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POD] 한국 개신교 전위 토착신학 연구](/img_thumb2/978895110562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의 이해
· ISBN : 9788951105623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03-03-05
목차
책을 엮으며1장. 한국적 주체성의 발견과 토착화 신학의 여명1. 묵시문학적 자의식과 탈오리엔탈리즘의 신학자 이용도1) 이용도 연구사의 문제점2) 1970년대의 이용도 연구 - 신비주의 논쟁의 허와 실3) 이용도 연구의 구성신학적 특성 - 1990년대 이후 연구사의 창조성과 다양성4) 이용도 연구의 새 시각 - 묵시문학적 의식과 오리엔탈리즘의 극복2. 이용도의 '영적 기독교'와 김교신의'조선족 기독교'에 나타난 한국적 주체성1) 들어가는 말2) 세계-내-존재로서의 이용도와 김교신이 삶과 생각3) 동양적(한국적) 영성과 민족주의 - 민족주의의 두 다른 시각4) 조선적 기독교의 모색 - 영적 생명운동과 무교회주의5) 통합적 영성가로서의 이용도와 김교신 - 한국 신학사 다시 쓰기3. 다석 유영모의 동양적 기독교 이해1) 들어가는 말2) 다석 유영모의 사상적 배경3) 얼 기독론의 전거로서 동양적 기독교 이해4) 얼 기독론의 구조와 신학적 의미 - 그리스도 이해와 다원성과 특별성5) 얼 기독론의 생명신학적 특성2장. 종교간 대화와 해석학적 토착화 신학의 전개1. 윤성범의 유교적 신학 - 誠 과 孝의 해석학1) 들어가는 말2) 新儒學(理氣 刑而上學)의 역사적 성립 문제3) 理氣 刑而上學의 인간학적 전환 - 율곡 성리학의 비이론적 구조와 誠 이해를 중심으로4) 윤성범의 신학 - 신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5) 誠 의 신학에 대한 내재적 비판과 미래적 과제2. 변선환의 불교적 타종교의 신학 - 신 중심적 종교해방신학1) 들어가는 말2) 신헉구 목사와의 인연과 바르트 신학의 영향3)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과 칼 마이켈슨의 역사로서의 신학의 영향사4) 불교적(실존적)기독론의 모색 시기 - 프릿츠 부리와의 만남5) 아시아 종교신학자 변선환 - 토착화 신학과 민중신학의 양극성 극복6) 웨슬리 선행은총론의 종교신학적 이해7) 변선환의 신학적 실존과 해석학적 신학에 대한 평가3. 유동식의 풍류적 영성과 우주적 그리스도1) 들어가는 말2) 풍류신학에 이르기까지의 한국적 문제의식 - 신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3) 한국 신학으로서 풍류신학의 얼개와 구조4) 풍류신학과 우주적 영성 - 우주적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5) 풍류신학으로서의 예술신학 - 그 의미와 문제점3장. 토착화를 넘어서는 창조론 - 한국적 상상력의 신학1. 한글의 세계관과 유영모의 한글신학1) 들어가는 말2) 탈현대의 동도동기론적 해석학3) 한글의 구성 원리와 세계관 - 삼재론 중심의 음양오행론4) 한글의 신학적 해석학 - 다석과 현재의 한글로 신학하기5) 한글로 신학하기의 영성6) 나가는 글2. 李信의 초현실주의 해석학과 예술신학1) 들어가는 말 - 李信, 그는 누구인가?2) 李信 예술신학의 인식 토대로서의 상상력3) 초현실주의와 李信의 묵시문학적 자의식 연구4) 초현실주의 신학으로서의 영의 신학 - 카리스카 해석학5) 전위 예술신학으로서의 한국적 신학3. 김지하의 율려사상에 대한 종교신학적 고찰 - 율려신학1) 들어가는 말2) 종교다원주의 담론의 역사와 경향3) 종교다원주의 신학의 유형, 본질 그리고 한계4) 종교다원주의의 한국적 이해로서 동도동기론과 자기 발견적 해석학5) 동도동기론적 해석학으로서의 율려신학4장. 한국적 생명신학으로서의 토착화 재론1. 퇴계의 敬사상과 창조영성1) 들어가는 말2) 天人合 - 구조에서 본 인간의 마음3) 퇴계 心學 의 본질로서의 敬-敬과 橋氣質의 관계 모색4) 敬의 수행력 - 마음 찾기, 마음 지키기 그리고 마음 다하기5) 창조영성으로서의 敬-敬의신학적 탐색2. 성리학의 人物性同異論 과 형태공명론 - 기독교 자연신학 모색1) 들어가는 말2) 기계론적 세계관에 근거한 신학과 과학3) 자연본성의 재발견과 과학의 제자리 찾기 - 형태공명론4) 형태공명론과 人物性同論의 共時的 자연 이해5) 과학과 종교간의 새로운 만남 - 기독교 자연신학의 모색3. 동학적 세계관과 수행론의 기독교적 이해1) 들어가는 말2) 신체의 우주성에 대한 동서양적 사고 차이 - 인과성과 공시성3) 동학 세계관의 독특성 - 至氣-元論的 범재신론4) 侍天主의 깨달음을 위한 수행론 - 守心正氣를 중심으로5) 至氣-元論的 수행론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와 동학의 대화 - '역사적 예수'연구의 결과물들을 중심으로논문출처