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수신기 2

수신기 2

간보 (엮은이), 임동석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0원
0원
12,6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수신기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수신기 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49706955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1-05-01

책 소개

제목의 한자 뜻 그대로 신기한 사물·사건을 모은 지괴志怪소설의 백미로서, 중국문학사는 물론 신화·전설·구비문학을 연구하는 데 최고의 자료이다. 이 책에는 고구려 동명왕의 건국신화는 물론 외계인의 출현에 대해 사실적기록이 있어 오늘날 풍미하는 환타지(판타지) 소설 못지 않은 신비한 내용이 가득하다.

목차

107 수신기2/3

≪搜神記≫ 卷七

179(7-1) 開石文字 개석문자
180(7-2) 西晉服妖 서진의 복장에 대한 요괴
181(7-3) 翟器翟食 이민족의 가구와 음식
182(7-4) ??化鼠 팽기가 쥐가 되다
183(7-5) 太康二龍 태강의 두 마리 용
184(7-6) 兩足虎 두 발 달린 호랑이
185(7-7) 死牛頭語 죽은 소의 머리가 말을 하다
186(7-8) 武庫飛魚 무기고에 날아다니는 물고기
187(7-9) 男女之? 남녀의 신발
188(7-10) ?子? 힐자계라는 두발 모습
189(7-11) 晉世寧舞 진세녕이라는 춤
190(7-12) 太康中好胡服 태강 시대 호족의 복장을 좋아하다
191(7-13) 折楊柳歌 절양류라는 노래
192(7-14) 遼東馬生角 요동의 말에 뿔이 나다
193(7-15) 婦人兵飾 부인들이 병기로써 장식을 꾸미다
194(7-16) 六鐘出涕 여섯 개의 종이 눈물을 흘리다
195(7-17) 一身二體 한 몸에 두 가지 성징
196(7-18) 安?女子化男 안풍의 여자가 남자로 변하다
197(7-19) 臨淄大蛇入洞 임치에 큰 뱀이 굴로 들어가다
198(7-20) 呂縣流血 여현 땅에 피가 흐르다
199(7-21) 霹靂破高?石 벽력이 고매석을 깨뜨리다
200(7-22) 烏杖柱掖 오장이라는 지팡이를 끼고 다니다
201(7-23) 貴游?身 귀족 자제들이 알몸으로 놀다
202(7-24) 浮石登岸 돌이 떠서 언덕으로 올라오다
203(7-25) 賤人入禁庭 천인이 궁중으로 들어오다
204(7-26) 牛能言 소가 말을 하다
205(7-27) 敗?聚道 낡은 신발이 길로 모여들다
206(7-28) 戟鋒有火光 창끝에서 빛이 나다
207(7-29) 婢生怪子 비녀가 괴상한 아이를 낳다
208(7-30) 婢産異物 비녀가 이상한 물건을 낳다
209(7-31) 狗作人言 개가 사람처럼 서서 말을 하다
210(7-32) ?鼠出延陵 언서가 연릉에 나타나다
211(7-33) 茱萸相?而生 수유나무가 서로 얽혀 자라다
212(7-34) ?生人兩頭 돼지가 머리 둘 달린 사람을 낳다
213(7-35) 生箋單衣 생전으로 홑옷을 해 입다
214(7-36) 無顔? 무안갑이라는 모자
215(7-37) 任喬妻生連體女? 임교의 처가 연체 여아를 낳다
216(7-38) 淳于伯?死 순우백의 억울한 죽음
217(7-39) 牛生犢兩頭 소가 낳은 송아지가 머리가 둘
218(7-40) 地震涌水 지진이 일어나 물이 솟다
219(7-41) 牛生怪胎 소가 괴상한 태를 낳다
220(7-42) 馬生駒兩頭 말이 낳은 망아지가 머리가 둘
221(7-43) 太興初女子 태흥 초의 여자
222(7-44) 武昌火災 무창의 화재
223(7-45) 絳囊縛? 붉은 주머니로 머리를 묶다
224(7-46) 儀仗生花 의장에 꽃이 피다
225(7-47) 長柄羽扇 긴 자루의 깃으로 만든 부채
226(7-48) 武昌大蛇入神祠 무창의 큰 뱀이 신사로 들어가다

≪搜神記≫ 卷八

227(8-1) 舜耕歷山 순임금이 역산에서 농사짓다
228(8-2) 商湯禱雨 상탕이 비를 빌다
229(8-3) 呂望釣渭陽 여망이 위수 북쪽에서 낚시를 하다
230(8-4) 武王伐紂 무왕이 주를 치다
231(8-5) 孔子夜夢 공자가 밤에 꿈을 꾸다
232(8-6) 赤虹化黃玉 붉은 무지개가 황옥으로 변하다
233(8-7) 陳寶祠 진보사
234(8-8) 邢史子臣說天道 형사자신이 천도를 설명하다
235(8-9) 星外來客 외계의 별에서 온 아이
236(8-10) 戴洋夢神人 대양이 꿈에 신인을 만나다

