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49947877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8-1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 론
1. 근현대전환기 토지문제의 본질
2. 장기변동의 두 전환점
3. 연구 상황과 석장둔(石場屯) 사례
제1부 간척지 석장둔의 소유권과 수조권
제1장 석장둔 소재지의 지역적 배경
1. 행정구역의 변천과 마을의 형성
2. 강희맹(姜希孟)의 사적(事蹟)과 농업환경
3. 안산지역 간척의 양상
제2장 조선후기 석장둔의 탄생과 토지소유권
1. 석장둔의 간척과 토지소유권
2. 석장둔양안의 토지정보와 소유분포
제3장 석장둔의 소유권과 수조권
1. 소유권 매매의 활성화
2. 석장둔의 수취실태
3. 석장둔 수조권의 확장과 이동
제4장 갑오개혁 이후 정부의 둔토조사와 석장둔
1. 정부의 둔토조사와 석장둔의 수조권
2. 안산군 광무양안과 석장둔의 소유권
제5장 일제의 토지조사와 석장둔
1. 통감부의 국유지조사와 석장둔
2. 일제의 민유지조사와 석장둔의 소유권
제2부 석장둔 지역의 식민지지주제와 농지개혁
제6장 석장둔 지역의 토지소유와 식민지지주제
1. 석장둔민의 토지소유와 그 특징
2. 석장둔 지역의 토지소유와 지주제
3. 석장둔 수리조합 몽리구역의 토지소유
제7장 신안 주씨 지주가의 토지소유 사례
1. 토지소유의 확장과 지세부담
2. 토지의 매입방식과 상속
제8장 농지개혁과 석장둔 지역 토지소유의 변동
1. 시흥군 수암면 농지개혁의 진행과정
2. 농지개혁 전후 석장둔 지역의 토지소유 변동
3. 신안 주씨 지주가에서 경험한 농지개혁
제9장 북한 점령하의 석장둔 지역 토지개혁
1. 북한 점령하의 토지개혁
2. 석장둔 지역 부근에서의 토지개혁
제10장 석장둔 지역의 수리조합과 토지소유
1. 해방 전후 수리조합의 재편과 운영
2. 수리관개의 확장과 토지소유
3. 간척사업의 지속
결 론
참고문헌
日文要約
Abstract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