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50919009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09-06-05
책 소개
목차
추천사_초월적 인식, 혹은 초능력은 존재하는가?
1장 잃어버린 하프를 찾아서
마음과 물질의 소통 초심리학으로의 초대
2장 초능력을 세상 속으로 끌어들이다
초능력을 경험한 사람들 텔레파시와 예지몽 침묵을 깨고 세상 속으로
3장 왜 여자의 육감은 잘 맞는 걸까?
일상 속의 육감 그들이 육감을 부인하는 이유 육감 이해하기
4장 우리는 우리가 안다는 것을 모른다
모르는 것을 아는 사람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사람들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의 경계
5장 뇌과학이 말하는 초월적 인식
잊혀진 경험의 기억 있는 그대로 보기 뇌와 몰입의 비밀
6장 초월적 인식 연구의 이상한 역사
화려한 시작 몰락 새로운 전기 과학과 대화하다 여전히 존재하는 조롱
7장 왜 사람들은 초능력을 믿지 않는 걸까?
두려움이 초능력을 부정한다 CIA의 원격 투시 연구 SRI의 천리안 실험 반론1 데이터 선택의 오류
반론2 왜곡의 오류 그들의 증언 한계를 뛰어넘는 법
8장 ‘밤의 눈’으로 ‘낮의 해’를 보라
새로운 인식의 틀 역설과 화해하는 법
9장 뇌 과학이 말하는 초능력
초월적 인지 연구의 위험한 도전 위험한 도전의 위대한 발견 신앙 치유의 가능성
초감각적 인식의 자기검열 기공 치유의 가능성 자연의 위대한 법칙
10장 초심리학을 깨운 위대한 실험들
프로이트 - 꿈으로 떠나는 무의식의 여행 몬태규 울만 - 꿈이 나에게 보내는 텔레파시
간츠펠트 - 초능력 검증을 위한 실험의 설계 간츠펠트 실험의 발전 마음의 분리 - 간츠펠트 실험의 의미
미지의 세계로 발을 내딛다
11장 초자연현상은 과학적이다?
다시 프로이트의 무의식 속으로 초감각적 세계로의 초대 초월적 인식 연구의 수치화
동조 - 사람과 사람의 마음이 통하는 방식
12장 현대물리학, 초심리학에 주목하다
현대물리학의 도전 ‘의식의 역학’ 대 ‘무의식의 역학’ 양자역학과 심리학의 만남 초심리학, 심리학의 미래
저자 후기_다시 출발선에 서서
주
리뷰
책속에서
ESP의 증거에 대해 한 사람이 취할 수 있는 입장은 세 가지 정도다. 첫째, 정통 과학자의 입장에서는 ESP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둘째, ESP를 정말 믿는 사람들은 ESP는 실재하며 과학적인 방법으로 입증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나의 개인적인 입장처럼 각종 일화에서 보여주듯이 ESP는 실재하지만 과학이라는 도구로는 입증될 수 없다고 보는 것이다. 이 입장은 과학의 적절한 범위에 대해서는 견해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의 동료 과학자들 대다수가 그렇듯이 과학의 범위는 제한이 없다고 믿는다면 과학은 우주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고, ESP는 존재하지 않거나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나처럼 ESP는 존재하지만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없다고 믿는다면 과학의 범위는 제한적인 것이라고 믿어야 한다. 이는 ESP가 실재하지만, 너무 포착하기 힘들어 통제된 과학적 검증 절차로 잡아낼 수 없는 마음의 세계에 속한다는 잠정적인 가설을 제시한다. 나는 이 가설이 진실이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이 가설이 증거와 일치하고 고려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주장할 뿐이다._ 6p 초월적 인지, 혹은 초능력은 존재하는가?
프로이트는 꿈에 무의식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문제에 직면하자 세상과 맞서기로 했다. 하지만 베그너는 신중하게 싸움을 걸었다. 개인적으로 그는 꿈이 억압된 성욕과 공격적 본능에 이르는 왕도라고 믿었다. 그는 또한 꿈이 텔레파시(두 마음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기반이라고 보았다. 베그너는“잠이 텔레파시를 일으킬 수 있는 적합한 상태를 조성한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꿈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인정받는 데만도 충분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꿈이 텔레파시의 기반이라고 주장하면 감당하기 힘든 상황을 맞게 되리라고 그는 확신했다. 그래서 그 사실을 강하게 주장하지 않았다._p243, 초심리학을 깨운 위대한 실험들
반면에 우리가 어떻게 알아낼 방도가 없는 일에 대해 정확하게 묘사한 꿈을 꾸면 놀라게 된다. 나는 내 남동생이 지구 반대편에서 자동차 사고를 당한 꿈을 꾸었다. 내가 우선적으로 취할 조치는 이건 꿈일 뿐이라고 꿈을 무시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런데 그 내용에서 아주 정교하고, 정확하다 못해 명료하다면 그 꿈은 나의 뇌리를 떠나지 않을 것이다. 무슨 일이 일어났을 것 같은 느낌이 사람을 괴롭힐 것이다. 나중에 알아보니 동생이 진짜로 인도의 바라나시에서 길을 건너다가 자동차 사고로 쓰려졌다. 그런데 런던에 있어야 할 동생이 인도에서 자동차에 부딪치는 이미지를 내가 어떻게 꿈꾸게 되었을까?8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게 해주는 무의식의 연상망을 내가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_p279, 초자연현상은 과학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