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5090063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05-11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명가(재계편)』(2022) 서문
『한국의 명가(근대편1, 근대편2, 현대편)』(2013) 서문
『한국의 명가』(1976) 서문
01 【동화약품】 노천 민병호 · 민강 부자, 보당 윤창식 — 활명수로 독립운동한 선구자들
02 【두산그룹】 매헌 박승직, 연강 박두병 — 보부상의 정신을 잇다
03 【동아일보】 인촌 김성수, 【삼양그룹】 수당 김연수 — 민족을 일깨운 구국 선각자 형제
04 【GS그룹】 효주 허만정 — ‘원조 벤처캐피털’의 자식 투자법
05 【코오롱그룹】 오운 이원만 — 나일론으로 여성을 해방시키다
06 【LG그룹】 연암 구인회, 상남 구자경 — 대를 이은 기업 대혁신
07 【대한중외제약】 성천 이기석 — 창업자의 생명 중시 철학이 남긴 것
08 【DI동일그룹】 정헌 서정익 — 한국 첫 화섬 엔지니어
09 【삼성】 호암 이병철, 이건희 — 반도체 신화의 주인공, 뚝심의 순간들
10 【부방그룹】 묵민 이원갑 — 한국 섬유 산업의 역사를 쓰다
11 【벽산그룹】 벽산 김인득 — ‘영화광’이 굴지의 기업을 일구기까지
12 【세아그룹】 해암 이종덕 — 견습공이 한국 강관 선구자 되기까지
13 【현대그룹】 아산 정주영 — ‘부유한 노동자’가 이룬 대역사들
14 【OCI그룹】 송암 이회림 — ‘마지막 송상’이 남긴 것
15 【대림산업】 수암 이재준 —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대물림
16 【교보생명그룹】 대산 신용호 — 최초의 교육보험으로 실현된 독서광의 꿈
17 【롯데그룹】 상전 신격호 —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은 문학청년
18 【한화그룹】 현암 김종희 — 퇴학당한 후 화약으로 산업보국 이루다
19 【아모레퍼시픽】 장원 서성환 — 창업주의 지독한 화장품 사랑
20 【SK그룹】 최종건 · 최종현 — 형제 경영의 전통을 쌓다
21 【포스코그룹】 청암 박태준 — 주식 단 한 주도 안 가진 창립자
22 【한진그룹】 정석 조중훈 — 트럭 한 대로 시작해 육·해·공을 접수
23 【대우그룹】 주산 김우중 — 세계 곳곳에 남은 그의 분신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886년 무렵 강원도 산길에 다닐 때 두 달 동안 오직 감자만 먹으며, 상도의 기본인 근검절약 정신을 골수 깊이 체득하기도 한다. 세계로 뻗어가는 중공업 기업 그룹으로 뿌리를 내린 두산의 밑바탕은 매헌이 다진 바로 이 보부상 정신이다. 보부상은 전국을 발로 뛰며 조선 시대 경제활동을 촉진했던 봇짐장수와 등짐장수를 말한다. 그들은 윤리 경영을 강조하며 시장의 상도의를 수호했고, 나라가 어지러워지면 유통망을 국민 구호의 그물망으로 활용한 민간 사회복지 기구 역할도 했다. 행상으로 다져진 매헌의 근검절약 정신은 밥상머리 교육으로 면면히 집안에 이어 내려오고 있다.
【두산그룹】 매헌 박승직, 연강 박두병 - 보부상의 정신을 잇다
1940년 구인회상점을 주식회사 구인상회로 발전시킨 연암은 1942년 여름, 변장을 하고 찾아온 거물급 독립운동가 백산(白山) 안희제를 맞아 1만 원이라는 거액의 독립운동 자금을 내어 임시정부에 전달토록 한다. 연암의 부친 춘강 공이 1930년경 독립운동가 구여순을 통해 5,000원을 김구 선생에게 기탁한 사실을 떠올리며 풍비박산, 패가망신의 위험을 무릅쓰는 용기를 낸 것이다. 광복 후 연암은 사업지를 부산으로 옮겨 조선흥업사를 설립했는데 이 회사가 미 군정청이 승인한 무역 허가 제1호 업체였다. 이즈음 고향 승산마을에서 만석꾼 허만정이 일본 유학에서 귀국한 아들 허준구(許準九)를 데리고 연암을 찾았다. “사돈의 역량을 익히 알고 찾아온 것이니 내 아들 준구를 밑에 두고 사람을 만들어주소. 나도 사돈 사업에 출자 좀 할 생각이오.” 이것이 인화(人和) 문화로 꽃피운 구·허가(家) 동업의 시발점이었다.
【GS그룹】 효주 허만정 - ‘원조 벤처캐피털’의 자식 투자법
1983년 호암이 도쿄에서 만난 수많은 반도체 전문가와 사업가들 대부분은 반도체 사업에서 지금 손을 떼지 않으면 후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당시 반도체는 생산 원가에도 못 미치는 선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재고품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임원들이 위험한 선택이라고 반대할 때마다 호암은 강하게 말했다. “사업에는 항상 위험이 따릅니다. 그 위험을 이겨내야만 삼성의 미래가 열립니다.” 호암은 반도체 사업 육성을 통해 국민 기업으로서 틀을 다지고, 세계적 기업의 위상을 확립한다.
【삼성】 호암 이병철, 이건희 - 반도체 신화의 주인공, 뚝심의 순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