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0966089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6-07-28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읽기 전에
발간사
서문
1부 삶과 죽음
1. 인간이란 무엇인가?
무한한 영혼 혹은 정신적 능력을 지닌 경이의 존재_박성은
2. 죽음이란 무엇인가?
천국에서의 영원한 젊음을 욕망하다_박성은
영원한 세계를 향한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_고종희
3. 죄는 어떻게 용서받을 수 있는가?
영과 육이 하나의 완전체로 존재하는 삶을 꿈꾸다_박성은
4. 행복이란 무엇인가?
영혼의 힘에서 오는 정신적 충만감이 곧 행복_박성은
2부 나와 우리
5. 나는 누구인가?
나의 예술이 나의 아내, 나의 작품은 나의 자식_박성은
6. 운명적 만남이란 어떤 만남인가?
인생을 뒤바꾼 ‘위대한 자 로렌초’와 ‘율리우스 2세’와의 만남_고종희
7. 가족이란 무엇인가?
가족이란 평생 짊어져야 하는 십자가_고종희
8. 어머니란 무엇인가?
지울 수 없는 영원한 그리움의 존재_박성은
9. 천재란 무엇인가?
고통받고, 희열하며, 신과 만나는 자_고종희
3부 생각과 행동
10. 왜 일을 하는가?
나를 자극하고 칭찬하는 것은 오직 나 자신과 신뿐_고종희
11. 절망을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절망을 이기려면 더욱 큰 절망에 몰입하라_고종희
12. 명예란 무엇인가?
미켈란젤로가 포기할 수 없었던 유일한 욕망, 그것은 명예_고종희
13. 새로움이란 무엇인가?
성취, 도전, 파괴의 전형 ‘시스티나 천장화’_고종희
14.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인가?
모방은 창조의 영감이자 작은 도구_고종희
4부 철학과 사상
15.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란 ‘세속으로부터의 자유’를 위해 구해지는 것_박성은
16. 신앙이란 무엇인가?
신앙이란 신의 뜻을 따르는 것이다_고종희
17. 신이란 무엇인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인류의 걸작은 탄생하나니_박성은
18. 창조는 파괴를 통해 탄생하는가?
미켈란젤로의 미학, ‘완벽에서 파괴로’_고종희
19. 여성이란 무엇인가?
이브와 마리아, 두 개의 여성 이미지_박성은
주석
책속에서
생물학적으로 미켈란젤로는 물질인 육체에 속박된 나약한 인간이고 사회적으로는 주변으로부터 고립된 고독한 인간이었지만 그의 영적인 인간은 위대하고 빛나는 신성에 닿아 있었다. 인간은 육체로 인해 동물에 속하는 존재이지만 정신으로 인해 신에게 닿을 수 있는 이중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최후의 심판>은 제도로부터 자유로웠으며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사이를, 성경과 문학 사이를, 전통과 개혁 사이를 자유자재로 넘나들었던 진정한 자유인 미켈란젤로의 죽음에 대한 시각적 답변이었다. 또한 그것은 동시에 자유, 진보, 용기로 표현된 미켈란젤로의 신앙고백이자 구원에 대한 갈망이었다.
외면적으로 예술가 미켈란젤로의 일생을 보면 행복과는 거리가 먼 삶으로 보이나 그가 우리에게 남겨놓은 위대한 조각과 회화, 그리고 건축과 시를 보면 그가 생각한 인간의 행복은 인간 내면에서 끊임없이 솟아오르는 정신적인 그 무엇으로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