≪搜神記≫ 卷九

237(9-1) 應?見神光 응씨 할머니가 신광을 보다
238(9-2) 馮?綬?之蛇 풍곤의 인수 상자 속의 뱀
239(9-3) 張顥得金印 장호가 금 도장을 얻다
240(9-4) 張氏傳鉤 장씨 집에 전해 오는 금구
241(9-5) 何比干得符策 하비간이 부책을 얻다
242(9-6) 魏舒詣野王 위서가 야왕이라는 곳을 찾아가다
243(9-7) 賈誼?鳥賦 가의의 복조부
244(9-8) 狗?鵝群 개가 거위들을 물어 죽이다
245(9-9) 公孫淵數怪 공손연이 괴이한 일을 자주 당하다
246(9-10) 諸葛恪被殺 제갈격이 피살되다
247(9-11) 鄧喜射人頭 등희가 밤에 사람 머리를 쏘다
248(9-12) 府公斥賈充 부공이 가충을 질책하다
249(9-13) 庾亮厠中見怪 유량이 변소에서 괴물을 만나다
250(9-14) 劉寵軍敗 유총의 군대가 패하다

≪搜神記≫ 卷十

251(10-1) 鄧皇后夢登天 등황후가 꿈에 하늘에 오르다
252(10-2) 孕而夢日月入懷 태몽 꿈에 해와 달이 품으로 들어오다
253(10-3) 夢取梁上穗 꿈에 대들보 위의 이삭을 취하다
254(10-4) 張車子 장거자
255(10-5) 夢入蟻穴 꿈에 개미굴에 들어가다
256(10-6) 火浣單衫 불로 세탁하는 단삼
257(10-7) 劉雅腹痛 유아의 복통
258(10-8) 張奐妻之夢 장환 처의 꿈
259(10-9) 靈帝夢桓帝怒 영제의 꿈에 환제가 노하다
260(10-10) 道士夢死期 도사가 죽을 시기를 꿈으로 알다
261(10-11) 謝郭二人同夢 사봉과 곽백유가 똑같은 꿈을 꾸다
262(10-12) 徐泰夢中祈請 서태가 꿈에 숙부를 살려달라고 애원하다

≪搜神記≫ 卷十一

263(11-1) 熊渠子射石 웅거자가 돌을 호랑인 줄 알고 쏘다
264(11-2) 由基更羸善射 양유기와 경리의 활솜씨
265(11-3) 古冶子殺? 고야자가 큰 자라를 죽이다
266(11-4) 三王墓 삼왕묘
267(11-5) 賈雍無頭 가옹의 머리가 없어지다
268(11-6) 斷頭而語 머리를 잘라도 말을 하다
269(11-7) 血化爲碧 피가 파랗게 변하다
270(11-8) 東方朔灌酒消患 동방삭이 술을 부어 원혼을 달래다
271(11-9) 諒輔自焚祈雨 양보가 스스로를 불태워 비를 빌다
272(11-10) 何敞消災 하창이 재앙을 없애다
273(11-11) 蝗蟲避徐? 황충이 서허 땅을 피해가다
274(11-12) 湘江白虎墓 상강의 백호묘
275(11-13) 葛祚去民累 갈조가 백성의 고통을 없애 주다
276(11-14) 曾子孝感萬里 증자의 효성이 만리에 감응하다
277(11-15) 周暢行仁孝 주창이 인효를 실행하다
278(11-16) 王祥剖氷 왕상의 효성에 얼음이 갈라지다
279(11-17) 王延叩凌 왕연이 얼음을 두드리다
280(11-18) 樊?臥氷 번숙이 얼음 위에 눕다
281(11-19) 盛母眼復明 성언의 어머니가 눈을 다시 뜨다
282(11-20) 顔含尋蛇膽 안함이 뱀 쓸개를 찾으러 다니다
283(11-21) 郭巨埋兒得金 곽거가 아이를 묻다가 금을 얻다
284(11-22) 劉殷得粟滅火 유은이 식량도 얻고 불도 꺼주다
285(11-23) 楊伯雍種玉 양백옹이 옥을 심다
286(11-24) 衡農夢虎?足 형농의 꿈에 호랑이가 발을 물다
287(11-25) 羅威爲母溫席 나위가 어머니의 잠자리를 따뜻하게 하다
288(11-26) 王?泣墓 왕부가 어머니 무덤에서 울다
289(11-27) 白鳩郞 백구랑
290(11-28) 東海孝婦 동해의 효부
291(11-29) 叔先雄投水尋父尸 물에 뛰어들어 아버지 시신을 찾아낸 숙선웅

