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근현대사
· ISBN : 9788950955946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4-08-25
책 소개
목차
천사: 역사의 삭은 과일에서 희망의 술을 뜨자
1. 문화대혁명 : 마오쩌둥의 극좌노선이 낳은 현대중국의 비극
한 편의 글이 폭풍을 몰고 오다 / 사령부를 포격하라- 나의 대자보 / 문화대혁명의 진정한 의도 / 마오쩌둥 사상과 중국식 사회주의 / 중소 논쟁과 개인 우상화 / 반대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 탈권 투쟁과 천하 대란의 시대 / 린뱌오 사건과 비림비공 운동 / 혁명 열사능 앞의 헌사 / 마오쩌둥 노선의 종언과 새로운 전환
2. 이란 혁명 : 이란의 역사와 문화에서 탄생한 이슬람 혁명
매우 특별한 이란의 이슬람 혁명 / 친미 팔레비 왕조의 공포 정치 / 백색 혁명과 종속적 발전 전략의 문제점 / 이슬람의 반샤 투쟁과 호메이니의 부상 / 호메이니의 이슬람 혁명 사상 / 혁명의 불길이 타오르다 / 이슬람 공화국 정부가 세워지다 / 이란 혁명, 그 빛과 그림자
3. 1989년 동유럽 혁명 :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는 없었다
사회주의가 무너져 내리다 / 기존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혁명 /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다 / 독일, 다시 통일되다 / 고르바초프의 ‘신사고’가 몰고 온 폭풍 / 혁명보다도 더 어려운 개혁 /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는 없었다 / 현실사회주의를 무너뜨린 것은? /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는 가능한가?
4. 중국식 자본주의 : 21세기 슈퍼파워를 향한 대장정의 첫걸음
21세기 슈퍼차이나의 등장 / 중국, 개혁과 개방을 선택하다 / 개혁의 위기와 민주화 운동의 좌절 /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승부수 / 거대 중국의 부활, 그 빛과 그림자
5. 한국 외환위기와 IMF 구제금융 : 국경 없는 카지노 자본주의의 덫
한국, IMF 구제 금융을 받다 / 위기가 계속되다 / 위기는 어디서 왔나? / 세계화 시대의 카지노 자본주의 / 통화 위기가 전염되다 / 위기의 태풍이 한국을 덮치다 / IMF의 잘못된 처방의 대가 / 한국경제의 근본적인 구조 변화
6. 팔레스타인 봉기 : 비극의 땅에 평화는 언제 찾아올 것인가?
“믿지 못할 정도로 끔찍하다” / 시온주의에서 모든 것이 출발하다 / 자기 땅에서 추방당한 사람들 / 중동 전쟁과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 끝이 보이지 않는 평화 / 팔레스타인의 독립 국가 선언 / 새로운 이정표, 그러나 머나먼 평화 / 제2차 인티파다, 그리고 피의 악순환
7. 미국-이라크 전쟁 : 단일패권을 위해 시작했으나 수렁에 빠진 전쟁
미국의 공격으로 전쟁이 시작되다 / ‘충격과 공포’ 작전과 모래 폭풍 / 바그다드 점령과 종전 선언 / 후세인, 미국이 던진 미끼를 물다 / 역사를 바꿔놓은 9· 11 테러 사건 / 이라크 전쟁의 수렁에 빠진 미국 / 미국 네오콘의 세계 지배 음모 / 이라크의 석유 장악이 진짜 이유 / 희망과 절망을 동시에 본 전쟁
현대편 참고 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1958년을 고비로 중국 공산당 안에서 민주 집중제가 사라지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마오쩌둥은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정치국 회의에서 토론된 다수 의견조차도 무시하는 일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모든 것은 그가 인정해야 비로소 효력을 가질 수 있도록 바뀌어갔다. 마오쩌둥과 정치국 사이에는 상하관계가 형성되었다. 그는 주더,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등 최고 지도자들도 이유 없이 비판했다. 중앙 지도자들도 모두 자기 의견을 개진하기보다 마오쩌둥의 눈치를 보아야 하는 상황으로 바뀌어갔다. 마오쩌둥과 다른 의견을 놓고 토론을 벌이거나 논쟁을 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았다. 다른 지도자들은 마오쩌둥과 의견이 다를 경우 무조건 자기비판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 연출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고르바초프가 의도했던 개혁 방향은 소련 사회를 음침한 공산주의의 그늘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것이었다. 그는 사회주의를 포기하고 자본주의로 나아가겠다는 생각은 아니었다. 그는 민주주의를 말했지만 ‘서구의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와는 다른, 공동체의 가치를 지향하는 사회주의적 민주주의’를 생각했다. 그는 다만 정치적 반대파에 대한 무자비한 숙청과 인민에 대한 정치적 억압, 관료적 통제와 중앙의 일방적 지령에 따라 움직이는 경제, 대중은 배제된 채 밀실에서 소수 간부에 의해 이뤄지는 의사 결정 등 비민주적인 공산당 일당 독재체제를 개혁하고자 했다. 그리고 고르바초프는 일상화된 부패와 직권 남용, 직장의 무단이탈과 규율 부족, 사회에 만연된 알코올 중독 등 소련 사회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들도 동시에 해결하고자 했다.
이스라엘군과 팔레스타인인들의 싸움은 골리앗과 다윗의 싸움이었다. 최신 무기로 무장한 이스라엘군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무기는 고작해야 돌과 몽둥이와 화염병, 새총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봉기는 결코 쉽게 꺾이지 않았다. 길모퉁이에서 10대 소년들이 모여 시위를 조직했고, 난민촌 사람들 대부분이 시위에 참가했다. 그동안 실업과 빈곤, 억압이 난민촌을 짓누르고 있었고,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좌절과 고통 속에서 분노를 삭이며 살아야 했다. 마침내 20년 동안 계속된 이스라엘의 점령에 대한 분노가 집단적 저항으로 폭발한 것이다. 시위자들의 가슴속에는 분노와 희망이 뒤섞여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