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포브스 100대 기업] > 토요타
· ISBN : 9788950930516
· 쪽수 : 195쪽
· 출판일 : 2011-04-13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_ 한국 기업의 눈부신 성장 비결은 무엇인가
프롤로그 _ 메이드 인 코리아 열풍
Part1 도요타에게 남겨진 과제, 변화!
1. 왕좌를 차지한 도요타, 가시밭길에 들어서다
2. 섬세함 혹은 연약함
3. 무리한 사업확장의 후유증
4. 일본인이 없는 도요타 생산 방식
5. 과도한 완벽주의에 도취되다
Part2 비상하는 현대자동차의 강점과 전략
1. 해외 진출, 힘차게 액셀을 밟다
2. 한국 자동차 시장의 최고점을 찍다
3. 현대, 기술력의 차이를 좁히다
4. 최강의 하청 부품 기업, 현대모비스
Part3 낱낱이 파헤쳐본 현대 vs 도요타
1. 제조에서 마케팅까지
2. 도요타의 친환경 자동차 기술력
3. 서양 시장을 둘러싼 경쟁
4. 신흥 시장을 둘러싼 경쟁
5. 정의선과 도요타 아키오
에필로그 _ 신흥 시장을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
맺음말 _ 세계로 뻗어나가는 현대자동차의 경쟁력
주석
리뷰
책속에서
실제로 현대자동차의 눈부신 발전은 주목할 만하다. 1967년에 설립돼 이제 43년 된 이 기업은, 1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강호들이 줄지어 선 이 업계에서 비교적 신참에 속한다. 이 점은 도요타와 비교해보면 일목요연하다. 도요타는 1936년에 설립됐으며, 현대자동차가 설립된 67년에는 이미 연간 생산 대수가 83만 대를 기록했고 북미를 중심으로 약 16만 대를 수출하고 있었다. 두 회사의 역사는 이처럼 뚜렷이 차이가 난다.
도요타의 품질이 10년 전에 비해 확연히 떨어졌으며 현대자동차 등 한국 기업이 도요타의 품질 수준을 거의 따라잡고 있다는 기사가 함께 실렸다. 그런데 이 리콜 사태의 경위를 살펴보면 이는 이미 1년 전 8월에 시작되고 있었다(그림 20).
2009년 8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렉서스가 폭주해 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에 대해 도요타 측은 구체적인 개선책 없이 늑장 대응을 했다. 2월 3일이 돼서야 비로소 품질보증 담당자 사사키 신이치 부사장이 사죄 기자회견을 열었다. 너무 뒤늦은 대처였다.
도요타의 대응이 늦어지는 사이 사태는 급속히 악화됐다.
현대자동차가 품질 개선을 위해 10년 동안 걸어온 길을 간단히 돌이켜보자. 가장 먼저 정몽구 회장의 지도력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그는 설계, 생산, 영업, A/S 등 제각각이었던 품질 부서를 통합해 품질 본부를 신설하고 달마다 품질, 연구 개발, 생산 담당 임원을 소집해 품질 관련 회의를 열었다.28) 실행 책임자인 임원은 회장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좌천은 물론이거니와 때로는 해고를 당하기도 했다. 한국 국내에서도 남성적인 군대식 사풍으로 잘 알려진 현대는 목표 달성 의식이 매우 강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