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설원 5

설원 5

유향 (지은이), 임동석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설원 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설원 5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580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위정자를 위한, 고대 제후 선현들의 행적과 일화·우화,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덕과 용인술用人術, 심지어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남을 받들어 모실 때의 태도와 임무, 근본과 절도를 세워 살아가는 방법, 능력 있고 어진이를 찾아 천하를 이롭게 해야 할 이유, 사물을 바로 보고 그에 대처할 줄 아는 지혜를 알려준다.

목차


038설원5권

卷十八 변물편辨物篇
745(18-1) 顔淵問於仲尼 어른으로서의 행동
746(18-2) 易曰仰以觀於天文 우러러 천문에서 살피고
747(18-3) 易曰天垂象 하늘이 형상을 내려 주니
748(18-4) 八荒之內有四海 팔황과 사해
749(18-5) 周幽王二年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
750(18-6) 五嶽者 오악과 삼공
751(18-7) 四瀆者 사독과 제후
752(18-8) 山川何以視子男也? 산천과 작위
753(18-9) 齊景公爲露寢之臺 올빼미 울음소리
754(18-10) 夫水旱俱天下陰陽所爲也 홍수와 가뭄
755(18-11) 齊大旱之時 재앙을 막는 근본
756(18-12) 夫天地有德 남녀의 성징
757(18-13) 度量權衡 도량형
758(18-14) 凡六經帝王之所著 육경과 사령
759(18-15) 成王時有三苗貫桑而生 월상씨가 찾아오다
760(18-16) 周惠王十五年 신이 강림하다
761(18-17) 齊桓公北征孤竹 고죽국 정벌에 나섰을 때
762(18-18) 吳伐越?會稽 방풍씨의 뼈
763(18-19) 仲尼在陳有?集于陳侯之廷而死 숙신씨의 화살
764(18-20) 季桓子穿井得土缶 우물 속의 토기
765(18-21) 楚昭王渡江 상양이 나타나면 큰비가 온다
766(18-22) 鄭簡公使公孫成子來聘於晉 꿈속에 본 귀신
767(18-23) ?公夢在廟 꿈속에 나타난 신의 형상
768(18-24) 晉平公築?祁之室 돌이 사람 말을 하다
769(18-25) 晉平公出? 사냥 중에 만난 호랑이
770(18-26) 趙簡子問於翟封? 하늘에서 피 비가 내리다
771(18-27) 哀公射而中稷 곡신을 쏘아 맞힌 애공
772(18-28) 扁鵲過趙 편작의 의술
773(18-29) 孔子晨立堂上 비통한 울음소리
774(18-30) 景公?於梧丘 다섯 장부의 언덕
775(18-31) 子貢問孔子 죽은 뒤에도 앎이 있습니까
776(18-32) 王子建出守於城父 삼이 옷감 재료인 줄 모른 왕자

卷十九 수문편脩文篇
777(19-1) 天下有道 천하에 도가 있으면
778(19-2) 積恩爲愛 영대
779(19-3) 商者常也 무늬와 바탕의 아름다움
780(19-4) 傳曰觸情從欲 정욕에 따라 방종하게 구는 자
781(19-5) 詩曰左之左之 군자에게는 마땅치 않은 것이 없다
782(19-6) 齊景公登射 번거로운 격식
783(19-7) 書曰五事 치욕을 멀리 할 수 있는 예
784(19-8) 衣服容貌者 의복과 용모
785(19-9) 知天道者 천도를 아는 자
786(19-10) 冠者所以別成人也 어른이 되었음을 알리는 관례
787(19-11) 成王將冠 성왕이 치른 관례
788(19-12) 夏公如齊逆女 친영의 예
789(19-13) 春秋曰壬申公薨于高寢 천자의 침소
790(19-14) 天子以?爲贄 초견례의 예물
791(19-15) 諸侯三年一貢士 제후들의 선비 추천 의무
792(19-16) 古者必有命民 백성을 지도하는 규칙
793(19-17) 天子曰巡狩 순수와 술직
794(19-18) 春秋曰正月公守于郞 사냥에도 제한과 법칙이
795(19-19) 天子諸侯無事則歲三田 한 해에 세 번 사냥
796(19-20) 射者必心平體正 활쏘기의 원리
797(19-21) 生而相與交通 상례에서의 예
798(19-22) 春秋曰庚戌天王崩 장례 날짜가 각기 다른 이유
799(19-23) 延陵季子適齊 연릉계자의 예에 맞는 장례
800(19-24) 子生三年 삼년상의 원리
801(19-25) 子夏三年之喪畢 둘 모두 예에 맞다
802(19-26) 齊宣王謂田過 상례에서 임금과 아버지의 차이
803(19-27) 古者有?者謂之? 친상이 있는 자
804(19-28) 齋者思其居處也 효자로서의 재계
805(19-29) 春祭曰祠 네 계절의 제사
806(19-30) 韓褐子濟於河 각 신분에 따른 산천 제사
807(19-31) 孔子曰無體之禮 정성은 금석에게도 통한다
808(19-32) 公孟子高見?孫子莫 군자의 예
809(19-33) 曾子有疾孟儀往問之 새는 죽을 때 그 소리가 슬프고
810(19-34) 孔子曰可也簡 공자는 왕도에 밝아
811(19-35) 孔子至濟郭門之外 음악에 석 달 고기 맛을 잊고
812(19-36) 黃帝詔伶倫作爲音律 육률과 육려
813(19-37) 聖人作爲?鼓控揭塤? 성인이 만든 음악
814(19-38) 鍾聲? 여러 가지 악기
815(19-39) 樂者聖人之所樂也 음악은 성인이 즐기던 것
816(19-40) 樂之可密者 세밀한 음을 내는 악기
817(19-41) 凡音, 生人心者也 백성의 마음을 움직이는 음악
818(19-42) 凡人之有患禍者 환난과 재앙이라는 것
819(19-43) 凡從外入者 음악은 교화의 근본
820(19-44) 子路鼓瑟有北鄙之聲 나라를 망칠 음악

