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88949948270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9-08-27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1장 초기국가(初期國家)와 신라사
1. 사로국의 통치조직과 신라 - 신라의 前史
1) 머리말
2) 사로국 관계기사의 검토
3) 사로국의 통치조직
4) 통치조직의 변화양상
5) 맺음말
2. 조문국의 친족집단과 신라
1) 머리말
2) 雲帽公主 관계기사의 검토
3) 조문국의 친족집단과 그 추이
4) 맺음말
3. 신라의 영토확장과 우산국
1) 머리말
2) 이사부 관련자료의 검토
3) 신라의 영토확장과정과 우산국
4) 맺음말
4. 탐라국 관계기사와 신라
1) 머리말
2) 문무왕 2년 탐라국주 내항 기사
3) 유인궤전 탐라 태산 봉선 기사
4) 맺음말
2장 금석문(金石文)과 신라사
1. 신라 상대 금석문의 발견과 신라사의 복원
1) 머리말
2) 상대 금석문의 발견과 주요 내용
3) 6세기 신라사의 복원과 敎의 실체
4) 맺음말
2. 포항중성리신라비와 신라의 관등제
1) 머리말
2) 비문의 문단 구성과 해석
3) 관등의 내용 분석
4) 관등을 통해서 본 비문의 성격
5) 맺음말
3. 포항중성리신라비와 신라 6부의 실체
1) 머리말
2) 중성비에 보이는 ‘喙部’의 의미
3) 중성비에 보이는 6부의 성격
4) 맺음말
4. 신라 지증왕의 왕명(王名)과 유불의 습합
1) 머리말
2) 지증왕의 王名 관련 자료 검토
3) 지증왕대의 사회변화와 그 양상
4) 지증왕대 전후 王名의 추이와 성격
5) 맺음말
3장 사서(史書)와 신라사
1. 신라의『國史』편찬과 역사인식
1) 머리말
2)『국사』의 편찬과정
3)『삼국사기』에 보이는『국사』의 遺痕
4)『국사』의 성격
5) 맺음말
2.『삼국사기』직관지 미상조(未詳條)와 역사인식
1) 머리말
2) 미상조 관련 자료의 검토
3) 미상조 내용의 출처와 분석
4) 직관지 미상조 편찬자의 역사인식
5) 맺음말
3.『삼국사기』구두본[句讀本]의 간행과 역사인식
1) 머리말
2) 조선고서간행회의 規則과 임원[役員]
3)『삼국사기』구두본[句讀本]의 간행과 例言
4)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본『삼국사기』의 성격
5) 맺음말
4.『삼국유사』의 ‘師’와 역사인식
1) 머리말
2)『삼국유사』의 ‘師’ 용례 분석
3) 일연의 승려 인식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