제16장 자기결정 능력의 저하 … 322
제5편 문명의 해체
제17장 해체의 성질 … 417
제18장 사회체의 분열 … 428
제19장 정신의 분열 … 495
제20장 해체기의 사회와 개인과의 관계 … 616
제21장 해체의 리듬 … 633
제22장 해체에 따른 표준화 … 642
리뷰
책속에서
‘서유럽인의 입장에서 어떤 사람을 가리켜 ‘원주민’이라고 부르면, 우리는 은연중에 문화적인 색채가 없는 사람으로 여기게 된다. 우리는 그들을 우연히 야생 동물이나 그 고장 특유의 일부 동식물로 보게 되지, 우리와 같은 감정을 지닌 인간으로는 보게 되지 않는다. 그들을 ‘원주민’이라고 생각하는 한 그들이 절멸될 것이라는 선입견이 든다. 아니 오늘날로 봐서 더 가능성이 있는 쪽은, 그들을 길들여 진심으로(전적으로 잘못 판단했다고만 할 수도 없다) 인간의 기량을 개량해 주려는 생각이라고 할지는 모르나 조금도 그들을 이해하고 있지는 않은 것이다.
자기중심적 사고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그것은 지극히 자연적인 것으로, 서유럽인들만 이 미망에 사로잡힌 것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유대인은 그들이 어떤 하나의 ‘선민’이 아니라 ‘유일한’ 선민이라는 잘못된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다. 우리가 ‘원주민’이라고 부르는 것을 그들은 ‘이교도’라고 불렀고 그리스인은 ‘야만인’이라고 불렀다.
소수 지배자의 억압하려는 의지가 프롤레타리아트에게 독립하려는 의지를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두 의지의 충돌은 쇠퇴기 문명이 몰락을 향해 걸어가는 내내 계속되지만, 마침내 그 문명이 숨을 거두는 순간 결국 프롤레타리아트는 지난날 그 정신의 근거지였던 그러나 이제는 감옥으로 변한, 그리고 마지막에는 ‘멸망의 도시’가 된 사회로부터 탈출한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