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42601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2-11-0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대분열 시대의 천하양분(天下兩分), 복합위기의 정점
1장 인플레이션 시대의 자산 시장
INTRO 여전히 험난한 2023년 자산 시장
01 40년만에 찾아온 인플레이션
02 주식, 고금리 스트레스
03 악몽에서 깨어나는 채권 시장
04 냉각기 들어선 부동산 시장
05 가상자산, 메타버스로 밸류업
2장 미중 갈등 속 국내외 경제 전망
INTRO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경제환경, 어떻게 헤쳐나갈 것인가
01 2023년 한국의 거시경제 전망
02 부활한 매파 연준, 긴축행보는 계속될 것인가
03 신냉전과 에너지 시장의 뉴 노멀
04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선택
05 중국 시진핑 3기의 전략과 시대적 과제,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3장 경제 구조 개혁과 정책 과제
INTRO 복합전환기의 경제정책과 정치
01 교육생애주기의 재조정에 초점을 둔 교육개혁
02 멀고도 험한 노동개혁의 길
03 연금개혁, 이번 정부는 어떻게 할까
04 탄소중립과 전력 시장 규제 개선
05 경제안보 3대 리스크에 대한 전략적 대응 필요
4장 2023년 교차점에 선 산업과 기업
INTRO 혼돈과 전환의 교차점에서 우리 산업과 기업은 어디로
01 반도체, 전쟁은 계속된다
02 2차 전지 시장의 약진은 2023년에도 지속될 것인가
03 시장 포화를 맞이한 OTT, 한국 콘텐츠에 위기인가 기회인가
04 디지털 전환의 현주소와 과제
05 스타트업의 의미와 현황
06 글로벌 플랫폼에 대한 취약성
에필로그 경제추격 지수로 본 세계경제와 한국경제
저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2023년은 대분열과 천하양분 시대이자, 그 속에서 진행되는 복합위기의 정점을 가계와 기업이 냉철하게 판단하고 가늠할 수 있느냐와 복합적 전환을 이루어낼 정치와 정부의 리더십이 진정한 시험대에 오르는 해다.
-6쪽, 프롤로그 [대분열 시대의 천하양분天下兩分, 복합위기의 정점]
자산 시장 전반을 짓누르고 있는 금리 사이클로만 본다면 2023년 자산 시장은 2022년 같은 높은 변동성을 재연할 것 같지는 않다. … 그렇다고 시장 전반의 추세 전환을 전망하기에는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 전체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지정학적인 에너지 위기에서 주로 기인함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의 인플레이션 완화 효과는 미미한 반면, 1980년대 수준의 강달러를 야기하며 글로벌 경제와 정책의 불균형을 키우고 있다.
-22쪽, 1장 인플레이션 시대의 자산 시장, [여전히 험난한 2023년 자산 시장]
지난 2020년부터 근 3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의 회복 여하에 따라 한국경제 전망 역시 반등과 정체의 갈림길에 놓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가파르게 상승한 물가를 잡을 수 있을지 여부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가느냐 여부에 중요한 신호가 될 것이다. 한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전망을 결정하는 주요 키워드는 인플레이션, 한국과 미국 등 중요국가들의 거시경제정책,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 양상과 복원 여부, 그리고 중국의 시진핑 체제 3기의 등장 등이다.
-76쪽, 2장 미중 갈등 속 국내외 경제 전망,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경제환경, 어떻게 헤쳐나갈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