卷二十 반질편反質篇
821(20-1) 孔子卦得賁 본바탕 자체가 이미 여유가 있으니
822(20-2) 信鬼神者失謀 귀신만 믿는 자
823(20-3) 歷山之田者 본바탕을 교화한 순임금
824(20-4) 詩云尸鳩在桑 정성과 질박함
825(20-5) 衛有五丈夫 기계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826(20-6) 禽滑釐問於墨子 묵자가 주장한 본바탕
827(20-7) 秦始皇旣兼天下 사치로 망한 진시황
828(20-8) 魏文侯問李克 결과만 가지고 독려하는 것은
829(20-9) 秦穆公閑問由余 사치에 맛을 들인 제후들
830(20-10) 經侯往適魏太子 옥보다 귀한 진짜 보물
831(20-11) 晉平公爲馳逐之車 진 평공의 화려한 수레
832(20-12) 魏文侯御?災 보물 창고의 화재
833(20-13) 齊桓公謂管仲 누빈 비단옷과 흰 관
834(20-14) 季文子相魯 재상 아내의 누더기 옷
835(20-15) 趙簡子乘弊車瘦馬 새 수레를 타십시오
836(20-16) 魯築郎? 백성이 피폐해지면
837(20-17) 衛叔孫文子問於王孫夏 검소함이 곧 예
838(20-18) 晉文公合諸侯而盟 뿌리를 자르면서 잎이 화려하기를
839(20-19) 晏子飮景公酒 빈주 사이의 예
840(20-20) 楊王孫病且死 알몸으로 묻어다오
841(20-21) 魯有儉者瓦?煮食 좋은 음식을 보면
842(20-22) 晏子病將死 기둥에 감추어 둔 안자의 유언
843(20-23) 仲尼問老聃 도가 어쩌니 하는 자들
844(20-24) 子貢問子石 시를 배울 틈이 없습니다
845(20-25) 公明宣學於曾子 증자의 제자
846(20-26) 魯人善織? 맨발에 머리를 깎고 사는 월나라 사람

○ 부록
1. ≪설원說苑≫ 일문佚文
2. ≪설원說苑≫ 관련 저록著錄 및 서발序跋

저자소개

유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향(劉向, BC 77∼BC 6)은 본명이 갱생(更生), 자(字)는 자정(子政)으로 패[沛, 지금의 장쑤 성(江蘇省) 페이 현(沛縣)] 사람이다. 서한(西漢) 말엽의 저명한 경학가(經學家)이자 도서목록분류학자이며 문학가다. 그는 한(漢) 고조 유방(劉邦)의 아우인 초(楚) 원왕(元王) 유교(劉交)의 4대 손이고 유흠(劉歆)의 부친으로, 선제(宣帝) 때 산기간대부(散騎諫大夫)에 발탁되었다. 원제(元帝) 때 종정(宗正)이 되었는데, 음양오행술로 정치의 득실을 따지고 환관과 외척들을 탄핵함으로써 두 번이나 하옥되었다. 성제(成帝) 때에는 이름을 향(向)으로 바꾸고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역임했으며 관직을 중루교위(中壘校尉)로 마쳤기 때문에, 후세에는 그를 ‘유광록(劉光祿)’ 또는 ‘유중루(劉中壘)’라고 칭했다. 유향은 전적들을 교감하여 《별록(別錄)》 20권을 찬(撰)했으며, 그 밖의 저작물로는 《상서홍범오행전론(尙書洪範五行傳論)》·《신서(新序)》·《설원(說苑)》·《열녀전(列女傳)》 등이 남아 있고, 이 외에도 분실된 《오경통의(五經通義)》와, 대부분이 분실된 《구탄(九歎)》 등 사부(辭賦) 33편이 있다. 현재 보이는 《유중루집(劉中壘集)》은 명대(明代) 사람이 집록한 것이며, 그가 편찬했다고 하는 문언소설인 《열선전(列仙傳)》은 한위(漢魏) 시대의 방사(方士)가 유향의 이름을 가탁한 것이다.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