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5669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4-11-20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산업 주도권 이동과 추격 사이클 이론 | 이근, 기지훈
들어가며
추격 사이클 이론
결론
2장. 휴대폰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 강승원, 이걸희, 임동진
들어가며
휴대폰 산업의 특징
모토로라에서 노키아로의 주도권 이전
한국의 휴대폰 산업 진입
스마트폰 시대의 도래: 애플과 삼성의 양강체제
결론
3장. 게임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 신동오
들어가며
주도권 변화의 전개 과정: 미국-일본-한국
주요 기업별 경쟁 전략
결론
4장. 휴대용 음악재생기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 이수정
들어가며
세계 휴대용 음악재생기 산업의 역사
휴대용 음악재생기 산업의 특징 및 기술 체제
한국의 일본 추격
미국의 한국 추격
결론
5장. 반도체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DRAM을 중심으로 | 박동현
들어가며
DRAM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역사와 주도권 이전 과정
미국에서 일본으로의 주도권 이전
일본에서 한국으로의 주도권 이전
결론
6장. 자동차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한국의 일본 추격과 미국의 쇠퇴 | 최문성, 김재우
들어가며
자동차 산업의 특징 및 환경 변화
한국 자동차 산업의 일본 자동차 산업 추격
미국 자동차 산업의 쇠퇴
결론
7장. 철도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최신기술 적용을 중심으로 | 유형세
들어가며
철도의 개념 및 역사
최초의 기차 - 영국
철도 왕국 - 미국
고속철도의 시대 - 일본
철도 산업의 미래 - 중국
결론
8장. 제약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 김지나
들어가며
제약 산업의 특징
유럽에서 미국으로의 주도권 이전과 추격 요인 분석
인도와 중국의 성장과 추격 요인 분석
결론
9장. 한국의 기업, 산업, 정부 차원의 대응 전략 | 이근, 박태영
들어가며
한국 기업의 세 가지 대응 전략
한국 산업의 선택: 추격형 단명 기술 위주에서 장수 기술로의 전환
정부는 ‘신산업 정책’으로 가야
리뷰
책속에서
추격 사이클의 네 단계는 다음과 같다. 진입기는 후발기업이 하도급 계약 또는 OEM 계약을 외국계 다국적 기업과 맺거나, 정부가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국영 기업의 형태로 시작된다. 점진적인 추격은 저급·저가 제품 시장에서 비용 우위를 통해 이루어진다. 급격한 추격 또는 시장점유율에 있어서 급속한 상승은 기술 패러다임 변화나 세대교체 또는 시장 조건(예: 불황기)의 변화로 촉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기회의 창은 후발자의 경로 창출 또는 단계 생략 전략을 통해 활용된다. 마지막으로 후발자가 선발자를 밀어내고 차지한 산업 주도권은 또 다른 후속 후발자가 등장으로 인해 이들에게 넘어가고, 기존 후발자는 추락한다. 이렇게 추격 사이클은 계속 반복된다.
미국의 애플은 많은 양의 음악을 다운받을 수 있고 저장할 수 있는 소비자 욕구 변화라는 기회의 창을 이용해 한국기업을 성공적으로 추격했다. 애플은 단순히 아이팟이라는 음악재생장치만을 제공한 것이 아니라 아이튠즈라는 온라인 뮤직 스토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욕구 변화를 확실하게 반영한 새로운 경로(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를 창출했다. 한국 MP3P기업처럼 선발자가 갖고 있지 않았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미국의 애플 역시 경로 창출형 추격 전략을 통해 한국기업을 추격했다고 볼 수 있다. 애플의 추격 성공의 또 다른 요인으로 가장 중요하게 꼽는 것은 장기간 축적된 애플의 기술력과 혁신의 아이콘인 스티브 잡스의 역할을 들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휴대용 음악재생기 산업에서의 추격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호기심으로부터 출발했다. 후발주자가 선발주자를 추격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은 사실 모든 후발주자에게 열려 있다. 다만 열린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능력과 그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과 혁신 능력을 가진 기업 또는 국가만이 추격에 성공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이 MP3P를 가장 처음 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애플에게 주도권을 놓치고 추격을 허용했다는 점에서 기술이 시장에서 반드시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선두주자가 반드시 시장을 지배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회의 창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되고 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최초로 기술을 개발한 기업이라도 쉽게 도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MP3라는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한국기업에게 아주 적절한 기회의 창으로 작용해 일본을 추격할 수 있었지만, 그 뒤 MP3P 시장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기회의 창은 소비자 욕구의 변화였다. 애플은 이를 누구보다 먼저 포착했지만 한국기업은 그러지 못했던 것이다.
한국 자동차 산업이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약 40년간 일본을 추격할 수 있었던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며, 이러한 요인들은 개별 기업의 뛰어난 경영 전략만으로는 설명이 불가하다. 본 연구는 그 외의 요인을 ‘기회의 창’이라는 렌즈를 통해 살펴보고자 노력했다.
한국은 일본보다 20~30년 뒤늦게 출발한 자동차 산업의 후발주자였지만 좀처럼 추격의 빌미를 제공해주지 않는 일본을 ‘빠르게’ 추격하고자 애썼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1980년대 북미 승용차 시장에서 생긴 틈새 수요와 1980년대 중·후반 유가, 환율, 미·일 관계 등 국제 정치경제 환경의 변화라는 기회의 창과 1970~80년대 기화식 엔진에서 전자제어식 엔진으로 바뀌는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기회의 창을 한국정부와 기업이 잘 포착·활용해 일본 자동차 산업을 추격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