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50918903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09-06-05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 _ 이동현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
발간 30주년 기념 서문 _ 케네스 앤드루스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
저자 서문
1부. 협력 시스템에 관한 예비적 고찰
1장. 서론
2장. 개인과 조직
개인의 지위와 사람의 특성 | 이 책에서 개인과 사람을 다루는 방식 | 협력 조직 외부에서의 개인들의 행동 양식 특성 | 개인행동에서의 효과성과 효율성의 의미
3장. 협력 시스템의 물리적·생물적 한계
언제 혹은 왜 협력이 효과적인가 | 협력의 목적은 무엇인가 | 협력의 한계는 무엇인가 | 협력 시스템의 불안 요인과 협력 시스템이 목적에 주는 효과는 무엇인가
4장. 협력 시스템의 심리적·사회적 요소
개인의 선택 능력과 조절 | 협력 시스템의 사회적 요소
5장. 협력 행위의 원칙
협력 시스템의 네 가지 예 | 협력 시스템의 적용과 관련된 네 가지 주제
2부. 공식 조직의 이론과 구조
6장. 공식 조직의 정의
정의의 발전 | 추상적인 시스템으로서의 공식 조직
7장. 공식 조직 이론
조직의 요소 | 협력의 효과와 조직 효율성
8장. 복잡한 공식 조직의 구조
완전하면서도 불완전하고, 부수적이고, 의존적인 조직들 | 조직의 기원과 성장 | 경영조직
9장. 비공식 조직
비공식 조직이란 무엇인가 | 비공식 조직의 결과 | 공식 조직에 의한 비공식 조직의 탄생 | 공식 조직 내에서 비공식 조직의 기능
3부. 공식 조직의 구성 요소
10장. 전문화의 토대와 유형
전문화의 토대 | 전문화의 유형과 목적의 세분화
11장. 인센티브 경제
두 가지 인센티브의 제공 과정 | 세 가지 조직의 관점에서 본 인센티브 경제
12장. 권한이론
권한은 어디에서 오는가 | 조정 시스템 | 법률적 개념과의 조화
13장. 결정 환경
결정 기회 | 결정 증거 | 환경의 본질
14장. 기회이론
목적 설정 과정 | 전략 요소 | 구체적인 세부 목적과 하부 결정의 필요성 | 현재의 목적 결정을 위한 전략 요소의 파악
4부. 협력 시스템에서 조직의 기능
15장. 경영 기능
조직의 의사소통 유지 | 개인들로부터 필수적인 서비스 확보하기 | 목적과 목표의 설정
16장. 경영 과정
경영 과정의 통합과 균형 | 협력 시스템의 지속과 경영 과정의 창조성
17장. 경영책임의 본질
윤리성과 책임감의 의미 | 윤리 코드들의 대립과 책임감 | 경영 지위에 요구되는 것들 | 경영책임의 창조적 기능 | 경영책임의 윤리와 리더십
18장. 결론
16가지 결론 | 협력 시스템과 조직 문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학문을 기대하며
부록_일상생활에서의 정신
주석
책속에서
“공식 조직의 불안정성과 짧은 수명은 대개 외부의 동력에서 비롯된다. 이런 동력은 조직의 재료가 되기도 하고, 조직의 행위를 제한하기도 한다. 조직의 생존은 물리적·생물적·사회적 재료와 구성 요소와 동력으로 이루어진 변화무쌍한 환경에서 복잡한 특성의 평형을 유지하는 데 달려 있다. 평형이 유지되려면 외부 조건의 본질을 고려하고 조절해야 하며, 우리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 47쪽 중에서
“협력과 조직은 현실, 사고, 감정의 구체적인 통합체다. 대립되는 동력들의 구체적인 움직임에서 통합을 수용하고, 서로 모순되는 동력, 본능, 이해, 조건, 견해, 아이디어를 조화시키는 것이 바로 경영자의 기능이다.” - 62쪽 중에서
“협력의 지속 여부는 효과성과 효율성에 달려 있다. 효과성은 공동 목적의 달성과 관련되는데, 이 공동 목적은 사회적이고 비개인적인 성격을 갖는다. 효율성은 개인의 동기를 만족시키는 것과 관련되고, 개인적인 성격을 갖는다. 효과성은 일반 목적의 달성으로 평가되고 측정되는 반면, 효율성은 개인들로부터 얼마나 충분한 협력 의지를 끌어내는가에 달려 있다.” - 97~98쪽 중에서
“조직 결정의 책임은 한 사람에게 확실하고 분명하게 부여되어야 한다. 현실과 조직의 목적을 잘 알아야 조직의 의사소통과 결합해서 적절한 결정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직의 포괄적·중심적 결정은 조직의 의사소통 중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런 결정은 중심적인 직위를 맡고 있는 사람들에게 주어져야 한다. 이런 직위에 있는 사람들이 바로 경영자들이다. 조직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의사소통의 필요성 때문에 경영자들은 조직 결정의 책임을 갖게 된다. 간단하게 말하면, 경영자의 주요 역할은 전문적으로 조직의 의사를 결정하는 것이다.” - 205~206쪽 중에서
“조직의 지속은 리더십의 수준에 달려 있고, 이 수준은 리더십의 윤리성에서 나온다. 가장 수준이 낮고 비윤리적인 조직도 높은 책임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그 책임과 관련된 윤리가 낮으면, 그 조직은 오래가지 못한다. 윤리 수준이 낮은 리더십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빨리 영향력을 잃으며, 계승되지도 못한다.” - 291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