292(11-30) 樂羊子妻 악양자의 처
293(11-31) 庾袞不畏疫 유곤이 역질을 두려워하지 않다
294(11-32) 相思樹 상사수
295(11-33) 飮水有姙 물을 마시고 임신을 하다
296(11-34) 望夫岡 망부강
297(11-35) 鄧元義妻改嫁 등원의의 처가 개가하다
298(11-36) 嚴遵破案 엄준이 살인 사건을 해결하다
299(11-37) 山陽死友傳 산양 땅의 죽은 친구 이야기

≪搜神記≫ 卷十二

300(12-1) 五氣變化論 오기변화에 대한 논의
301(12-2) 穿井獲羊 우물을 파다가 양을 얻다
302(12-3) 掘地得犬 땅을 파다가 개를 얻다
303(12-4) 山精?囊 산의 정령 혜낭
304(12-5) 池陽小人 지양 땅의 소인
305(12-6) 霹靂落地 벽력이 땅에 떨어지다
306(12-7) 落頭民 낙두민
307(12-8) ?人化虎 추인이 호랑이로 변하다
308(12-9) ?國馬化 가국마화
309(12-10) 刀勞鬼 도로귀
310(12-11) 越地冶鳥 월 땅의 야조
311(12-12) 南海鮫人 남해의 교인
312(12-13) 大靑小靑 대청과 소청
313(12-14) 裸身山都 벌거벗고 사는 산도
314(12-15) ?含沙射人 모래를 머금었다가 사람을 쏘는 역
315(12-16) 禁水鬼彈 금수의 귀탄
316(12-17) 張小小 장소소
317(12-18) 趙壽犬蠱 조수 집안의 견고
318(12-19) 廖姓蛇蠱 요씨 집안의 사고

≪搜神記≫ 卷十三

319(13-1) 泰山澧泉 태산의 예천
320(13-2) 河神劈山 하신이 산을 잘라 버리다
321(13-3) ?山四? 곽산에 있는 네 개의 솥
322(13-4) 樊山致雨 번산의 기우제
323(13-5) 孔竇淸泉 공두의 맑은 샘
324(13-6) 湘穴壅水 상혈이 물을 막다
325(13-7) 龜化城 구화성
326(13-8) 城淪爲湖 성이 물에 잠겨 호수가 되다
327(13-9) 馬邑城 마읍성
328(13-10) 天地劫灰 천지 겁년의 재
329(13-11) 丹砂井 단사의 우물
330(13-12) 江東餘腹 강동여복
331(13-13) ?(?+越)■ 팽월
332(13-14) 靑? 청부
333(13-15) ?? 과라
334(13-16) 木? 나무 좀벌레
335(13-17) 刺蝟 고슴도치
336(13-18) 火浣布 화완포
337(13-19) 金燧 금수
338(13-20) 焦尾琴 초미금
339(13-21) 柯亭竹笛 가정의 대나무 피리

≪搜神記≫ 卷十四

340(14-1) 蒙雙氏 몽쌍씨
341(14-2) 盤瓠子孫 반호의 자손
342(14-3) 夫餘王 부여왕
343(14-4) 鵠蒼銜卵 곡창이 알을 물고 오다
344(14-5) 穀烏?子文 누오도 자문
345(14-6) 齊頃公無野 제나라 경공 무야
346(14-7) 羌豪袁? 강족의 호걸 원일
347(14-8) 竇氏蛇 두씨 집안의 뱀
348(14-9) 金龍池 금룡지
349(14-10) 羽衣人 우의인
350(14-11) 馬皮蠶女 말가죽과 잠녀
351(14-12) 嫦娥奔月 항아가 달로 달아나다
352(14-13) 舌?山怪草 설타산의 괴이한 풀
353(14-14) 蘭巖雙鶴 난암의 두 마리 학
354(14-15) 毛衣女 모의녀
355(14-16) 黃母化? 황씨 집 어머니가 큰 자라로 변하다
356(14-17) 宋母化鼈 송씨 집안의 어머니가 자라로 변하다
357(14-18) 宣母化? 선건의 어머니가 큰 자라로 변하다
358(14-19) 老翁作怪 늙은이가 괴이한 일을 저지르다

저자소개

간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동진(東晉)시기의 학자이자 역사가. 젊어서부터 부지런히 배우고 많은 책을 읽어 재기(才氣)로 이름을 떨쳤다. 『진기(晉記)』 『춘추좌자의외전(春秋左子義外傳)』 『수신기(搜神記)』 등을 집필했다. 『수신기』는 육조(六朝)시대 소설의 모범을 보이고, 이후 당송(唐宋) 시대 전기물(傳奇物)의 선구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원본은 사라졌으며, 오늘날 우리가 보는 판본은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내용을 후대에 재편집한 것이다.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