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50967178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4-11-0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마음, 정말 괜찮으세요?
1부 억눌린 마음, 모든 불행의 이유
1. 마음은 당신을 지키기 위해 분주해요
2. 현실을 받아들이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3. ‘심리적 자살’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
4. 사랑한다면,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세요
2부 아픈 마음, 가만히 들여다보기
5. 내 마음에 솔직하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6. 감정이 있기에 향기로운 인생이지요
7. 성숙하고 아름답게 나를 표현하는 삶
8. 마음에도 예방주사를 맞아야 해요
3부 충만한 마음, 나를 인정할 때 생기는 것
9. 자아를 강하게 만들 훈련을 합시다
10. 하고 싶지만 하지 않으면 위대해져요
11. 세상에서 가장 우아한 자기객관화
12. 내 부족한 점을 인정하고 인정받자고요
4부 긍정의 마음, 행복을 이끄는 강력한 힘
13. 열등감은 살아가는 힘이 되기도 한답니다
14. 믿을 수 있어야 행복해집니다
15. ‘나’는 누구인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해요
16. 삶의 의미는 스스로 만드는 것
에필로그 속이 후련한 마음 처방전을 드립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필 니크로라는 투수가 있습니다. (…) 그의 메이저리거로서의 경력은 1964년부터 시작해 1987년 48세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끝나는데, 그 기간 동안 통산 318승 29세이브라는 대기록을 남겼습니다. 24시즌 동안 매년 평균 13승 이상을 해야 달성할 수 있는 엄청난 기록입니다.
한 기자가 이 선수에게 어떻게 300승 이상을 올리는 투수가 될 수 있었냐고 물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고 해요. “경기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통제할 수는 없지만, 일어난 일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느냐는 내가 통제할 수 있다. 나는 그것을 통제할 수 있었기 때문에 300승 넘는 투수가 될 수 있었다.”
모든 투수들이 심혈을 기울여서 공을 던집니다. 그리고 한 경기 동안 여러 번의 위기를 맞게 되지요. 대선수가 되느냐의 여부는 위기를 맞지 않는 것이 아니라 위기에 적절히 대응하는 능력이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말입니다.
자아가 임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가지 책략을 심리학에서는 ‘방어기제’라고 부릅니다. 방어기제는 지나친 불안과 두려움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방어합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우리는 다양한 과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살아가야 하는데, 이 과제들이란 게 다 그렇게 만만하지가 않아요. 그래서 그 과정에서 우리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당연히 불안과 두려움에 빠지게 됩니다.
사실 적당한 정도의 불안과 두려움은 과제를 해결하는 데 오히려 도움이 되기도 해요. 하지만 그 크기가 너무 커버리면 우리는 과제를 해결하기보다는 도망가거나 얼어붙게 되지요. 따라서 불안의 수준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겁니다. 이때 방어기제가 작동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방어기제는 ‘지나친 불안과 두려움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아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책략’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자아가 효과적으로 기능한다면 우리는 크게 불안해하지 않고 맡겨진 과제를 수행하면서 살아갈 수 있게 되겠지요.
존중은 영어로 ‘respect’라고 하지요. 그런데 이 말의 원래 뜻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바라보다look at’입니다. 우리는 언뜻 생각하기에 뭔가가 남들하고 다르게 뛰어난 일을 한 사람들을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정확한 의미에서 존중이라 하는 것은 뭔가 잘하는 사람을 우러러보는 것이 아니라 내 앞에 있는 상대를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바라봐주는 겁니다.
그런데 ‘환경적으로’ 우리의 마음에 문제를 일으키는 사회적 조건 가운데 가장 큰 것이 바로 이 ‘존중’의 부재인 것 같습니다. 이 존중의 느낌, 즉 있는 그대로의 자신의 모습이 인정받는다고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함께 개인에게서 사랑, 스승, 자기결정력, 조직 속에서의 안정적 지위 등을 박탈하면 누구나 병적인 행동을 나타내기 마련이지요. 따라서 사회적으로 이런 박탈을 방지하는 노력을 기울이면 개인이 비록 미성숙한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문제 행동을 드러내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개인의 문제 행동을 방지하는 사회적인 노력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요? 무엇보다 각 개인의 자기존중감이 훼손되지 않는 사회적 환경을 만드는 일이 우선되어야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