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49947426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8-04-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Ⅰ. 서 론
1. 연구의 방법과 목적
2. 식민지 지주제에 대한 연구 현황
Ⅱ.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식민지 소작제 농업 경영
1. 머리말
2.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식민지 농업경영의 시작
1) 전북지역의 일본인 식민지 지주제의 실태
2)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조선 진출
3.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자본규모와 경영 구조의 분석
1) 자본의 규모와 수입구조
2) 경영진 및 대주주의 분석
4.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소작제 경영실태
1) 토지 취득과 농장의 확대
2) 식민지 소작제 농업경영의 실태
5.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농업이민 사업
1) 농업이민 사업의 시작
2) 이민사업의 실태와 실패
6. 맺음말
[부록 1] 석천현농업주식회사 설립허가서
[부록 2] 석천현농업주식회사 정관
[부록 3] <이주민장려법>
Ⅲ. 식민지 시기 일본인 거대 지주회사의 ‘사음’제 운영
1. 머리말
2. 식민지 시기 사음제와 지주 및 식민권력과의 관계
1) 사음의 임무와 권한 변화
2) 일본인 지주회사의 사음 통제
3) 식민권력의 사음 통제
3. 不二興業株式會社의 사음제 운영 사례
1) 불이흥업 ‘전북농장’의 사음제 운영 실태
2) 불이흥업 소속 사음의 폐해 관련 소작쟁의 사례
4. 기타 일본인 지주회사의 사음제 운영 사례
1) 구마모토 농장의 사례
2) 마스토미농장의 사례
5. 맺음말
[부록 1] 불이흥업주식회사 舍音取締規定 및 心得
[부록 2] 불이흥업주식회사
Ⅳ. 불이흥업주식회사의 식민지 소작제 농장 경영
1. 머리말
2. 불이흥업주식회사의 설립과 농장 확대 과정
1) 후지모토합자회사 및 불이흥업(주)의 설립
2) 전국적 농장분포 현황 및 사업의 확대
3. 농업생산과정에서의 규제 실태
1) 농업경영에 대한 규제
2) 소작료 징수 실태와 전대에 의한 소작인 지배
4. 농장관리통제조직 및 지주적 조합의 운영
1) 관리통제조직의 구성과 소작농민 통제
2) 불이식산조합의 운영
5. 농민의 저항과 불이흥업의 농장 경영의 성격
1) 철원농장 소작농민의 저항 사례
2) 불이흥업의 농장 경영의 성격
6. 맺음말
[부록 1] 불이흥업주식회사 소작계약증서
[부록 2] 불이흥업주식회사
Ⅴ. 구마모토 농장의 식민지 농장 경영과 관리통제조직
1. 머리말
2. 구마모토의 식민지 농장 경영의 시작
1) 구마모토의 조선 진출과 농장의 설립
2) 농장의 확대와 규모
3. 농장 관리조직의 구성과 성격
1) 농장 사업부 관리조직의 구성
2) 농장 사원의 업무와 처우
4. 농장 운영의 실태와 소작관계
1) 소작계약증서 및 연대보증서에 나타난 소작관계
2) 소작료 징수 실태
5. 식민지 지주제 농장 경영의 성격
1) 소작쟁의의 발생과 경과
2) 식민지 일본인 거대지주의 전형-‘구마모토 형 지주
6. 맺음말
[부록 1] 주식회사 熊本ß농장 정관
[부록 2] 주식회사 熊本농장 소작승낙증서 및 소작계약증서
[부록 3] 주식회사 熊本¸농장 연대보증서
Ⅵ.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농장관리조직과 특수어용단체 운영
1. 머리말
2. 동척 설립과 농장 설치 과정
1) 일본의 농업식민책과 동척의 설립
2) 동척의 토지소유 규모와 농장 분포 상황
3. 동척의 농장관리통제조직의 변화과정
1) 식민지 소작제 농업 경영 초기의 ‘농감’제
2) 1920년대 이후 농장관리조직의 체계화
4. 1920년대 동척의 특수어용단체 운영과 폐해
1) 지주적 소작인조합의 운영 실태
2) 특수어용단체 ‘척식청년단’의 설치와 폐해
3) 북률면 소작쟁의의 전개와 실패
5. 맺음말
Ⅶ. 이노마다 쇼이치(猪又正一)의 회고록을 통해 본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농장 운영
1. 머리말
2. 이노마다 쇼이치의 조선 부임
1) 이노마다의 ?나의 동척 회고록?
2) 동척 사원 이노마다의 조선 부임
3. 이노마다를 통해 본 동척 사원의 주요 업무
1) 소작계약의 체결
2) 검견?수납 및 농사개량 지도
4. 이노마다가 설계한 사유지증산계획
1) 사유지증산계획의 수립 계획
2) 사유지증산계획의 전개
5. 이노마다를 통해 본 동척의 영업이익과 사원처우
1) 동척의 농업 부문 영업이익
2) 동척 사원의 처우
6. 맺음말
Ⅷ. 결 론
1. 본 연구의 내용과 성과
2. 식민지 지주제의 성격과 본질
1) 식민권력과 식민지 지주제의 개념
2) 식민지 지주제의 본질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